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당구 교수법 ( 스트록의 중요성 ) 당구 교수법 !! 현재 우리나라 당구계의 가장 큰 문제점이 "정립된 당구 교수법의 체계"가 없다는 것입니다 제가 둘러보는 여러 당구관련 카페와 대한 당구연맹의 임원분께서도 체계적인 당구 교수법에 대한 논의가 계속 되고 있습니다 제 나름이지만 힘들게 깨우친것을 당구를 좋아하는 사람들과 공.. 그룹명/3C의 기본 개념 2008.11.17
[스크랩] 수구의 전진력 그동안 당구를 배워 오면서 자신이 잘 되지 않는 포지션에 대한 질문을 고점자에게 물어 보면 대부분의 답변은 "어느 정도의 회전(당점과 팁수)으로 1적구의 두께를 얇게(두껍게)쳐서 이 지점(1쿠션 지점)에 끊어서(밀어서) 쳐라" !! ^^ 이런식으로 설명을 들었습니다 간단한 이런 설명으로 개념을 잡기.. 그룹명/3C의 기본 개념 2008.11.17
[스크랩] 큐의 수평도 그림 A 우리가 스트록을 하는 모습을 우리 스스로는 볼 수가 없습니다 혹시 동영상으로 찍어서 본다면 볼 수 있겠지만 거울을 통해서도 정확하게 보기란 어렵습니다 주변의 제3자가 나의 샷을 보고 이러쿵 저러쿵 자세에 대해 지적을 하고 나온다면 누구라도 기분이 썩 좋진 않을테니 선뜻 나서서 말.. 그룹명/3C의 기본 개념 2008.11.17
[스크랩] 당점과 팁(Tip) 흔히 당구를 치면서 "당점을 어디에... 그리고 팁을 얼만큼 줘라"는 표현을 합니다 당점은 수구의 큐의 끝이 닿는 부위일테고 그리고 팁수는 회전의 양을 뜻할 것입니다 ^^ 그럼 상단 2팁과 중단 2팁의 차이가 뭘까요 ? 하단 2팁은 하단이기에 회전력이 더 많을까요 ? 그리고 위의 당점의 차이가 날뿐 팁.. 그룹명/3C의 기본 개념 2008.11.17
[스크랩] 수구의 빈쿠션 입사각에 따른 운동특성 변화 가끔 게임중에 구멍치기 포지션에서 수구의 끌림을 의도하고자 수구에 하단당점을 주고서 구멍치기를 시도할 때 수구가 끌리지 않고 오히려 밀고 올라오는 현상을 가끔씩 보게 된다 당황하지만 그 이유는 모른채 잘못 쳤거니.... 하고 지나갑니다 그리고 2쿠션 빈쿠션 치기를 시도할 때도 밀리는 특성.. 그룹명/3C의 기본 개념 2008.11.17
[스크랩] 수구의 빈쿠션 입사각에 따른 운동특성 변화 가끔 게임중에 구멍치기 포지션에서 수구의 끌림을 의도하고자 수구에 하단당점을 주고서 구멍치기를 시도할 때 수구가 끌리지 않고 오히려 밀고 올라오는 현상을 가끔씩 보게 된다 당황하지만 그 이유는 모른채 잘못 쳤거니.... 하고 지나갑니다 그리고 2쿠션 빈쿠션 치기를 시도할 때도 밀리는 특성.. 그룹명/3C의 기본 개념 2008.11.17
[스크랩] 잽 스트록(Jab-Stroke)의 이해 "잽(Jab)" 이란 뜻이 "찌르다" "날쌔게 치다" 의 사전적 의미를 가집니다 스트록에서도 위의 뜻과 유사한듯 툭~ 던지듯이 샷을 하는 것을 표현합니다 스트록에서 타격감이 있는 혹은 없는 샷이 전체 스트록의 95% 를 차지한다면 나머지 5%는 앞으로 설명할 "잽 스트록"이 차지합니다 잽스트록에서도 타격감.. 그룹명/3C의 기본 개념 2008.11.17
[스크랩] 포지션에 적당한 스트록의 세기란 ? 실력이 잘 늘지 않는 동호인들의 공통된 문제들 중에 적절한 스트록의 세기를 모르다는 점은 가장 큰 딜레마중에 하나 일것입니다 ^^ 물론 어떤 포지션에 어느 정도의 힘이 정답인지는 감히 어느 누구도 말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위에서 말하는 "적절한 스트록의 세기"도 고수의 관점에서 본 샷의 세기.. 그룹명/3C의 기본 개념 2008.11.17
[스크랩] 임팩트 시 타격감이 있고 없는 샷의 오해 스트록에 대한 명쾌한 설명 즉 누구나 읽고 공감할 수 있는 표현을 하고 싶은데 너무나 어렵습니다 ㅜㅜ 정리가 쉽지 않습니다 떠오르는 느낌을 정리해서 설명하고 나면 잠시의 시간이 흐르고 나면 또 다른 해석이 머리에 떠오릅니다 ㅜㅜ 이렇게 설명하다간 한글에 있는 모든 형용사와 부사를 총동.. 그룹명/3C의 기본 개념 2008.11.17
[스크랩] 큐선의 연장선 3c 게임을 즐기면서 머리 있는 1적구의 얇은 두께(면)를 판하게 구사할 수 있다면 멋진 일 일것이다 ^^ 하지만 많은 동호인들이 이문제 즉 두께에 대한 딜레마에서 허우적 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얇으면 얇은대로 두꺼우면 두꺼운 대로 도대체 의도한 두께가 정확하게 맞지 않는다 ㅜㅜ 많은 동호인들.. 그룹명/3C의 기본 개념 2008.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