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명/당구 운동

앞 돌리기의 개념 이해

바래미나 2009. 11. 19. 17:08

모든 샷에 대해 크고 작음은 있을 수 있지만 최초의 샷 방향에 대한 수구의 관성에 의한

직진력을 가지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포지션에 따라 이 직진력이 득점하는데 도운이 되기도 하고 방해가 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포지션에 따라 이 직진성향을 살리기도 하고 죽이기도 해야 득점에 용이하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그리고 살리는 방법중에 가장 줗은 것은 1적구의 두께를 얇게 가져가는 것이고 죽이는

방법중에 가장 효과적인 것이 1적구의 두께를 두껍게 가져가는 것입니다

그외에도 죽이는 방법으로 당점의 조절법과 샷의 완급으로 조절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앞장에서 "제각돌리기"는 직진력을 죽여야 하는 포지션이며 여기선 1적구의 두께를 

두껍게 구사하여 직진력을 죽였습니다

그리고 횡단샷과 리버스 포지션에선 직진력을 살려 놓아야 수구의 자연스런 진행과

득점에 용이한 것을 보았으며 이때 살리는 방법으로 1적구의 두께를 얇게 가져 갔습니다

 

이장에선 "앞돌리기 포지션"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그리고 앞에서 설명한 "스쿼트 현상"이 가장 많이 적용되는 포지션이 이 앞돌리기 포지션

입니다.

거의 "수평샷" 혹은 "업샷"을 주로 사용하기에 "커브현상"은 고려치 않아도 됩니다

그리에서 빨간 점선은 "스쿼트 현상"을 고려한 오조준을 그린 것입니다

 

그림 A

위 그림은 수구의 "관성에 의한 직진성의 방향"을 보여줍니다

앞돌리기 포지션의 수구의 최종경로는 최초의 수구샷 방향과 비교하여 "역방향"의 

특성을 가집니다

하지만 앞돌리기 포지션의 특성상 수구의 관성에 의한 직진성향의 방향에 비해 수구의

진행경로가  역방향이라고 해서 이 역방향이 수구의 방향에 대한 저항으로 작용한다기

보다 수구의 끌림, 밀림, 회전등의 기타특성에 대한 저항으로 작용을 한다고 해석해야

합니다

이는 포지션 특성상 1적구를 두껍게 구사를 하거나 수구에 회전을 많이 줘야 한다거나

아니면 수구를 끌어서 구사하거나 강하게 샷을 하는 포지션이 아니기에 수구의 직진

성향은 크게 강하지 않습니다.( 제각돌리기 짧은 각 포지션과 유사 )

그래서 수구의 관성에 의한 직진성향은 수구의 2적구로 진행하는 방향에 대해 저항으로

작용하지 않고 수구에 밀림, 끌림, 회전 등의 특성이 실린다면 그같은 특성들에 더욱

민감하게 작용하게 됩니다

당연하게 강한샷으로 직진성을 높이게 되면 그만큼 방향에 대한 저항은 크게 나타납니다

이러한 이유로 수구의 자연스런 진행을 위해선 수구의 방향성은 유지하되 끌림, 밀림,

회전 등의 특성이 강하지 않게 부드럽게 샷을 구사해야 합니다

즉 이말은 스트록 시 타격이 들어가는 샷을 구사해서 수구에게 끌리고 밀리는 특성이

실리지 않게 샷을 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그림 B ( 타격이 실리는 샷 ) 

샷을 하며서 타격감이 실리거나 끌림의 특성을 수구에 실어주면 위 그림의 동그라미가

그려진 부분의 수구처럼 약하게 곡구를 그리게 됩니다

이는 수구의 진행방향에 대한 저항으로 생기는 곡구가 아니고 수구의 타격 혹은 끌림의

특성이 관성에 의한 직진성에 저항을 받아 곡구를 그리게 되는 것입니다

다시말해 수구의 2적구로 진행하는 방향의 힘은 크지 않아 방향에 대한 저항으로 작용

한것이 아니라 수구에 실려진 끌림, 회전 등의 특성에 저항으로 작용한 것입니다

즉 수구가 방향성만 가지고 부드러운 샷으로 진행을 한다면 수구의 역방향은 쿠션의

반발만으로도 큰 저항없이 2적구로 진행한다는 뜻입니다  

 

그림 C

샷을 하면서 샷을 강하게 하여 수구의 방향성을 강조하지 않고 수구에 끌림, 회전 등의

특성을 최소로 실어주면서 부드럽게 샷을 한다면 수구의 관성에 의한 직진성향은 1쿠션

지점인 단축의 반발로 방향에 대한 저항을 크게 받지않고 비록 역방향이지만 수구는 마치

순방향인것 처럼 무난하게 2적구로 진행을 하게 될 것입니다

당연하게 방향성에 대한 저항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단지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울 만큼 작다는 의미입니다

 

그림 D ( 1적구가 단축에 가까이 있는 경우 )

위 그림은 1적구가 단축에 가까이 붙어 있어 수구가 1적구와 분리된 이후 여유없이 즉시

단축과 접촉하게되어 1적구와 접촉 시 생긴 수구에 실려있는 방향외의 특성들인 밀림, 

끌림, 회전등의 특성이 곧바로 작용하게 됩니다

그리고 1적구와 단축의 거리가 가까운 관계로 수구의 입사각이 같은 두께라도 상대적으로

둔각으로 나타나 수구의 직진성의 쿠션에 의한 반발의 힘이 작아져 곧바로 곡구를 그리게

됩니다

 

그림 E ( 수구의 1적구 이후 입사각의 각도와 입사거리 )

위 그림은 수구의 1적구 이후의 단축으로의 입사각도와 거리를 보여줍니다

수구가 1적구와 부딪힌 이후 분리되는 각의 크기가 둔각으로 갈수록 저항치는 커집니다.

반면에 예각으로 갈 수록 저항치는 작아집니다.

이는 관성에 의한 직진성의 방향은 일정한데 쿠션에서 반발되는 각이 직진성의 방향과

정반대 방향일때 가장 크게 반발이 되어 마치 순방향인양 진행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수구의 단축에서 반사되는 각이 직진성의 역방향과 틀려지게 되면 틀려진 만큼

쿠션에서 반발로 반사되지 못해 틀어진 각도만큼은 저항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분리각이 둔각으로 가면 저항치는 커지는 것입니다. 이말은 수구에

회전이 실려있어 단축에서 분리 될때 수구의 기울기가 변한다면 그 변화만큼 반발이

되지 못해 저항치로 나타납니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했듯이 이저항치는 방향에 나타나지 않고 끌림, 밀림, 회전등의

기타특성에 저항으로 작용합니다

 

그리고 1적구와 분리된 수구가 1적구와의 접촉으로 생긴 힘의 영향으로 비록 크게 갖고

있지 않은 방향외의 특성들이 작용을 하려 하는 성질을 보입니다

이러한 성질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은 수구가 1적구와 분리된 이후 최대한 단축과의

접촉을 길게 가져가야 그와 같은 특성들이 변하려는 성질을 죽일 수 있습니다

이는 1적구가 단축과 가까이 있느냐 아니면 멀리 있느냐의 어쩔 수 없는 특성이라고

본다면 수구의 입사각은 1적구의 두께를 얇게 구사해서 어느 정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즉 1적구가 두껍게 맞아 입사각이 둔각이 되거나  1적구가 단축에 가까이 있어 분리된

수구가 최단거리로 단축과 접촉할 수록 방향에 대한 혹은 기타특성에 대한 저항치는

커집니다

이러한 이유는 그만큼 커진 분리각은 쿠션에 대한 반발의 분리각을 크게 만들기 때문에

쿠션에 반발되는 힘이 작아지는 요인과 1적구와의 접촉으로 비록 작지만 수구에 실려있는

기타특성들이 나타나려 하기 때문입니다

 

그림 F

위 그림은 1적구가 단축에 가까이 있더라도 당점을 약간 하단쪽으로 내려주고 1적구의

두께를 조금 더 얇게 그리고 샷을 타격없이 최대한 부드럽게 구사한다면 무난한 득점이

가능합니다

가끔 상단 당점을 많이 사용하시는데 이당점의 특성이 밀리는 특성이라 수구와 1적구와의

거리가 멀어 상단의 당점으로 인한 밀리는 특성이 더욱 강해집니다

그래서 오히려 수구의 곡구를 더 부추기는 기능을 하게 됩니다

반면에 하단당점은 끌리는 특성이라 먼거리를 진행하면서 1적구를 맞기전에 끌리는

특성이 죽어버리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1적구가 단축에 가까이 있고 수구와 거리가 말다면 하단 당점이 아닌

하단성향을 당점에 살짝 넣어주기만 하면 됩니다

 

그림 G

위 그림의 포지션을 만나게 되면 대부분의 동호인들은 중단 혹은 중하단의 당점으로 1적구를

얇게 끌려고 하십니다

아니면 타격을 실어 주던가요 ...^^

그렇게 구사하시면 전에도 지적했듯이 타격이 들어가거나 끌어치면 1쿠션 지점에 수구를

정확하게 보내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될 수 있으면 1적구를 두껍게 구사하면서 타격이 없는 샷으로 수구를 보냅니다

하지만 중단의 회전만으로 2적구로의 입사각을 만들 수 없다면 당점을 약간 하단쪽으로

이동시키면서 대신에 끌어치거나 타격을 주지 말고 그대로 수평샷을 합니다

그리되면 수구의 하단당점으로 이동한 효과는 수구의 회전의 기울기 각도를 더욱 많이

기울어지게 작용을 하여 무난한 득점경로로 수구를 보내게 됩니다

이렇듯 유사한 포지션에 가능한 타격과 끌림을 배제하고 구사하는 연습을 하시면 앞돌리기

포지션에 대한 득점확률과 이해도를 훨씬 높일 수 있습니다

 

이상 설명을 했지만 너무 어렵게 설명이 되었네요 ^^

간략하게 설명하려 해도 하나라도 빼고 설명하면 도저히 충분한 설명이 되지 않은 것같은 

생각에 복잡하게 설명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해가 잘안되고 어렵더라도 몇번이고 읽으셔서 제가 가지는 생각을 공유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Tip !!

1. 항상 "스쿼트 현상"을 고려해야 합니다

2. 수구의 진행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1적구의 두께를 두껍게 구사하지 말고 얇게 구사하고

    대신에 수구의 당점으로 수구의 진행경로를 결정합니다

3. 타격이 있는 샷이나 끌어 치는 샷을 가능한 배제합니다

4. 당점을 중단 당점외 구사할 땐 상단 보다 하단성향을 조금 주어 조절합니다

5. 항상 샷을 하기전에 스스로에게 자신감을 실어 줘야 합니다. 사실 이항목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룹명 > 당구 운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립법을 응용한 수구특성  (0) 2009.11.19
더블 횡단샷 단장의 이해  (0) 2009.11.19
초구 치는법  (0) 2009.11.19
횡단샷(더불 쿠션)의 개념3  (0) 2009.11.19
제각 돌리기의 개념 분석6  (0) 2009.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