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A
기존의 당구장에서 일본식 표현으로 우라마와시의 일종이다
변화된 명칭으로 "뒤돌리기" !!
결코 쉽지않은, 많은 사람들이 실수를 하는 난구 포지션입니다
대부분의 동호인들이 이포지션을 수구에 회전을 살려서 끌어놓으려 합니다
F&H 시스템을 적용하여 수구를 A 지점 위쪽의 2 포인트로 보내고자 한다면 1적구의
두께를 절반 내지 1/3 정도를 맞춰야 하는데 그리되면 수구의 진로에 1적구가 들어오게
됩니다 ( 그림속의 작은 원 부분 !! )
그렇다고 1적구를 두껍게 구사하여 키스를 빼고자 한다면 자연히 수구의 속도가 늦어져
1적구는 수구의 진로에 들어와 키스의 위험을 가집니다 ( 큰원 부분 )
그리고 수구는 1적구와 두껍게 맞으면서 회전이 너무 많이 살아서 그림과 같이 길게
빠져 버립니다
위 그림의 빨간색 동선은 1적구의 동선입니다
그림 B
이포지션의 성공여부의 핵심은 수구의 당점입니다
위의 그림의 당점의 표현에서 보듯이 수구의 하단 1팁 입니다 하단의 당점은 1팁이상이
거의 없습니다 상단과 하단의 특성은 수구의 회전보다는 수구가 쿠션에 부딪힌 다음
진행하는 방향을 설정하는역활을 하는 당점입니다
여기서 1팁이란 회전을 주는것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중단에 1팁, 2팁을 주는회전의
역활과는 다릅니다
중단에서는 팁이 회전량을 의미하지만 상단과 하단에서는 회전량이라기보다 수구의 진행을
잡아주는 방향의 의미로 해석을 해야 합니다
즉 상단과 하단의 1팁은 쿠션과 부딪힌 다음 진행하는 방향을 잡아주고 나면 회전으로서의
팁의 성향은 없어지고 2쿠션을 향하는 방향의 역활을 한 다음 팁의 성향은 없어집니다
2쿠션 이후의 수구의 진행 특성은 입사에 따른 반사의 각도로만 움직이며 쿠션의 충돌로
인한 자연적인 회전력만 약간 가지게 됩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이포지션의 당점은 정해졌고 다음은 스트록을 신경써야 합니다
너무 끌려고 애쓰시면 안됩니다
이 포지션은 수구의 회전력으로 득점을 시도하는것이 아닙니다
수구에 하단 1팁의 당점에 1적구의 움직임이 그림과 같이 될 수 있도록 1/3 정도의
두께에 A 범위에 수구가 떨어지게 가볍게 끌어주시면 됩니다
수구를 어떻게 해서 2적구로 보내겠다는 생각은 버리고 단지 수구를 A 지점에 갖다
놓는다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그다음의 진행은 수구가 알아서 갑니다
다시 정리합니다
하단1팁의 당점에 Q 지점을 향해 1/3 정도의 두께로 큐를 비틀지 않고 부드럽게 끌어 놓으시면
수구는 1쿠션에서 2쿠션으로의 진행만 살짝 어색하게 보일뿐 그다음의 3쿠션으로 진행부터는
익숙한 진행모습을 보일것입니다 ^^
이포지션의 해법은 단순합니다 당점이죠 하단 1팁 !!
'그룹명 > 당구 운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뒤 돌리기의 이해-3- (0) | 2009.11.17 |
---|---|
제각 돌리기의 이해(중단팁) (0) | 2009.11.17 |
리버스 포지션의 해법 (0) | 2009.11.17 |
비껴치기 대회전과 키스 (0) | 2009.11.17 |
비껴치기 대회전과 스트록 (0) | 2009.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