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명/당구 운동

플러스 투 4 시스탬

바래미나 2009. 11. 17. 16:25

아래 그림A의 플러스 시스템은 당구포지션에 대한 여러 시스템 및 공식중에 가장 많은

공식과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는포지션중의 하나입니다

워낙 많은 시스템을 갖고 있어 어떤 시스템을 사용해야 할지 갈피를 못잡기도 합니다

누구나 각자 선호하는 시스템이 있고 어떤시스템이라도 자신에게 익숙하면 그사람에겐

그방식이 가장 쉬운 시스템일 것입니다

 

시스템별로 간단한 계산방식도 있고 복잡한 계산방식도 있습니다

복잡하다고 정확한것도 단순하다고 부정확한것이 아닙니다

어떤 시스템에 익숙해져서 시스템이 원하는 스트록의 세기가 자신에게 맞아떨어지면

자신에게 잘맞는 시스템이 됩니다

분명히 발씀드리지만 어떤 시스템이 잘맞는가 하는것은 어떤 시스템이 요구하는 스트록의

세기가 자신의 스트록과 잘맞고 테이블의 상태가 그에 상응한다면 이시스템이 자신에게

잘맞는 시스템이 됩니다

그 어떤 시스템을 사용하셔도 득점을 성공시키는데는 문제가 없으나 그시스템이 요구하는

스트록의 세기와 테이블 상태를 고려한 정확한 당점의 구사가 득점성공에 키포인트가 됩니다

 

가뜩이나 많은 시스템으로 곤혹스러운 여러분들에게 혼란을 가중 시킬 "플러스 투 시스템"을

하나 더 소개합니다

저에겐 잘맞는 그러면서 단순한 시스템입니다

제말을 맹신하지 마시고 분명한것은 어떤 시스템도 자신의 스트록의 세기와 맞춰가야 합니다

제게 잘맞았다고 여러분들께도 같이 잘맞으란 법은 없습니다

단순한 방법이니 만큼 연습을 통하여 사용하시는 테이블과 이시스템이 요구하는 스트록과

당점을 찾는데 먼저 주력하셔야 여러분의 시스템이 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플러스 투 4 시스템을 소개합니다

항상 기준이 되는 1쿠션이 단축 4 의 지점이라 4 시스템입니다 ^^

 

그림 A

 

 

 

저의 기준 이시스템의 당점은 중단 1팁반 정도의 당점입니다

스트록은 가볍게 임팩트없이 큐를 이용해 수구를 보내주는 정도 너무 약하게 보내는것이

아닙니다 그렇다고 임팩트 시 타격감이 들어가는것도 아니구요

테이블마다 상태는 다르므로 어떤 테이블에선 약간의 타격감이 필요하다면 타격감을 주세요

 

수구를 "4" 의 지점에 떨어뜨리면 수구의 장축 연장선에서 정확히 1 포인트 (테이블 점 기준)

아래쪽에 떨어집니다

수구를 "8" 의 지점에 떨어뜨리면 수구의 장축 연장선에서 2 포인트 아래쪽의 지점을 향해

수구가 진행합니다

수구를 "12" 의 지점에 떨어뜨리면 수구의 장축 연장선에서 3 포인트 정도 아래쪽에 떨어

집니다

 

만일 적구들의 위치가 1포인트 반 정도 아래쪽에 있다면 "4" 와 "8" 의 중간 지점이 1쿠션이

됩니다

 

그림 A 의 득점이 성공하기 위한 3 쿠션의 위치는 수구의 장축 연장선을 기준으로 3 포인트

아래 수구가 떨어지면 득점이 가능 합니다

당연히 1쿠션 지점은 "12" 의 지점으로 수구를 10 시방향의 당점으로 보내면 득점이 무난하게

성공하게 됩니다

 

동호인 여러분의 습관적인 스트록의 세기와 테이블에 따라 약간씩 다를 수 있으므로 몇번의

연습으로 어느정도의 오차는 수정을 하시고 항상 시스템을 적용해 득점을 시도할때는

일정한 스트록의 세기가 필요하므로 일정한 스트록의 세기를 연습해 두셔야 합니다

 

그림B

 

그림 C

 

위 그림은 "4" 의 포인트에 수구를 당점을 조금 상단으로 올리고 샷의 세기를 부드럽게 수구가

목적구에 간신히 도착할 수 있을정도의 힘으로 보내면 의외로 수구는 2 포인트 아래 도착함을

보여줍니다

하나의 요령으로 당점과 수구의 세기를 조절하면 1쿠션 지점을 바꾸지 않아도 3쿠션 지점을

1 포인트 길게 보낼 수 있습니다 

 

단, 주의 할것은 1포인트면 1포인트, 2포인트면 2포인트 두가지 지점으로만 분리를 하셔야지

이것을 여러갈래로 나누시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3쿠션의 위치가 1포인트반 일때는 "4"의

지점에 수구를 놓으면서 스트록을 조절하지 마시고 일정한 스트록으로 "6" 이 지점에 수구를

보내는 방식으로 풀어야 합니다 수구가 "4"의 지점에 정확하게 겨누고서 적구의 위치가 2포인트 아래쪽에 위치할때만 수구의 1쿠션 위치를 "4"의 지점에 두고 당점과 스트록의 세기를

조절하여 구사하라는 얘기입니다

 

그림 D

 

 

 

위 그림 D 는 4 시스템을 빗겨치기(짱꼴라 ^^)에 적용한 것입니다

많은 동호인들이 빗겨치기(짱꼴라)를 감에 의존하여 치고 있는것이 현실입니다

어느정도 고수반열에 들어선 아마추어 동호인들도 "감"에 의존하시는 모습도 많이

보아 왔구요 ^^

그림 D 와 같은 걸어치기는 "파이브 앤 하프 시스템"을 적용하여 구사하는 포지션이

아닙니다 그림 C 는 "플러스 투 시스템"시스템을 이용하여 구사하는 포지션입니다

수구가 1적구와 접촉후 1쿠션으로 진행할때 수구의 회전은 맥시멈 일글리쉬가 아니기

때문이죠 자체회전을 가지고 있으나 많지는 않은 그리고 1적구와 접촉 시 강하게 부딪히는

즉 수구를 눌러주는 상황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림 D 를 설명하면 수구를 빨간색 동선(단축-장축-장축)으로 보내어 2적구를 맞추고자 한다면

수구의 장축 연장선을 그어 보면 1포인트 아래쪽에 2적구가 위치하므로 수구에 중단 1팁 혹은

1탑반 정도의 당점에 스트록 시 타격감없이 부드럽게 4의 지점에 떨어질 수 있도록 수구를

보내주면 수구는 자연스럽게 그림의 진행동선으로 진행합니다

반면에 수구를 파란색 동선(단축-장축-단축)으로 길게 구사하여 2적구를 맞추고자 한다면 수구의

스트록의 세기와 당점은 유지한채 "8"의 지점에 떨어뜨려 주면 수구는 그림의 진행동선으로

진행합니다

 

스트록 시 타격감이 들어가면 안됩니다

1적구를 강하게 눌러주는 스트록을 구사하셔도 안됩니다

1적구를 부딪치고 의도한 1쿠션지점에 자연스럽게 진행할 수 있도록 스트록을 하셔야 합니다

 

앞장에서 설명했듯이 위 그림 D 의 포지션에서 수구가 바라보고 스트록을 하는 목표는

1쿠션 바라보고 구사하는 포지션입니다

이점을 의식하여 연습하신다면 "플러스 투 4시스템"을 적용하여 걸어치기를 구사한다면

그림과 같은 포지션을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룹명 > 당구 운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각 돌리기의 이해  (0) 2009.11.17
제각 돌리기 대회전 짧게  (0) 2009.11.17
제각 돌리기 (짧은각)의 이해  (0) 2009.11.17
제각 돌리기 상단 당점  (0) 2009.11.17
뒤 돌리기의 이해-1-  (0) 2009.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