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명/당구 난구 연구실

[스크랩] 키스백을 이용한 뒤돌려치기

바래미나 2009. 3. 1. 22:24

1적구에 입사되는 수구의 입사각이 둔각으로 입사할 경우 수구는 굳이 끌어치지

않아도 깊은 분리각을 그리게 됩니다

이럴때는 수구의 회전력보다 방향만을 실어줘도 아주 깊은 분리각을 얻을 수

있다는 말입니다

 

그림 A - 1 

위 그림은 일견 놀공을 1적구로 제각돌려치기를 시도할 수 있지만 1적구인 놀공이

장축에 거의 붙어 있어 수구가 1적구와 분리되기 전에 "키스"가 발생할 것으로 보입니다

달리 특별한 선구가 보이지 않지만 1적구가 쿠션에 가까이 붙어 있어 발생할 수 있는

"키스"를 이용한 선구를 할 수 없을까요?

 

그림 A - 2

우선 1적구가 쿠션에서 떨어져 있다면 위 그림과 같은 선구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럴때도 수구의 입사각이 이미 둔각이므로 굳이 끌어치는 샷으로 구사하지 않아도 수구의 분리각을 충분하게 만들 수 있으므로 수구의 당점은 방향의 당점만으로 샷을 구사합니다

 

그림 A - 3

 

위 그림이 상위의 포지션에 대한 올바른 선구입니다

이때 구사하는 샷은 타격이 들어가지 않은 샷으로 구사하는 것이 수구의 진행을 안정적으로 도모할 수 있지만 가벼운 타격감 정도는 무난합니다

그리고 수구를 1적국까지만 보낸다는 의식을 가지고 샷을 해야 합니다

즉, 수구를 2쿠션 지점을 지나 2적구까지의 진행을 의식하고 샷을 하는 순간 자신도

모르는 힘이 샷에 들어갑니다

그렇게 되면 생각치 못한 실수를 범할 수 있습니다

타격에 의해 수구에 스쿼트현상 및 커브현상 등이 일어나 의도한 1적구의 두께를 정학하게

구사하지 못하는 상황이 나올 수 있습니다

그리고 수구와 1적구간의 "키스백"현상이 일어나면서 타격의 힘에 의해 "키스백"의  힘이

강해져 수구가 그리게 될 관성에 의한 전진력에 의한 수구의 곡구현상이 미처 일어나기 전에 1쿠션 지점에 도착하는 상황이 나올 수 있습니다

그러니 타격없는 샷으로 수구가 1쿠션 지점까지 안정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샷의 목적으로

의식하고 샷을 구사해야 합니다

그 이후는 수구가 가지고 있는 회전력과 전진력으로 진행을 해야 합니다 ^^

 

그런데 1적구의 두께를 너무 두껍게 구사하여 수구의 1쿠션 지점을 왜 그렇게 높게

설정을 했을까요?

굳이 4쿠션 지점이후 2적구를 공략을 해야 할까요?

즉, 수구의 1쿠션 지점을 훨씬 아래쪽으로 설정을 하면 수구가 2적구를 직접 공략할 수 있지 않을까요?

 

그림 A - 4

먼저 수구의 당점별로 "키스백"을 통한 수구의 반사각을 알아봅시다

위 그림은 수구의 당점별로 수구의 키스백의 반사각을 보여줍니다

하단의 당점일때는 검은색실선의 경로처럼 거의 일직선으로 반사가 됩니다

그런데 중단이후의 당점일때의 수구는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거의 곡구현상을  보이면서

진행을 합니다

왜 일까요?

 

이 현상의 원인은 몇가지가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수구의 관성에 의한 전진력의 힘입니다

이놈의 "수구의 관성에 의한 전진력"은 안나오는 곳이 없습니다 ^^

수구는 샷을 하는 방향으로는 거의 무조건 크기는 달라도 이런 전진력을 가지게 됩니다

하지만 샷의 세기, 수구의 당점 등에 따라 고유의 관성의 전진력의 크기는 달라집니다

샷의 세기가 일정하다고 가정을 했을때 수구의 당점이 하단일 경우는 "끌림"의 특성을 가지는 당점으로 인해 관성에 의한 전진력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중단으로 그리고 상단으로 올라갈 수록 관성에 의한 전진력의 크기는

커진다는 말입니다

이렇게 커진 전진력은 키스백으로 인해 반사되는 수구에게 일련의 저항으로 작용을 합니다

즉, 키스백으로 반사되는 수구의 방향에 대해 관성에 의한 전진력이 저항으로 

작용하기에 전진력이 큰만큼 수구는 저항을 많이 받게됩니다.

당연히 저항을 많이 받은 수구는 반사각으로 반사되면서 전진력의 저항으로 곡구를 그리게 되는 것입니다

곡구의 정도와 크기는 전진력의 크기에 비례해서 커집니다

당연히 수구의 당점이 상단으로 갈 수록 전진력이 커지기에 키스백으로 반사되는 수구의

곡구현상도 커지게 됩니다

 

그리고 1적구의 두께가 하는 역할은 수구의 입사각에 대한 반사각의 방향을 설정하면서

동시에 반사되는 힘의 크기가 1적구의 두께에 비례해서 커지게 됩니다

그래서 1적구의 두께가 두꺼울 수록 반사되는 힘이 커지게 되고 이는 수구가 곡구현상을

일으키는 시점을 늦으지게 만듭니다

즉, 수구의 반사되는 힘이 약해져야 수구가 가지고 있던 전진력이 저항으로 작용울 하게

되므로 수구가 1적구에 구사되는 두께가 두꺼울 수록 반사되는 수구의 곡구현상을

일으키는 시점이 늦어집니다

 

그림 A - 5

 

상위의 설명에서 위 그림의 포지션을 공략하기 위해 수구의 1쿠션 지점을 조금은 깊게 설정을 하여 2적구를 직접 공략하지 않느냐는 의문이 있었습니다

위 그림의 하얀색의 범위에 수구의 1쿠션 지점이 형성된다면 2적구를 적접 공략할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러기 위해 수구가 1적구의 두께를 조금은 얇게 구사할 것이고 동시에 수구의

곡구현상을 조절하기 위해 전체적인 샷의 세기도 약해질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복합적인 요인들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수구의 1쿠션 지점이 원하는

범위에 도착하지 못하고 위 그림처럼 단축에 직접 도착하는 상황이 우려되기 때문에

2적구를 직접공략하지 않는 것입니다

 

 

정리합니다 ^^

샷은 타격이 들어가지 않는 샷으로 1쿠션 지점까지 정확하게 보낼 수 있는 샷으로 구사합니다

2적구의 위치에 따른 포지션이 상황에 따라 수구의 진로를 예상하므로 위의

선구처럼 4쿠션 이후 득점을 시도하는 것이 꼭 필요한 것이 아닙니다

상황에 맞게 대처하십시요

그리고 수구의 곡구현상을 일으키는 요인이 수구의 관성에 의한 전진력에 의한

것임을 인지하시고 키스백으로 반사된 수구가 곡구현상을 일으키는 시점의 조절은 

샷의 세기와 1적구의 두께임을 잊지 맙시다

그리고 타격이 들어가면 타격으로 인해 의도한 1적구의 두께를 정확하게 구사하기가

어려우며 타격의 힘이 키스백으로 반사된 수구의 곡구현상의 시점을 오히려 늦출 수

있다는 것을 알고 구사합시다

출처 : 켄달의 당구와바다낚시
글쓴이 : 켄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