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명/6·25 자료들(1950·06·25)

7. 위기에서 빛난 해군의 용전분투

바래미나 2011. 4. 22. 02:36

 7. 위기에서 빛난 해군의 용전분투


  흔히 1950년 6월 25일 새벽 4시에 전쟁이 시작된 것으로 알고 있지만 엄밀히 말해 북한의 도발은 그보다 한 시간 전에 이미 개시되었습니다. 북한은 동해 축선을 담당하고 있던 국군 제8사단의 배후를 차단하기 위해 새벽 3시에 제549독립연대를 삼척에 그리고 제766유격연대를 안인진리 일대에 상륙시켰던 것이었습니다. 당연히 이들을 상륙시키는 데는 북한 해군의 역할이 컸는데 이러한 와중에 남북한 해군 간에 최초의 해전이 동해에서 벌어졌습니다.

      [북한은 38선 돌파와 더불어 해상으로 상륙하여 아군의 배후를 차단하였습니다]

 


  새벽 5시 김상도(金相道) 소령이 지휘하는 YMS-509 경비정은 해군본부로부터의 긴급출동 명령에 따라 묵호항을 출발하여 북상하였는데, 아직까지는 전면전이 발발하였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던 상태는 아니었습니다. 북상하던 509정은 7시 20분경 옥계해상에 이르러 상륙군을 승선시키고 운항중인 북한 해군의 소형 포함(PGM)을 발견하고 즉시 교전이 벌였습니다.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렸고 화력이 약했던 509정은 북한 포함에 최대한 접근하여 공격을 가하는데 성공하였고 50여 분간의 교전 끝에 북한함정을 북으로 패주시켜 해군 간에 벌어진 최초의 교전을 당당히 승전으로 기록하였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509정이 보인 놀라운 활약의 끝이 아니었습니다. 최초 교전 후 묵호항으로 귀환 후 긴급보수를 마친 509정은 급박한 전황 때문에 오전 9시 50분에 대강의 준비를 마치자마자 재 출동하였습니다. 오후 3시경 옥계북방 3마일 지점에서 상륙 중이던 북한군을 목격하고 신속히 접근하여 기습포격을 가함으로써 적 상륙정 1척을 격파하고, 발동선 1척을 나포하는 전과를 올림으로써 북한군의 상륙을 상당시간 지연시키는 혁혁한 전과를 올렸습니다. 하지만 이것도 우리 해군이 보여준 용전분투의 시작이었을 뿐이었고 대한민국을 구한 더 큰 해전이 부산인근에서 벌어졌습니다.


  개전 당일 12시경, 전면전 발발 소식을 접한 해군의 진해 통제부(統制府)사령관은 당시 우리 해군이 보유한 최대의 전투함인 PC-701백두산함에게 즉각 출동을 명령하였습니다. 백두산함은 1949년 변변한 함정이 한 척도 없음을 통탄한 초대 해군 참모총장 손원일(孫元一) 제독이하 해군 장병들이 봉급의 10%를 갹출하여 마련한 기금과 국민의 성금 및 국고의 지원으로 어렵게 장만한 함정이었습니다. 사실 함정이라고 명명하였지만 15명의 구매단이 미국으로 건너가 해양대학의 구형 실습선을 구입하여 직접 수리 및 도색을 한 후 진주만에서 구입한 미국 육군의 3인치 포를 장착한 450톤 규모의 소형 함정이었습니다. 하지만 미국을 떠나 태극기를 게양한 백두산함이 1950년 4월 10일 진해로 입항하였을 때 국민들이 감격의 눈물을 흘렸을 만큼 한국 해군 역사에 기념비적인 함정이었습니다. 바로 이러한 한국 해군의 자랑이 조국을 구하기 위해 출동한 것이었습니다.


                                 [하와이에서 포를 장착하는 백두산함]

 


  진해기지를 출항, 동해안으로 이동 중이던 백두산함은 25일 18시경, 연기를 내뿜으며 남하하고 있던 미확인 선박을 발견하고 해상 발광신호(發光信號)로 국적과 선명을 밝히도록 명령하였습니다. 그러나 아무런 반응도 없이 남진을 계속하자 백두산함은 위험을 무릅쓰고 근접확인에 나서 괴선박의 정체가 약 600명의 상륙군을 탑승시킨 북한의 1,000톤급 무장수송선임을 확인하였습니다. 백두산함은 일단 현장에서 이탈한 후 통제부의 명령을 받아 26일 0시 10분경 북한 무장수송선의 좌현 3마일까지 접근한 후 공격을 개시하였고 북한군이 격렬히 대항함으로써 역사적인 대한해협전투가 시작되었습니다. 이 전투 결과 아군은 전사와 부상이 각각 2명인 피해를 입었지만 적선을 완파하여 침몰시키는 대승을 거두었습니다.


                                   [1950년 5월 22일 촬영된 백두산함 장병들]

 


  당시 북한 무장수송선은 북한군을 부산일대에 상륙시켜 부산항을 점거하는 것이 주 임무였을 것으로 추측되는데, 만일 그렇게 되었다면 위기에 처한 대한민국의 유일한 생명선이 조기에 차단될 수도 있었던 아찔한 순간이었고 백두산함은 그러한 절체절명의 위기로부터 대한민국을 구한 것이었습니다. 비록 6.25전쟁 당시에, 국군과 북한군 모두 해군의 전력이 작았던 관계로 전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그리 커 보이지 않지만 이처럼 전쟁 초기에 바다에서도 숨 막히는 위기의 순간은 있었고 이 때 보여 준 아군의 승리가 가진 의의는 그만큼 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