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해,공군,종합

머시급 병원선 전세계 어디든지 따라가는 바다 위의 종합병원

바래미나 2018. 6. 3. 21:22

머시급 병원선 전세계 어디든지 따라가는 바다 위의 종합병원

필리핀 마닐라를 향해 항해 중인 머시 함의 모습 <출처: 미 해군/Mate 2nd Class Troy Latham>


개발의 역사

2차 세계대전이 한창이던 1944년, 미군은 세계 규모의 전쟁을 치르게 되면서 처음으로 어마어마한 수의 사상자를 경험하게 되었고, 심지어 태평양과 유럽에서 벌어지는 전쟁의 성격이 모두 원정작전이기 때문에 부상자 후송과 치료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미군은 부상자 치료와 의무 후송을 목적으로 한 전용 함선의 필요성을 느꼈고, 1944년 6월에 용골식을 치른 후 대형 유조함으로 건조하고 있던 마린 호크(SS Marine Hawk)함을 급하게 설계 변경하여 병원선으로 변경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건조사였던 선(Sun) 조선 드라이도크(Drydock) 주식회사는 마린 호크를 개조용 야드로 옮긴 후 설계변경에 들어가 AH-112로 함정번호를 부여하고 함명을 헤븐(Haven)함으로 명명했다.


미국 최초의 병원선 AH-112 헤븐(Haven)함 <출처: 미 해군>

헤븐함은 1945년 5월 5일에 취역 했으며, 운항훈련을 마친 후 파나마 운하를 통해 곧장 실전에 투입해 진주만까지 수송되어 온 해병 부상자들을 샌프란시스코까지 운반 및 치료하는 임무를 소화했다. 헤븐이 부상자 수송 임무를 완료한 8월 11일에는 이미 일본이 항복 선언을 하기 직전이었으며, 오키나와와 나가사키로 전개 명령이 떨어져 현장에 도착했을 때는 이미 종전 이후인 9월 11일이었다. 헤븐은 나가사키에서 원폭 피해를 입은 연합군 포로들을 수용해 본토로 돌아왔으며, 1945년 한 해 동안 괌과 사이판 등지의 부상 장병들을 진주만을 거쳐 샌프란시스코로 귀환 시키는 임무를 실시했다. 전후 미국은 크로스로드(Crossroad) 작전을 통해 비키니 산호지대에서 핵무기 실험을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 방사능 측정 및 연구를 실시할 목적으로 헤븐 함에 관련 장비를 탑재하도록 개조했으며, 함정 번호 또한 일시적으로 APH-112로 변경되었다.

1950년 12월 15일 인천 앞바다에 정박중인 헤븐함 <출처: 미 해군>

헤븐함은 1950년 9월 자매함인 베네볼런스(USS Benevolence, AH-13)함과 함께 625전쟁에 참전한 연합군 지원을 위해 한반도에 파견되었으며, 전쟁 말엽인 1953년 1월부터 휴전이 성립된 7개월 간만 해도 3,000명에 가까운 연합군 부상자를 치료했다. 미 해군은 총 6척의 헤븐급 병원선을 운용해 2차 세계대전과 625, 베트남 전쟁까지 투입했고, 마지막으로 퇴역한 리포즈함(USS Repose, AH-16)의 경우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9,000명이 넘는 부상자를 돌보았다. 안타깝게도 헤븐급은 건조과정에서 다량의 석면을 사용한 것이 문제가 되어 한 척도 보존되지 못하고 전량 폐선 되었으며, 1989년을 기점으로 모두 퇴역 처리된 뒤 2017년에 마지막 헤븐급인 생츄어리 함(USS Sanctuary, AH-17)을 해체했다.

2018 퍼시픽 파트너십 참가 중 하와이 진주만에 정박한 머시 함의 모습. 머시 급 병원선은 멀리서도 제네바 협정의 보호를 받는 병원선임을 알 수 있도록 선체 여러 곳에 적십자 표시를 해 놓았다 <출처 : 미 태평양사령부/Petty Officer 2nd Class Katarzyn>

한편, 베트남 전쟁 이후에도 해외원정이 계속되면서 원정작전간 부상자 지원 소요가 계속 발생한 미군은 600여 개 병상을 소화하던 헤븐급을 대부분 퇴역 시키게 됨에 따라 이를 대체할 대형 병원선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미 해군은 헤븐급이 밟았던 전철과 마찬가지로 대형 유조함 목적으로 1976년부터 건조 중이던 산 클레멘테(San Clemente)급 슈퍼탱커(Super Tanker, 대형유조선)인 ‘워스(Worth)’함을 병원선으로 전용(轉用)하기로 했으며, 이에 따라 건조사인 내셔널 강철조선 주식회사(National Steel and Shipbuilding Company, NASSCO)가 1984년 7월부터 개조공사에 들어갔다. NASSCO는 개조공사를 통해 선체 전면의 선실부와 트랜섬(transom) 선미, 구상선수(球狀船首: 선체 앞 하단부에 조파저항을 줄일 목적으로 붙인 둥근 물체)를 개조하였고, 갑판실은 크게 넓힌 후 함교의 위치도 옮겼다. 또한 응급환자를 헬기로 받거나 혹은 육지의 병원으로 내보내기 위해 비행갑판을 설치했다. 선두함인 머시(USNS Mercy, T-AH-19)함은 1986년 11월 8일부터 실전 운용에 들어가 샌디에이고에 배치됐으며, 자매함인 컴포트(USNS Comfort, T-AH-20)함은 이듬해인 1987년 12월 1일부로 정식 운용에 들어가 버지니아 주 노퍽(Norfolk, Virginia)에서 첫 항해에 들어갔다.


머시 함의 후미 모습. 2005년 인니 쓰나미 사건 구호를 위해 인도네시아에 파견 중 촬영된 사진이다 <출처: 미 국방부/Petty Officer 3rd Class James R. McGury>

1990년 ‘사막의 방패(Operation Desert Shield)’ 당시 머시 함은 9월 15일부터 작전 해역에 도착해 6개월간 다국적군을 지원했으며, 6개월간 690명의 환자를 수용하고 300회의 수술을 실시했다. 컴포트 함은 쿠웨이트와 사우디 아라비아 인근 해역에 정박하며 다국적군을 지원했으며, 작전간 총 8,700명의 환자를 수용해 치료했다. 전쟁 기간 중 컴포트 함에는 2,100회의 헬기를 통한 환자 후송이 이루어졌으며, 12개의 수술실에서는 총 337회의 수술이 이루어지고 환자와 승선인원에게는 80만 명 분의 식사가 제공되었다. 1994년 아이티(Haiti) 파병 때에는 의무 지원보다는 난민 수용 및 수송을 주 임무로 수행했으며, 우선 1,100명에 달하는 난민을 수용한 뒤 다시 아이티로 돌아가 동년 10월까지 부상자 치료를 실시했다.


                  
샌디에이고 모항에서 출항 중인 머시 함 <출처: 미 해군/MCSN Chelsea Troy Milburn>

2001년 9월 11일, 뉴욕과 워싱턴 D.C.의 국방부 건물에 테러가 발생하자 대서양에 배치되어 있던 컴포트 함이 즉각적으로 뉴욕에 투입됐으며, ‘노블 이글(Noble Eagle)’ 작전을 수행하면서 뉴욕 시 92번 항구에 접안하여 9월 14일부터 응급 환자를 수용하였다. 컴포트 함은 현장이 수습된 뒤에도 남아 환자들에 대한 정신진료를 실시하고, 사건 인근 지역 주민에 대한 진료도 병행했다. 컴포트 함은 연이어 2002년 12월부터 시작된 이라크 자유작전(OIF)에 참가하여 총 6개월간 미군 뿐 아니라 이라크 군 포로까지 포함하여 700명을 치료하고 600회의 수술을 실시했다.


                  
머시 함내에서 안과 진료 중인 군의관의 모습 <출처: 미 해군/Spc. 2nd Class Timothy F. Sosa>

머시 함은 2004년 인도네시아 쓰나미가 터지자 2005년 1월 5일자로 출항하여 쓰나미 피해를 입은 인도양 인근 지역의 환자 108,000명을 치료했다.

머시함은 2006년 이후부터 퍼시픽 파트너십(Pacific Partnership)에 참가하고 있어 격년 단위로 태평양 지역 내의 의료시설이 부족한 지역을 찾아가 치료하는 의료봉사를 실시하고 있다. 미 해군은 머시 함이 퍼시픽 파트너십 프로그램이 시작된 이래 현재까지 400,000명 이상의 환자를 치료해왔다고 밝혔다. 컴포트 함 역시 평시에는 인도적 구호사업에 적극 참여하고 있으며, 2007년부터 ‘미 대륙을 위한 파트너십(Partnership for Americas)’에 참여해 주로 중미권 국가를 방문해 의료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컴포트 함 소개 영상 <출처: 미 해군 유투브 페이지>



특징

싱가포르 셈바왕 인근을 항해 중인 머시 함 <출처: 미 해군/Chief Petty Officer Edward G. Martens>

머시 함은 1907년 헤이그 협정 및 제네바 협정 중 “해상에서 군대의 부상자, 환자, 조난자 상태 개선에 관한 협약(1949. 8)의 적용을 받는 함정이기 때문에 순수한 의무 치료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전투함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머시 함에 대한 공격은 국제법 상 전쟁범죄로 간주된다. 같은 이유로 머시 함은 공격을 목적으로 한 무기를 일체 탑재하지 않으나, 나포 방지 및 자체 방어 목적으로 소구경의 기관총만 선체 레일 몇 곳에 설치되어 있을 뿐이다.


2014년 림팩 연습에 참가한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병원선 화평방주(和平方舟)함 (T-AH-866)이 진주만에 나란히 정박 중인 모습 <출처: 미 해군/Ana Allen, PRMC>

머시급 병원선은 최초 대형 유조함을 개조한만큼 덩치가 커 미 해군이 보유한 전 함정 중 세 번째로 큰 배이다. 경상환자 수용을 위해 500개의 병상을 할당하고 있을 뿐 아니라, 중상 및 집중치료 환자까지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총 1,000개의 병상을 확보하고 있다. 두 함정은 특히 일일 200명 이상의 환자를 진료할 수 있으며, 응급 수술이 가능한 수술실도 총 12개를 확보하고 있다. 특히 69,360톤에 달하는 중량과 거대한 선체 때문에 일반 군함보다 흔들림이 적어 응급 수술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머시급은 12개의 수술실을 확보하고 있다. <출처: 미 해군/MC2 Timothy F. Sosa>

머시급에는 부상자 치료 시설 뿐 아니라 치과 진료 시설이나 방사선 촬영을 비롯한 각종 진단 장비들이 갖춰져 있고, 산소 생산 설비와 5,000개의 수혈 팩을 보관할 수 있는 냉동고도 갖추고 있다. 또한 자체 식수 시설을 갖추고 있어 최대 2,000명이 승선한 상황(환자와 선원 포함)에서도 일당 114만 리터의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멸균실과 위성 실험실이 설치되어 있으며, 선내에 자체적인 영안실도 설치되어 있다.


머시급 2번함 컴포트(Comfort)함의 집중치료실 <출처: 미 해군/PM1 Shane T. McCoy>

사실 미 해군의 대형 병원선의 존재에 대해서는 일각에서 부정적인 의견을 제시한다. 우선 유사시 전개해야 할 지역은 사실상 전 세계 어디든지 될 수 있지만, 최고속도가 17노트(약 32km)에 불과해 전개속도가 느린 점이 지적된다. 또한 제네바 협약의 보호를 받고 있다고는 하나 무장이 전무한 반면 덩치가 커 레이더 반사면적이 넓어 포착 당하기 쉽다. 머시 급 병원선은 기동력도 떨어지는 점이 문제인데, 머시 함이 전투함대에 소속되어 함께 이동할 시 적에게 포착되거나 반격이 용이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부정적 의견도 있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머시급이 원래 유조함으로 설계한 것을 병원선으로 개조했기 때문에 선내 이동 동선이 좋지 않은 점을 지적 받는다. 특히 석유 저장을 위한 격벽 구조물이 여전히 선내에 남아있어 격벽 간 통로가 없으므로 한 쪽 하부층에서 다른 쪽 하부층으로 이동하기 위해선 갑판까지 올라갔다가 다시 내려가야 하므로 환자들에게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


퍼시픽 파트너십을 위해 피지에 방문 후 출항을 하자 머시 함을 환송 중인 피지 경찰악대 <출처: 미 공군/Senior Airman Peter Reft>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시에 1,000개의 병상을 소화해주는 병원선의 존재감은 매우 크다. 특히 지상에 고정되어 있는 병원은 이미 사전에 위치가 알려져 있는 경우도 많고 달리 움직일 방법도 없기 때문에 적의 공격이나 오폭의 가능성이 있는 반면, 공해상에 떠 있는 병원선의 경우 적의 사거리 밖에 떠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머시 함 선내 모습 <출처: 미 해군 유투브 페이지>

운용 현황

머시급 병원선의 기본 임무는 해외에 전개된 병력이나 상륙작전을 실시 중인 병력에 대해 빠르고 유연하면서도 정확한 의무지원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평시에는 인도적 지원이나 자연재해 복구 등 의료지원과 도움의 손길이 필요한 곳에 파견되어 국토안보부를 비롯한 관련 부처와 협조하여 이동외과병원의 역할을 수행한다. 통상 머시 함에 탑승하는 의무진은 샌디에이고의 해군 의료센터 인원이며, 인원과 의료 장비를 모두 탑재하여 NATO 롤(Role) III급 의무치료 시설에 도달하려면 준비에 5일 가량이 소요된다. 머시 함의 함장은 의무병과 혹은 간호병과 소속 대령이 맡는다.


퍼시픽 파트너십을 위해 진주만에서 출항 준비 중인 머시함 수병들의 모습 <출처: 미 태평양사령부/Petty Officer 2nd Class Johans Chavarro>

최근 미 해군에서는 예산 제한 문제로 인해 머시급 병원선의 폐기 주장이 나오고 있는데, 일단 머시 함 자체가 1980년대 말에 유조함을 개조한 배라는 점, 그리고 머시급 병원선에 투입되는 유지비용이 커 30년 내에 총 355척의 배를 갖추겠다는 미 해군의 함정 도입계획에 차질을 주고 있다는 이유로 제기된 주장이다. 심지어 이미 2004년 중반에도 미 해군 의무감을 지낸 마이클 코원(Michael L. Cowan) 중장까지 머시급의 폐기를 주장하면서 “두 척 모두 훌륭한 배지만, 둘 다 공룡 같은 배다. 머시급은 1970년대에 설계되어 1980년대에 건조된 배들이고, 솔직히 말해 한 물 간지 오래다.”라고 평했다.

하지만 반대측 의견은 해당 함정이 전시 의무시설이 확보되기 힘든 원정작전 간에 특히 필요한 전력이며, 평시에도 자연재해 복구나 인도적 구원 등의 목적으로 활용도가 높아 폐지까지는 심하다는 입장이다. 현재 폐기를 주장하는 측은 최소한 두 척의 머시급 병원선 중 하나라도 폐기하자는 주장을 밀고 있어 머시급의 미래는 조금 더 두고 봐야 할 것 같다.


2018 퍼시픽 파트너십 참가를 위해 출항 중인 머시함 <출처: 미 해군 유투브 페이지>

동급함

USNS 머시(T-AH-19): 대형 유조선인 워스(SS Worth)함을 개조한 병원선. 1975년에 최초로 취역한 후 1984년에 병원선으로 개장되어 1986년에 취역했다. 캘리포니아 주 샌디에이고를 모항으로 삼고 있으며, 태평양과 인도양을 주요 작전지역으로 하고 있다.


동티모르 딜리(Dili) 해안에 정박한 머시함 <출처: 미 해군/MC2(SW) Joseph Seavey>

USNS 컴포트(T-AH-20): 대형 유조선인 로즈 시티(SS Rose City)함을 개조한 병원선. 1976년 최초로 취역한 후 개수작업을 거쳐 1987년 병원선으로 취역했다. 버지니아 주 노퍽에 주둔하고 있으며, 머시 함이 커버하지 못하는 전세계 나머지 지역을 작전책임지역으로 삼는다. 평시에는 주로 카리브해와 남미지역에서 활동한다.


아이티의 포르토프랭스(Port-au-Prince) 앞바다에 정박중인 컴포트함 <출처: 미 육군/Spc. Landon Stephenson>

제원

- 종류: 중형 병원선
- 건조사: NASSCO (1974~1976)
- 전장: 272m
- 전폭: 32.18m
- 만재배수량: 70,473톤
- 추진체계: 24,500마력 GE 터빈 엔진 X 2, 보일러 X 2, 샤프트 X 1
- 전개소요시간: 76시간
- 탑재 가능 인원:
└ 단기 작전 시 민간인 12명 + 군인 58명 /
└ 장기작전 시 민간인 61명+군인 1,214명
- 수용 가능 병상:
└ 집중치료실 80병상
└ 회복실 20병상
└ 일반요양실 280병상
└ 경상치료실 120병상
└ 일반 병실(다실) 500병상
└ 총 병상 수 1,000 병상
└ 수술실: 12개 실
- 주요 탑재장비:
└ 컴퓨터 단층촬영(CT) 설비를 비롯한 방사능 장비
└ 주요 실험시설 및 위성 실험시설
└ 중앙 소독시설
└ 물리치료 및 화상치료시설
└ 집중치료시설
└ 치과치료시설
└ 검안시설/렌즈실
└ 영안실
└ 혈관조영검사시설
└ 혈액은행
└ 산소생산설비 (2개)
- 무장: 방어용 고정식 M240 경기관총
- 최고속도: 32.4 km/h
- 대당 가격: $5억 6000만 달러 (1982년 기준, 건조 및 개조비용)
- 운용 유지비: $720만 달러 ~ $2천만 달러


저자 소개

윤상용 | 군사 칼럼니스트

예비역 대위로 현재 한국국방안보포럼(KODEF) 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미국 머서스버그 아카데미(Mercersburg Academy) 및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했으며, 동 대학 국제대학원에서 국제관계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육군 통역사관 2기로 임관하여 육군 제3야전군사령부에서 군사령관 전속 통역장교로 근무했으며, 미 육군성에서 수여하는 육군근무유공훈장(Army Achievement Medal)을 수훈했다. 주간 경제지인 《이코노믹 리뷰》에 칼럼 ‘밀리터리 노트’를 연재 중이며, 역서로는 『명장의 코드』, 『영화 속의 국제정치』(공역), 『아메리칸 스나이퍼』(공역)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