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A
위의 그림A 는 1,2 적구의 위치는 동일하나 수구의 위치가 오른쪽 장축으로 치우쳐 있다
그림의 초이스는 수구가 1적구와 가까이 있을때 가능한 포지션이다
1적구와 가깝기 때문에 중하단 1팁반의 당점에 얇은 두께를 이용해 A 지점으로 팔로우동작을
약간은 길게 해주는 "컷트샷"느낌으로 수구를 끌어다 놓으면 1적구가 RQ-QR 지점에
있을때 수구는 2목적구를 향해 먼저 오게 됩니다
이샷을 하게되면 1쿠션에서 2쿠션으로의 수구진행이 약간은 눕는듯이 하단 방향성의
특성을 보이며 진행한다 이샷을 했을때 수구가 2쿠션에서 P 지점을 향해오게 된다면 임팩트 시
팔로우동작이 작았던가 혹은 너무 많았던가 하는 실수가 있었으며 아니면 수구를 끌어치는
동작에서 큐의 끝이 일직선으로 움직이지 않고 팁의 방향으로 돌아갔을때 즉 비틀었을때
발생하는 현상이므로 수구의 진로가 2목적구로 가지 않는다면 스트록 시 실수가 있었으므로
스트록을 다시 점검하시고 해보시기 바랍니다
가끔 이스트록을 이해 못하고 아니면 불안한 마음에 수구를 B 지점까지 끌어놓는다면 수구의
진로에 1적구가 다시 나타나 키스를 피할 수 없게 됩니다
수구를 B 지점에 끌어다 놓고 2적구를 맞추고 싶다면 2적구를 정면에 가까운 두꺼운 두께에
수구를 B지점으로 확실한 "컷트샷"으로 끌어다 놓으면 득점에 성공할 수 있습니다
위의 두가지 샷으로 득점에 성공할 수 있지만 "컷트샷" 보다는 처음에 설명한 스트록이
훨씬 쉽습니다 킷트샷에 대해선 따로 시간을 가질 예정입니다
그리고 킷트샷이던 그림B 처럼 끌어놓는 스트록에서 제일 중요한것은 1 쿠션을 목표로
스트록을 하셔야 하며 큐의 끝이 팁방향으로 돌아가게 되면 즉 비틀어치면 수구의 변화는
묘하게 변하게 되어 어느누구도 수구가 어디로 갈지 알 수 없는 상황이 됩니다
그림B
그림 B 는 똑같은 포지션에 1적구와 수구의 거리가 멀어진 상태이다
이럴때는 앞장에서 설명한 내용처럼 수구의 큐의 의한 전진력이 살아있는 가까운 거리가
아니므로 그림A 와 같이 초이스를 할 수 없다
그래서 바깥돌리기 대회전을 생각해야 합니다
수구의 당점은 중하단 1팁반의 당점으로 여기서 하단성향이 들어가는 것은 끌림을 의도한
하단이 아닙니다 수구의 입사각이 완만하므로 끌림을 굳이 따로 조장할 필요는 없으며
여기서의 하단은 수구에 수구의 1적구에 대한 입사각이 완만한 관계로 끌림은 쉬우나
입사각이 너무 깊어질 수 있어 수구에 하단성향을 약간이나마 주어 방향성을 살리려고
의도한것입니다
보통은 이런스트록 시에 끌었다 놓는 의식적인 행동을 하므로 수구의 진행속도를 떨어뜨려
1적구와의 키스를 발생시키는 실수를 많이 합니다
이를 보완하고자 하단성향을 줬으므로 수구의 임팩트 시에 절대로 끌고자 하는 의식이 들어
가지 않게 수구를 1적구에 반발만 시키는 느낌으로 스트록을 하셔야 합니다
두께는 그림과 같이 1적구가 장축에 맞을수 있도록 1/3 정도의 두께면 무난합니다
그리고 이샷은 1쿠션을 바라보고 하는 스트록이 아니라 2 쿠션을 바라보고 하는 샷입니다
어느정도 수구가 깊은 입사각을 보이므로 많이 밀립니다 그래서 1쿠션의 위치가 어느정도
변해도 2쿠션의 위치는 크게 변하지 않으므로 이럴경우 2쿠션에 정확이 떨어뜨린다는
의식으로 스트록을 합니다
그리고 결코 강하게 샷을 하시면 안됩니다 어떤 대회전을 치실때도 멀리 돌아간다는 생각에
강하게 치시면 변화가 생깁니다 수구가 진행하는것은 수구에 맡기고 정확하게 2쿠션에 떨어
뜨리는 노력에 집중하셔서 스트록을 하세요 ^^
'그룹명 > 당구 운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뒤 돌리기의 이해-1- (0) | 2009.11.17 |
---|---|
뒤 돌리기의 이해-2- (0) | 2009.11.17 |
제각 돌리기의 이해(중단팁) (0) | 2009.11.17 |
뒤돌리기 포지션 (0) | 2009.11.17 |
리버스 포지션의 해법 (0) | 2009.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