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42413325834841.jpg](http://img.bemil.chosun.com/nbrd/data/10040/upfile/201604/2016042413325834841.jpg)
줌왈트 급은 스텔스 효과 추구 때문에 선수가 아래로 뽀족하게 설계되어
파도에 관해 약할것 같지만 의외로 상당히 정교한 과학적 근거를
가지고 만들어 졌습니다.
물속에 있는 갈색 둥근 돌출부는 소너부 인데 원래 구상선수라고 부릅니다.
1.함수에서 파도를 가르며 발생하는 파도 파장을 구상선수가 또다른 파장을 만들어 서로 상쇄시킵니다.
사진에서 보시면 선수에 의외로 큰파도가 생기는데 그파장이 뒤로 연이어 지지 않아 조파저항이 거의 발생하지 않음을 볼수 있습니다.
2.너울이나 3~4m 일반적인 대양 파도에 선수가 빠르게 들려 앞뒤로 배가 흔들리는 핏칭
현상을 줄여줍니다.
그래서 포격시에도 포구안정장치의 과부하를 줄여주고 배가 안정적이 됩니다.
참고로 주로 추진력이 쎄고 덩치가 커서
조파저항 요소가 많은 배만 구상선수가 체택됩니다.
3.선수는 선박 플레어(큰파도를 가르는 선수구조물)가 없고 역사선으로 설계되어
대양에서는 황천시 (5m이상
큰파도)에도 이러한 원리로 파도를 뚫고 가는 형상 입니다.
그만큼 함수가 튼튼한 구조라는 이야기 입니다.
기존 배에서 함수잠김과 큰 저항의 발생(기존배는 큰 파도를 넘지 못하면 함수가 텅 하며 승무원의 몸이 자동차 급정거 처럼 앞으로 쏠립니다. 속도는 그만큼 느려 진다는 이야기 입니다 )
또한 줌왈트급 함수 형태의 취약점인 10m급 아주 큰 파도에도 너무 깊이 잠수는 하지 않도록 전체 부력으로 조절 하였으며 함수의
날카로운 상면 부분이 파도를 갈라서 배가 저항을 갑자기 받지 않도록 설계했습니다.
함수갑판 계류구조물도 없고 주포도 스텔스덮게에
씌여 큰파도를 뚫고 지나가도 손상될 염려는 없습니다.
4.측면 복원력을 고려한 단면
줌왈트 급은 건조비는 비싸지만 고비용인 이유는 형상 때문이 아닙니다.
줌왈트 급은 내해용이 아니며 차세대 구축함으로 대양에서 활동 하도록 형상 디자인된 것입니다.
그리고 스텔스만 극단적으로 추구한 비싼함이 아니라 우수한 내파성도 충분히 고려 됐다는 점은 알아 두어야 합니다.
남의 나라 외계인 구축함이 아니라
우리나라도 차기 구축함에서 이러한 형상의 유용성을 충분히 검토해 보았으면 합니다.
참고
- 2685027620_a1c203ff72_o.jpg
'육,해,공군,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국 해군 잠수함 트리뷴의 내부 (0) | 2016.05.10 |
---|---|
레닌그라드 전투 (0) | 2016.05.10 |
영국 해군 전함 바알함의 대폭발 (0) | 2016.05.10 |
세계 최강의 전차 M1 에이브람스 (0) | 2016.05.10 |
록히드 마틴, 멀티미션 런쳐 시험발사 성공 (0) | 2016.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