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의 출처는 스페인입니다
기본기 토론방에 쿠션에 근접된 것의 리플을 달다가 제가 참고하는 방법을 올려 봅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켄달님 자료 올려봅니다...^^
EL PROBLEMA DE LA TOMA DE BOLA-3
En esta sesión analizamos la forma de resolver la dificultad de la toma de bola 2 pero esta vez concentrándonos en la propia bola 2. Uno de los métodos que enfoca esta cuestión se debe a los estudios realizados por Darrel Paul Martineau (DPM).
<사용당점과 두께>
두께는 12등분이며 당점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당점을 자세히 보시면 4,5,6,7의 당점은 중심 수평선에서 약간 위쪽으로 형성되있습니다.
또한 4의 당점은 중심 수직에서도 약간 우측으로 되있습니다.
사용의 조건은 그림을 보시면서 이해 하시면 되지만
주로 긴장축의 쿠션에 1적구가 근접할때, 그리고 떨어져 있을 경우는 수치를 보정해서 사용합니다.
수구와 1적구의 거리는 2칸 이상의 경우에 주로 사용합니다.
<예문 1>
1쿠션의 수치는 중간까지는 2,4,6,8 진행되며 중간을 넘어서면 한칸에 1씩증가됩니다.
3쿠션의 수치는 두칸까지는 2의 배수로 2,4, 그 다음은 한칸당 4의 배수로 8, 12입니다.
<사용되는 쿠션 공식>
"1쿠션수+3쿠션수+수구의 기울기"= 합계숫자 를 ⇒ 두께와 당점으로 숫자를 일치시키면됩니다.
1쿠션수(6)+3쿠션수(2)+수구기울기(0)=8의 숫자입니다...
두께의 조합은 다양하게 처리할수 있습니다...
1 두께 + 7당점
2두께 + 6당점
3두께 + 5당점
4두께 + 4당점
5두께 + 3당점의 종류중에서 1적구의 진로를 고려하여 선택할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정확한 두께를 맞추기 위해서는 3,6,9두께를 사용하는 것이 좋았습니다..
3두께 ---1/4두께
6두께 ---1/2두께
9두께 ---2/3두께
위 예문에서는 3두께와 5의 당점을 사용한 그림입니다.
<예문2>
1쿠션수(4)+3쿠션수(8)+수구기울기(0)=12의 숫자입니다...그러면 두께와 당점은 6두께와 6당점으로...
<예문3>
1쿠션수(8)+3쿠션수(2)+수구기울기(2칸×2=4)=14 의 숫자입니다...그러면 두께와 당점은..
<예문 4>
1쿠션수(6)+3쿠션수(4)+수구기울기(-1칸×2)=8의 숫자입니다...그러면 당점과 두께는
<예문 5>
1쿠션수 8 + 1적구가 1칸벌어져 (-2) = 6
3쿠션수 2
수구기울기 3칸 × 2 = 6
총계 14로 6두께와 8의 당점 사용...
<예문 6>
1쿠션수 6 + 1적구가 2칸벌어져 (-3) = 3
3쿠션수 3
수구기울기 2칸 × 2 = 4
총계 10으로 3두께와 7의 당점 사용...
<예문7>
수구와 적구가 근접시에는 기울기를 얇게 치는 기울기로 적용하며
1쿠션수 10 + 1적구가 3칸벌어져 (-4) = 6
3쿠션수 2
수구기울기 1칸 × 2 = 2
총계 10으로 3두께와 7의 당점 사용...
<1적구의 쿠션에서 거리에 따른 보정수치>
1칸 -2,
2칸 -3을
3칸 -4를 1쿠션수에 빼주면 된다...
[출처] DPM(볼시스템 옆돌리기) (캐롬학당) |작성자 어심 |
'그룹명 > 당구-기타사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점의 특성과 팁수의 구분법 | 3c 기본 개념 (0) | 2012.02.21 |
---|---|
시드 시스템 산수풀이 그리고 시드 시스템 확장 | 기본기 토론방 (0) | 2012.02.21 |
[스크랩] 당구계의 슈퍼스타들 (0) | 2010.10.24 |
멋진 3단 샷입니다............당구 3쿠션|실전 초이스 (0) | 2010.09.23 |
[스크랩] 당구 자료카페 소개 (0) | 2009.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