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명/당구 운동

제각 돌리기의 이해(중단팁)

바래미나 2009. 11. 17. 16:12

제각돌리기(하꼬마와시) !

누구나 어렵지 않게 생각하는 포지션인데 막상 타석에서는 뭔지 알 수 없는 부담감을

느끼는 포지션이다. 어떤이에게 슬럼프가 온다면 가장 먼저 확인되는것이 제각돌리기의

성공여부의 부담일 것이다

너무 쉽게 생각해서 실패를 했을때 느끼는 데미지가 클것을 염려해 그럴수도 있겠지만

반드시 마스터를 하고 가야 되는 기본 포지션이다

지금은 감각에 의존한 설명을 하지만 제각돌리기에 유용한 "볼시스템"을 이용한 제각돌리기

응용편을 뒤에 올리겠습니다 ^^

 

그림 A

 

 

 

위의 그림의 수구의 동선 두가지는 극명하게 다른 두가지 샷의 수구진행 동선입니다

A 의 수구동선을 위한 샷의 세기는 "수구에 큐의 무게를 실어 준다" 정도의 임팩트 시

타격감없이 부드럽게 보내는 샷입니다 물론 당점과 1적구의 두께는 그림의 좌측에 있다

많은 분들이 제각돌리기를 구사하실때 예상진로를 그림의 B 의 수구동선을 그리며 진행하는

동선을 예상진로로 많이 잡습니다 이진로의 수구당점은 그림의 B 당점입니다 

중상단 1팁 입니다

이당점으로 약간은 강하게 눌러서 반발을 시켜 수구를 보내면 그림의 B 의 진로대로

수구가 움직입니다

이방법이 틀렸다는 얘기는 아닙니다 어떤 상황에서도 득점에 성공만 시킨다면 그것이

최선이 될 수 있습니다

단지, 상기의 방법은 의외로 실수를 할 확률이 높습니다

수구를 강하게 눌러서 보내다 보니 조금만 오버샷이 이루어지면 2목적구를 넘칠 수

있으며 빠르게 들어가는 샷으로 인해 1적구의 두께에 작은 변화로 중상단 당점의 특성인

수구의 회전력이 많지않아 짧게 안쪽으로 수구가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실수의 발생가능성을 최대한 줄이고 보다 득점성공확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그림에서  A 의 수구진행동선입니다

그렘에서 보듯이 당점은 중단 2 팁(3팁)입니다 회전력을 최대한 강조한 당점입니다

1적구의 두께는 3/4정도의 두께입니다 일견 너무 두껍지 않나 걱정하시겠지만

임팩트 순간 타격이 들어가지 않으므로 두깨로 인한 불안을 가지지 마세요

다음 스트록은 "수구에 큐의 무게를 실어준다" 의 느낌으로 팔로우동작은 큐의 끝이

수구를 관통하고 끝나는 정도의 세기면 됩니다 (큐끝은 수평) 다운샷 NO !!

수구를 관통한다고 하여 타격감이 들어가는 것으로 의식하지 마시고요 ^^

관통하는것과 타격감은 전혀 다른 느낌입니다 처음엔 잘 안될거예요 ^^

그렇게 되면 사각형그림의 진로와 비교해 1쿠션지점이 짧게 형성이 됩니다 그이후

2쿠션으로의 진로는 H 지점으로 회전력으로 인해 수구가 진행합니다

(여기서 살짝 불안하신가요 ???  넘칠것 같아서.... ^^ )

수구는 1적구에서 회전력으로 "핑" 하고 회전력을 발생시킨 후 다시 1쿠션에서 2쿠션으로

"핑" 하고 회전력을 보여줍니다 다음 3 쿠션으로의 진행은 회전력이 조금은 죽은듯이

보이지만 여전히 L 지점을 향해 "핑"하고 회전력을 보여줍니다

( 이제 지금까지 보여줬던 "핑"의 모습이 다시 보여준다면 2 목적구는 맞지않을겁니다^^)

이순간 수구의 상태는 어떤가 하면 2쿠션에서 L 지점으로 진행할때 보여준 회전력이

남아 있던 마지막 회전력입니다 이젠 수구 자체의 회전력은 전혀 없이 입사에 대한

반사의 진로만이 남아 있는것 입니다 그래서 마지막은 "퉁" 하면서 2 목적구로 진행을

합니다 흔히 표현 하는 "핑" "핑" "퉁" 의 현상을 그대로 보여주죠 ^^

 

이샷의 장점은 부드럽게 샷이 이루어져 당점과 1적구의 두께의 미스를 최대한 줄여주고

1 적구의 움직임이 많지않아 다음 위치를 예상할 수 있으며 2목적구가 득점성공 후에도

멀리 가지 않고 수구 주변에 있어서 차기 포지션 플레이를 시고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림 A 에서 적구는 동일한데 수구가 F-L 선상까지 내려오는 정도까지는 위의 샷으로

해결되지만 그이하 즉 G-K 라인까지 내려온다면 타격이 들어가는 강한샷으로 끌어줘야

성공할 수 있습니다 당점은 중단 1팁반 정도의 당점으로 끌어칩니다 ^^

 

그림 B

 

 

그림 C 포지션에서 B 의 포지션은 노란색공을 1적구로 해도 크게 무리가 없다

하지만 A 포지션은 빨간색공을 1적구로 삼아야 합니다

그림의 사례에선 빨깐색공을 1 적구로 잡는 정합니다

 

위의 A 포지션은 중단 2팁(3팁)으로 1 적구의 두께는 1/3 ~ 1/2 정도의 두께에 부드럽게

수구를 보내주면 됩니다 ( 굴리면 안됩니다 )

F 지점까지 갈 수 있는 절반 혹은 절반보다 약간 얇은 두께로 "수구에 큐의 무게를

실어주는 느낌" 으로 부드럽게 팔로우동작은 수구있던 자리에서 공한개정도 더 들어

가면 됩니다

그림과 같이 시종일관 회전의 힘으로 수구가 진로를 잡으며 마지막 3쿠션에서 2 적구

까지의 진행도 어느정도 회전이 살아서 옵니다

수구의 진로가 3쿠션에서 회전력으로 인해 넘치지 않고 진로를 잡는 이유는 타격이

없음으로 수구의 회전력으로 오다보니 수구의 전진력이 최대한 억제되어 수구의 회전력에

의한 진로만 잡기 때문입니다 

 

위의 그림에서 수구의 위치가 G-K 라인쪽으로 조금더 내려온다면 1 적구의 두께를 조금 더

두껍게 가면 됩니다 하지만 HG-JK 쪽으로 너무 가까이 가면 샷이 강해지던가 당점의

변화를 주던가 다른 초이스를 해야 합니다 ^^

 

절대로 하단을 주거나 중단당점으로 수구를 때리거나 끌려고 하시면 안됩니다

간결한 샷으로 샷이 끝날때까지 큐의 속도를 유지하면서 부드럽게 팔로우동작이 유지

되면 공은 너무나 자연스럽게 2목적구를 향해 옵니다

일단은 믿으셔야 합니다

 

이상으로 중단팁으로 해결하는 제각돌리기 포지션을 끝내고 다음장에서는 상단팁으로

보내는 제각돌리기를 설명하겠습니다 ^^


 

'그룹명 > 당구 운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뒤 돌리기의 이해-2-  (0) 2009.11.17
뒤 돌리기의 이해-3-  (0) 2009.11.17
뒤돌리기 포지션  (0) 2009.11.17
리버스 포지션의 해법  (0) 2009.11.17
비껴치기 대회전과 키스  (0) 2009.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