[스크랩] 가볍게 잡는 그립법의 이해 선수들이나 동호인들이나 그립법에 대한 의견은 아주 분분합니다 ^^ 그만큼 정답이 없다는 의미일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너무 꽉 잡지도 그렇다고 너무 느슨하게도 잡지 말라는 말이 일반적인 대세일 것입니다 하지만 이 말의 의미가 쉬운듯 하지만 어떻게 보면 꽤나 어렵습니다 ^^ 실제 각자가 자기에.. 그룹명/3C의 기본 개념 2009.01.19
[스크랩] 당구를 이해하는 순서(?) 당구, 쓰리쿠션을 어떻게 하면 잘 칠 수 있을까요 ? 흔히 말하는 스트록을 잘하고 포지션의 득점루트만 잘알면 쓰리쿠션을 잘 칠 수 있을까요? 우리는 처음 당구를 접하면서 이론적인 개념없이 무작정 큐를 잡고서 공을 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먼저 시작한 주변 사람이 브릿지를 잡는 방법과 샷을 .. 그룹명/3C의 기본 개념 2008.12.25
[스크랩] 항상 생각해야 할 것들..... 당구가 수구의 당점과 1적구의 두께 그리고 샷의 완급으로만 이루어 졌다고 본다면 크나 큰 착각일 것입니다 ^^ 그 외에 생각해야 할 변수는 얼마든지 있기에 가능한 많은 고려대상을 생각하면서 플레이를 해야 한다고 봅니다 그러한 요소 요소들을 두서없이 정리해 봅니다 ^^ 0. 고점자들이 부드러운 .. 그룹명/3C의 기본 개념 2008.12.25
[스크랩] 수구 반지름의 오차 "F&H 시스템"을 설명하면서 잠깐 언급을 했지만 실전에서 뱅크샷을 시도하면서 수구의 진행동선에 대해 선을 그리면서 3쿠션값과 4쿠션값을 찾습니다 하지만 가끔 수구의 진행동선이 짧아서 맞지 않는 상황을 자주 봅니다 원인이 뭘까요? 그 이유는 3쿠션 지점인 장축의 날끝에서 4쿠션 지점의 날끝으.. 그룹명/3C의 기본 개념 2008.12.25
[스크랩] 뒤돌려치기의 이해 (스쿼트, 커브현상 이용) 그림 A 흰공이 수구입니다 ^^ 뒤돌려치기가 우선 눈에 들어옵니다 1적구를 어느공으로 하더라도 쉽지 않아 보입니다 지금 여기선 빨공을 1적구로 설정하겠습니다 ^^ 위 그림에서 1적구를 두툼하게 구사하면 수구와 단축에서 올라오는 1적구와의 키스의 위험이 있습니다 결국 1적구의 두께를 얇게 구사.. 그룹명/3C의 기본 개념 2008.11.17
[스크랩] 앞돌리기의 이해 (4 시스템 응용) 그림 A 위 그림의 포지션을 만나면 뒤돌리기, 앞돌리기 등이 떠오릅니다 당구치수가 약하신 분들이 뒤돌리기를 많이 선택을 하고 앞돌리기를 초이스 하기를 꺼립니다 자신이 없으신거죠 ^^ 물론 1적구의 두께에 수구의 진로가 민감하다 보니 어려운 초이스 입니다 하지만 언제까지 어렵다고 피하실 겁.. 그룹명/3C의 기본 개념 2008.11.17
[스크랩] 제각돌리기의 재해석 (시스템 배제) 그림 A 그림속의 포지션에서 2적구의 위치만 변경하면서 각포지션별로 제각돌리기의 다른 해석을 알아 보고자 합니다 ^^ 그림 B 2 적구 "A" 의 경우 입니다 가장 쉬운 포지션에 해당하며 쉬운만큼 의외의 "에러"도 많이 나오는 포지션입니다 ^^ 수구에 회전성향보다 방향의 특성을 살려서 보냅니다 가끔 1.. 그룹명/3C의 기본 개념 2008.11.17
[스크랩] 스트록의 완급 그림 A 흰색공이 수구일때 제각돌리기가 정상적인 초이스로 보이지만 수구를 1적구 이후 장축에 보내기가 만만치 않습니다 수구를 장축에 보내더라도 자칙 두꺼워져서 깊이 들어가면 아래의 그림 B 처럼 길게 진행을 하여 득점에 실패하는 상황도 많아 보입니다 ^^ 그림 B 득점에 실패하는 사례입니다 .. 그룹명/3C의 기본 개념 2008.11.17
[스크랩] 뒤돌리기의 이해 6 그림 A 2적구가 장축에 가까이 붙어 있어 정확하게 수구를 득점가능 범위에 보내지 않으면 득점이 쉽지 않습니다 그림 B 득점 가능범위가 상대적으로 넓어 득점확률이 높습니다 위의 두그림은 2적구의 위치만 다릅니다 그림 C 위 그림은 득점 가능 3쿠션 지점이 상대적으로 넓은 만큼 쉬운 포지션입니.. 그룹명/3C의 기본 개념 2008.11.17
[스크랩] 뒤돌리기의 이해 5 (큐선의 길이 응용) 그림 A 수구는 흰색공입니다 놀공 제각도리기도 어렵고 빨공 뒤돌리기 얇게도 어려워 보입니다 ^^ 그래서 빨공 두껍게 밀어서 뒤돌리기를 시도하려 합니다 밀어치는 공이니 당점은 상단이 될것이고 두께는 거의 7/8 정도의 두께입니다 샷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아래 그림의 "D" 처럼 큐선을 길게 해서 .. 그룹명/3C의 기본 개념 2008.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