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명/당구 운동

제각 돌리기 상단 당점

바래미나 2009. 11. 17. 16:21

그림 A

 

 

위의 그림에서 2목적구인 노랜색 공의 위치가 앞서서 설명한 중단 2팁(3팁)의 당점으로

구사를 하게되면 2적구가 장축으로 부터 많이 떨어져 있고 단축으로 부터는 짧은 거리에

있어 수구의 회전이 강하게 걸려 넘쳐서 빠져나갈 확률이 큰 포지션이다

이럴 경우 수구의 회전을 유지하고 1적구의 두께를 조금은 얇게 조절한다면 득점에 성공

할 확률이 있긴 하지만 중단당점 제각돌리기의 스트록에서 제일 중요한 것이 수구의

방향성 억제효과 이기에 얇은 두께로 수구의 방향성이 너무 억제될 수 있어 수구가 2쿠션이

단축의 정확한 위치로 컨트롤 할 수 있는 정확한 두께를 장담하기 힘들다

 

그래서 위 그림과 같은 포지션에선 수구의 당점을 상단1팁의 당점에 주고 오히려 수구의

회전력을 억제하는 성질을 이용해 스트록을 시도한다

수구에 회전력이 살아 있다면 2목적구를 넘쳐서 득점에 실패할 수 있으며 또한 단축의

2쿠션위치로 수구의 진로를 컨트롤 하기도 쉽지않다

 

그림에선 수구의 당점을 상단 1팁만을 주고서 절반이상의 두께에 가벼운 타격감을 실어

수구를 1쿠션의 위치까지 반발할 수 있도록 보내주면 수구에 회전의 성향이 전혀 없으므로

입사에 대한 반사의 각으로 수구는 진행한다

수구가 2쿠션방향으로의 진로를 잡고 난뒤는 회전성향없이 무회전으로 입사에 대한 반사의

각으로 진행하는 만큼 2목적구를 넘쳐서 진행할 수 없다

처음엔 1적구의 두께를 가늠 못해 실패를 하지만 1적구의 두께를 과감하게 두껍게 시도해

보면 의외로 쉽게 득점할 수 있을것이다

위의 그림에서 1적구가 반대편 단축으로 조금 더 이동하던가 아니면 2목적구의 위치가

K 지점 장축으로 조금더 가까이 다가와 있는 포지션으로 배치 된다면 수구의 당점은

중상단1팁반으로 이동한다

 

그림 B

 

 

 

그림B 는 2목적구의 위치가 장축으로 조금 더 가까이 이동한 모습이다

이럴땐 수구의 당점을 중단 성향을 가미하여 수구에 약간의 회전력을 실어줘야 한다

그림과 같이 중상단 1팁반의 당점이면 된다

그림B 에서 수구의 1쿠션 위치도 그림A 의 1쿠션 위치보다 F 지점에 가깝다

즉 조금은 덜 두껍게 1적구를 맞춘다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수구가 2쿠션이후 무회전으로 입사에 대한 반사각으로 움직이지 않고

약간의 회전성향이 살아나 2목적구 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만약에 1적구가 M-E 라인으로 이동을 하게된다면 초이스가 달라져 노란색공이 1적구가

되겠지만 굳이 빨간색공을 치고자 한다면 당점은 중단제각돌리기가 될 것이다

 

위에 설명한 상단 제각돌리기와 앞장에서 설명한 중단 제각돌리기의 스트록 시 주의할 것은

수구에 타격감을 실어서 보내면 안된다는 점이다

타격감을 실어서 이포지션에서 득점하고자 한다면 다른 초이스를 권하고 싶습니다

처음에 연습을 하게 되면 타격감을 실어야 편하게 오는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분명하게

확률을 떨어뜨리는 스트록이다 "수구를 큐를 이용해 앞으로 보내줘라" 의 스트록이면

충분하지만 스트록에 연습이 되어 있지않은 분들은 많이 어려운 부분일 수 있다

스트록에 자신이 없어 처음엔 약간의 타격감으로 조절하여 스트록을 하시는것에 굳이

반대하진 않지만 분명한것은 스트록 시의 타격감을 실으면 제각돌리기를 완성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점을 강조하고 싶다

연습을 통하여 타격감없이 "수구를 큐를 이용해 앞으로 보내줘라"란 의미를 빨리 알 수 있게

되기를 바랍니다

 

TIP !!!

스트록의 이해에서 설명했지만 수구를 관통하는 느낌에 팔로우동작은 수구의 공위치 이후

공 한두개 정도의 길이만큼 해주면 됩니다

임팩트 시 타격감을 최대한 배제하고 수구를 때려 보내지 않으며 단지 팔로우동작과 함께

앞으로 보내준다라고 생각하고 스트록을 하시면 됩니다 ^^

 

'그룹명 > 당구 운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러스 투 4 시스탬  (0) 2009.11.17
제각 돌리기 (짧은각)의 이해  (0) 2009.11.17
뒤 돌리기의 이해-1-  (0) 2009.11.17
뒤 돌리기의 이해-2-  (0) 2009.11.17
뒤 돌리기의 이해-3-  (0) 2009.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