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명/3C의 기본 개념

[스크랩] 앞돌리기의 이해 (4 시스템 응용)

바래미나 2008. 11. 17. 02:26

그림 A

위 그림의 포지션을 만나면 뒤돌리기, 앞돌리기 등이 떠오릅니다

당구치수가 약하신 분들이 뒤돌리기를 많이 선택을 하고 앞돌리기를 초이스 하기를 꺼립니다

자신이 없으신거죠 ^^

물론 1적구의 두께에 수구의 진로가 민감하다 보니 어려운 초이스 입니다

하지만 언제까지 어렵다고 피하실 겁니까 ?  극복해야죠 ^^

 

그림에서 빨공을 1적구로 뒤돌리기를 구사하면 직접보다는 뒤로 길게 구사를 해야 합니다

그런데 포지션상 그림의 동그라미 부분에서 키스의 위험이 상당히 많아 보입니다 ^^

그렇다고 앞돌리기를 초이스 하자니 수구를 어디까지 보내야 2적구를 맞고 득점에 성공할지

가늠하기가 어렵습니다

여기서 제가 "시스템의 이해"에서 플러스투 시스템을 설명하면서 "4 시스템"을 설명한 적이

있습니다

그 시스템을 응용해 앞돌리기를 구사하려 합니다 ^^

"4 시스템"의 근간은 장축에서 출발하는 수구가 단축의 "4" 지점에 2팁 당점으로 보내면 수구는

장축의 1 포인트 아래에 도착한다는 명제입니다

그리고 "4" 의 배수만큼 1 포인트씩 더 아래로 도착합니다 즉 "8" 에 1쿠션 지점이 형성되면

수구는 2포인트 아래에 도착합니다 !!

위의 명제를 참고삼아 이를 앞돌리기에 응용합니다 ^^

 

그림 B

 

위 그림은 득점가능 3쿠션 범위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수구가 이범위에 도착하면 득점에 성공합니다

그러면 수구는 어디를 1쿠션지점으로 정해야 할까요 ?

1쿠션 지점을 찾는 요령은 1적구의 두께를 무시하고 큐를 이용해 수구가 진행할 수 있는 경로의

기울기를 잡아봅니다

즉 1적구의 왼쪽 가장자리에서 1쿠션 지점이 될 "4", "8", 등의 지점을 연결하여 각 기울기별로

장축의 연장선을 비교하여 "4" 의 지점에 겨냥했을때 2적구의 득점가능 범위가 2 포인트 이내 인지

아니면 다시 "8"을 겨냥하여 3포인트 이내에 득점 가능 범위가 있는지 ....

이런식으로 1쿠션 지점을 찾습니다

그런다음 "8" 의 지점에 수구를 보내면 3 포인트 아래 수구가 도착하므로 수구가 득점 가능 범위에

도착함을 확인했으면 "8" 의 자리가 득점 가능 1쿠션 지점이 됩니다

여기서 수구의 당점은 정해져 있으니 전확하게 "8" 의 지점으로 보낼수 있는 1적구의 두께를

찾으면 됩니다 물론 여기서 1적구의 두께가 잘못 되면 수구는 자칫 득점 가능범위를 벗어날 수 도

있습니다 그래서 앞돌리기가 어려운 것이죠 ㅜㅜ

 

스트록은 수구의 당점을 정확하게 유지 하시고 부드럽게, 빠르게 "탁(툭) ! " 보내지 않게 주의

하면서 보냅니다 큐선의 길이는 공 한개만큼은 지나가야 합니다 즉 "잽스트록"을 하지 맙시다 

 

그림 C

위의 그림은 2적구의 이동으로 1쿠션 지점이 "16" 입니다

즉 "16" 을 향해 진행하는 기울기의 장축 연장선에서 3쿠션 득점 가능범위까지 4 포인트의

차이가 있습니다

여기서 기울기를 찾아내면 수구를 그 기울기의 경로대로 보내기 위한 1적구의 두께가 결정 됩니다

이제는 1적구의 두께가 아주 얇아야 합니다

 

이렇듯 수구의 당점은 정해져 있고 1적구의 두께가 상황에 따라 변하기에 앞돌리기가 어렵습니다

하지만 얇은 두께의 스트레스에서 벗어날 수 있는 편법이 하나 있습니다

앞장의 "뒤돌리기의 이해 5 (입사각 변화)" 에서 설명 했듯이 여기서도 입사각의 변화를 통해

얇은 두깨의 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은 있습니다

바로 "입사각의 변화" 입니다

 

그림 D

 

그림 C 의 포지션 이지만 1적구를 조금 더 두껍게 구사하여 수구의 입사각에 변화를 주어서

"12" 의 위치에 1쿠션 지점을 정하면 그 변화된 입사각의 기울기의 장축 연장선은 수구가

3포인트 아래로 떨어져도 계산에 맞게 형성되게 됩니다

이런 방식으로 "8" 의 지점을 겨냥하고 그에 다른 입사각을 더 깊게 변화를 준다면 물론 득점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런 방법은 앞에서 설명 한대로 어디까지나 편법입니다

계산상 아주 얇은 두께를 쳐야해서 그에 따른 부담이 너무 클때만 적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방법이 무슨 정석인양 구사되면 이 앞돌리기 포지션을 완벽하게 이해하기가 어렵게 됩니다

 

이렇듯 시스템을 응용해서 앞돌리기든 뒤돌리기든 어떤 포지션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나중에 익숙해질때면 이런 포지션에 무조건 시스템을 떠올리는 것은 금물입니다

그땐 시스템이란 틀을 떠올리지 않고도 포지션의 당점과 1쿠션 지점 그리고 1적구의 두께가

딱!! 떠올라야 합니다 즉 익숙한 "감각"을 이용해서 구사해야 한다는 얘기입니다 ^^

 

출처 : 켄달의 당구와바다낚시
글쓴이 : 켄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