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명/당구 운동

횡단샷의 이해-1-

바래미나 2009. 11. 17. 17:17

횡단샷의 원리에 대해서는 아직 모르겠습니다 ㅜㅜ

찾아볼 생각도 하지 않았고요 ^^

주로 감각에 의존해서 치다 보니 어느정도 "감"은 잡히더군요 ^^

굳이 시스템을 적용한다면 "볼 시스템" 정도가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

 

횡단샷의 나만의 이해 !!

 

1) 1적구의 두께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얇게 칩니다

   얇게 구사하는 가장 큰이유는 수구의 1,2,3 쿠션으로 진행하는 각 반사각을 작게 만들려는

   의도 입니다

   즉 횡단하는 반사각을 잘게 잘게 진행시키기 위함입니다 반사각이 크면 클수록 득점활률은

   떨어집니다

   그렇다고 얇게 쳐서 1적구의 반사각이 급격하게 꺽일것을 우려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얇게 치지만 수구와 장축의 반발로 첫 반사각을 만듭니다 (물론 1적구와 2적구의 벌어짐이

   크지 않을때 )

   즉 수구의 속도는 수구와 장축의 반발이 일어나서 2쿠션지점으로 올 수 있을만큼의 스피드가

   있어야 합니다

    그렇다고 아주 빠른 스피드는 아니구요 반발만 일으날 정도의 스피드입니다 ^^

   굳이 두께를 표현하기는 어렵지만 아래 그림에서 1적구의 진행동선을 참고 하세요

   두껍게 치는 경우는 수구와 1적구의 입사각이 워낙 깊을때 수구의 반사각을 줄여야 할 경우에

   1적구를 두껍게 칩니다

   다른 경우는 횡단샷의 타이밍상 1적구와 수구의 키스가 보일때 수구의 진행동선과 1적구의

   진행동선을

   바꾸고자 할때 약간 두께에 변화를 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그에 상응하는 수구의 팁의

   변화가 동반되지요

 

2) 만일 1적구와 2적구의 벌어짐이 큰 경우는 수구와 장축간이 반발이 일어나면 안됩니다

   이때는 수구를 장축과 반발없이 곱게 진행할 수 있도록 샷을 해야 합니다

   수구의 반사각은 수구의 팁으로 조절을 해야 합니다

   

그림 A

 

 

 

위 그림에서 A, B, C 의 입사각이 다르지만 1적구는 같은 두께로 설정하고 수구의 당점의 변화로만

구사합니다

이렇게 놓고 보면 "볼 시스템"으로 시스템이 만들어 질것도 같은데 말이죠 ^^

1적구의 움직임에 대한 동선을 참고하시고 샷의 스피드는 1적구가 얇게 맞지만 반발로 2쿠션지점

으로 올 수 있을정도면 됩니다

즉 반발만 줄 수 있으면 더이상 빠를 필요가 없습니다 다시말해 수구와 1적구의 거리가 짧아지면  짧아질수록 큐의 스피드도 줄어들겠죠 ^^

 

그림 B

 

 

 

위 그림은 수구를 반발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굳이 큐의 스피드를 빠르게 구사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반발을 시키면 수구는 더이상 아래로 가질 않습니다 수구가 오른쪽으로 멀리 떨어진다면 두꺼워

질 수 있습니다

위 그림에서는 수구가 1적구를 맞고 바로 아래로 방향을 잡고 진행을 해야 하므로 부드러운 샷으로

해결이 됩니다

당점의 변화로만 가능합니다 ^^

 

그림 C

 

 

 

위 그림은 횡단샷에서 하단당점을 주는 몇 안되는 경우에 속합니다

딱히 다른 초이스가 없으므로 횡단샷을 해야 하는 경우입니다

이럴때는 하단 당점에 아주 얇게 1적구를 맞혀야 하므로 자칫 2적구를 직접 맞힐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구를 아주 얇게 치는 대신 빠른 스피드로 보내 장축과 반발을 시킵니다

너무 강할 필요는 없으므로 연습을 하시기 바랍니다 ^^

 

이외에도 많은 경우의 횡단샷이 있지만 모든것을 설명할 수 없으므로 일반적인 유형 몇가지를

올립니다

위 내용을 참고하면 다른경우도 거의 똑같이 적용되므로 응용이 가능하리라 믿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