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서 제각돌리기에 대한 글을 올렸습니다 ^^
그때는 어떤 시스템의 적용 없이 주어진 포지션에 대해 어떻게 풀어나갈지 구체적
근거없이 설명을 하다보니 표현의 한계를 느끼곤 했습니다 ㅜㅜ
제 느낌을 막연히 표현한 글에 대해 이해를 못하신 분들이 많을것 같아 설명을 위해
F&H 시스템을 적용해 설명해 보려 했지만 F&H 시스템 자체가 많은 보정값의 적용을
받는 시스템이라 대신에 "볼 시스템"을 이용해서 설명을 해보려 합니다
다시 한번 읽어 보시고 제각돌리기에 대한 이해폭을 넓히시기 바랍니다 ^^
"볼시스템"을 모르시는 분은 "시스템의 이해" 에서 볼시스템을 먼저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위 그림의 포지션은 2적구의 위치가 포지션 설명의 핵심입니다
수구가 많은 회전을 가지고 온다면 많은 회전의 영향으로 자칫하면 2목적구를 넘쳐서
진행할 수 있는 포지션입니다
2적구인 놀공이 장축쪽에 좀더 가까이 붙어 있다면 상황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위 그림은 그림속의 설명대로 수구를 회전의 성향보다 방향의 성향을 많이 살려서 2적구를
향해 진행 시킴으로 수구의 회전성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실수의 범위를 최소한으로
줄이는데 목적이 있는 수구를 상단의당점으로 1적구로 보내서 2적구를 향해 돌아오게
함으로써 수구가 보다 편하게 득점에 성공할 수 있는 확률을 높이고자 합니다
이렇게 수구에 방향성을 많이 살리면 2쿠션 이후 수구는 역각(마이너스각)에서 진행하는
격구, 역각에 의한 저항으로 가지고 있는 회전의 영향으로 퍼져서 넘쳐 나가는 현상을
배제할 수 있습니다 즉 짧게 빠질 수는 있어도 넘쳐서 빠져나가지는 않는겁니다 ^^
위 그림속의 포지션을 볼시스템으로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1적구값이 " 2 " 입니다 그리고 3쿠션값이 " 1 " 입니다
그리고 수구의 입사에 대한 보정값이 " 2.8 P " 정도 입니다 따라서 합하면 "5.8" 이 나옵니다
즉 팁수와 두께값을 합해서 "6" 을 만들면 됩니다 ^^
"6 " 이라고 보고 포지션 특성상 수구의 당점은 2팁 이상 줄 수가 없습니다
4팁을 주고 2/8 두께로 치면 된다는 계산을 나오지만 위에서 설명했듯이 방향성을 살려야
함으로 팁수는 2팁으로 고정하고 4/8 두께로 샷을 하면 득점에 성공한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자 이제 방향성 보다는 회전을 살려야 하는 포지션을 살펴 보겠습니다 ^^
그림 B
위 그림은 그림 A 와 비교하여 2적구의 위치가 장축을 따라 조금 올라가 있고 좀더 장축에
붙어 있습니다
위 포지션은 작은 변화이지만 그림 A 와 정반대의 포지션이 됩니다
역각(마이너스각)으로 수구를 끌어야 하고 다시 수구에 충분한 회전이 살아 있어야 득점이
가능한 포지션입니다
즉 방향성이 아닌 회전이 필요한 것이죠 ^^
볼시스템으로 계산을 하면 1적구값(2) + 3쿠션값(3) + 보정값(2.8) = 7.8 이 됩니다 즉 "8" !!
이젠 방향성으로 해결이 힘든 상황이므로 수구의 팁수를 4팁으로 고정하면 두께는 당연히
4/8 두께가 됩니다
그림 A 에서 스트록은 수구의 방향만 바꿔주면 됐기에 크게 타격감이 없어도 무방하지만
위 그림의 포지션은 1쿠션값의 적용 기울기를 봐서라도 1쿠션지점을 향해 타격감이든
끌림이던 사용하여 1쿠션지점을 깊게 형성을 해줘야 합니다
그림속에 표현된 1쿠션지점보다 어느정도 짧게 1쿠션지점이 형성되어도 상관없지만
대신에 수구가 막연히 밀려 들어와서는 되지않습니다
즉 끌림이나 타격감이 있어야 합니다 ^^
위의 설명들을 F&H 시스템으로 설명하기엔 너무나 많은 보정값에 대한 설명이 따라야
함으로 감히 시도를 하지 않겠습니다
저도 지금까지 감각에 의존해서 쳐 왔지만 최근에 볼시스템을 어느정도 이해하고 나서
이렇게 볼시스템을 적용하여 설명해 봅니다
내용에 하자가 있을 수도 있고 표현이 부족할 수도 있습니다
여러분들의 지도편달 기다리겠습니다 ^^
'그룹명 > 당구 운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껴치는 장단의 이해 (0) | 2009.11.17 |
---|---|
횡단샷의 이해-1- (0) | 2009.11.17 |
뒤돌리기 재해석-3- (0) | 2009.11.17 |
빈쿠션 횡단샷의 이해 (0) | 2009.11.17 |
역회전 바운딩의 당점 변화에 따른 수구동선 (0) | 2009.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