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식생활은 옛부터 궁중을 비롯하여 반가(班家)의 다양한 식생활 풍속을 중심으로 발달해 오면서 많은 형식과 까다로운 범절 을 따르게 되었다. 우리 고유의 상 차림을 형식에 따라서 대략 분류해 본다면 반상 (飯床), 면상(麵床), 주안상(酒案床), 교자상(橋 子床), 얼 교자상, 돌 상, 큰상, 제상 등으로 볼 수 있다. 상과 기명(器皿) 또한 용도나 형식 범절에 따라 분류된다. 이제는 우리가 우 리의 생활이나 모든 의식이 우리의 맛, 멋, 또한 우리 고유의 정감을 되살려야만 한다.이러한 과업을 정립해 나가기 위해서는 반드 시 주부의 슬기가 선행되어야 한다.가족의 식생활 관리나 단체의 식생활 관리는 영양과 건강 관리가 뒤 따라야겠지만 상 차림은 무 엇보다도 멋과 우리 고유의 형식(전통)에 있는 것이다. 이 멋이란 우리 고유의 식생활 범절을 오늘의 특별한 의식에 되살려 전통을 중요시하는 지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 한일이다. 이것은 다시 말해 현대 주부의 크나큰 슬기요, 솜씨의 종합 예술인 것이다. |
한국음식의 상차리기는 한 상에 차리는 음식 이름의 가짓수를 뜻하기도 하고, 그 음식을 놓는 자리를, 정확히는 설찬(設饌)을 뜻하 기도 한다. 상의 종류는 먹는 사람의 수를 가리켜 외상[單]차리기 · 겸상[複]차리기, 2사람 이상이 한 상에 둘러앉아 먹을 때는 두 리반상 또는 교자상 차리기라 한다. 또 먹는 시각에 따라 새벽에 차려 내는 상은 초조반상 (初朝飯床), 다음은 조반상 또는 아침상, 다음은 점심(點心)상, 다음은 저녁상, 밤이 깊어서 차려내는 상은 밤참 또는 야찬(夜饌)이라 한다. 끼니 때 외에 먹도록 차려 내는 상을 곁두리 ·샛밥 ·새참이라 한다. 상에 차리는 음식의 내용은 대체로 초조반은 궁중에서는 응이(율무가루나 녹말가루로 쑨 묽은 죽) 또는 무리죽(쌀을 아주 갈아서 홀홀하게 쑤는 죽)을 기본으로 하고, 국물 있는 김치(동치미 ·나박김치 ·열무김치 등)와 맑은 찌 개나 젓국찌개, 마른반찬 ·소금 ·꿀 등을 곁들인다. 조반이나 저녁은 밥을 중심으로 하고 반찬을 곁들이는 격식인데, 찬의 그릇 수 에 따라 삼첩 (三緡) ·오첩 ·칠첩 ·구첩 반상이 있으며, 민간에서는 구첩이 최고이고, 궁중에서는 십이첩 (十二緡)으로 수라상을 설 찬하였다. 평상시의 점심은 그 글자가 뜻하는 대로 마음에 점을 찍을 정도로 가볍게 먹는다는 뜻인 것 같다. 대개 찬밥을 먹는데, 여름 같으면 상추쌈이 되고, 겨울이면 끓인 밥, 봄 ·가을이면 비빔밥 등의 형태로서 반찬을 새로 장만하지 않는다. 그러나 명절 ·속 절, 내빈을 대접할 때 등은 국수장국(온면)이나 냉면 ·비빔국수, 겨울에는 만두국 ·떡국 등을 중심으로 김치와 3~4가지 반찬을 곁 들여 차린다. 잔칫날, 술을 중심으로 술안주를 곁들여 차리면 술상 또는 주안상이라 한다. 참으로 먹을 때는 떡 ·과자 ·차 ·식혜 ·화 채류 등을 곁들여 다과상을 차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