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전쟁을 소재로 한 詩(시)
1. 국군은 죽어서 말한다
― 나는 광주 산곡을 헤매이다 문득 혼자 죽어 넘어진 국군을 만났다 ― 모윤숙
산 옆 외따른 골짜기에 혼자 누워 있는 국군을 본다. 아무 말, 아무 움직임 없이 하늘을 향해 눈을 감은 국군을 본다.
누른 유니폼 햇빛에 반짝이는 어깨의 표식 그대는 자랑스런 대한민국의 소위였고나. 가슴에선 아직도 더운 피가 뿜어 나온다.
장미 냄새보다 더 짙은 피의 향기여! 엎드려 그 젊은 주검을 통곡하며 나는 듣노라! 그대가 주고 간 마지막 말을 ……
나는 죽었노라. 스물 다섯 젊은 나이에 대한민국의 아들로 나는 숨을 마치었노라. 질식하는 구름과 바람이 미쳐 날뛰는 조국의 산맥을 지키다가 드디어 드디어 나는 숨지었노라.
내 손에는 범치 못할 총자루, 내 머리엔 깨지지 않을 철모가 씌워져 원수와 싸우기에 한 번도 비겁하지 않았노라. 그보다도 내 핏속엔 더 강한 대한의 혼이 소리쳐 나는 달리었노라. 산과 골짜기, 무덤 위와 가시숲을 이순신같이, 나폴레온같이, 시이저같이, 조국의 위험을 막기 위해 밤낮으로 앞으로 앞으로 진격! 진격! 원수를 밀어 가며 싸웠노라. 나는 더 가고 싶었노라. 저 원수의 하늘까지 밀어서 밀어서 폭풍우같이 모스코바 크레믈린 탑까지 밀어 가고 싶었노라.
내게는 어머니, 아버지, 귀여운 동생들도 있노라. 어여삐 사랑하는 소녀도 있었노라. 내 청춘은 봉오리지어 가까운 내 사람들과 함께 이 땅에 피어 살고 싶었었나니 아름다운 저 하늘에 무수히 날으는 내 나라의 새들과 함께 나는 자라고 노래하고 싶었어라. 나는 그래서 더 용감히 싸웠노라. 그러다가 죽었노라. 아무도 나의 주검을 아는 이는 없으리라. 그러나 나의 조국, 나의 사랑이여! 숨지어 넘어진 내 얼굴의 땀방울을 지나가는 미풍이 이처럼 다정하게 씻어주고 저 하늘의 푸른 별들이 밤새 내 외롬을 위안해 주지 않는가?
나는 조국의 군복을 입은 채 골짜기 풀숲에 유쾌히 쉬노라. 이제 나는 잠시 피곤한 몸을 쉬이고 저 하늘에 날으는 바람을 마시게 되었노라. 나는 자랑스런 내 어머니 조국을 위해 싸웠고 내 조국을 위해 또한 영광스리 숨 지었노니 여기 내 몸 누운 곳 이름 모를 골짜기에 밤이슬 나리는 풀숲에 나는 아무도 모르게 우는 나이팅게일의 영원한 짝이 되었노라.
바람이여! 저 이름 모를 새들이여! 그대들이 지나는 어느 길 위에서나 고생하는 내 나라의 동포를 만나거든 부디 일러 다오. 나를 위해 울지 말고 조국을 위해 울어 달라고. 저 가볍게 날으는 봄나라 새여 혹시 네가 날으는 어느 창가에서 내 사랑하는 소녀를 만나거든 나를 그리워 울지 말고 거룩한 조국을 위해 울어 달라 일러 다고.
조국이여! 동포여! 내 사랑하는 소녀여! 나는 그대들의 행복을 위해 간다. 내가 못 이룬 소원, 물리치지 못한 원수, 나를 위해 내 청춘을 위해 물리쳐 다오.
물러감은 비겁하다. 항복보다 노예보다 비겁하다. 둘러싼 군사가 다아 물러가도 대한민국 국군아! 너만은 이 땅에서 싸워야 이긴다. 이 땅에서 죽어야 산다. 한 번 버린 조국은 다시 오지 않으리라. 다시 오지 않으리라. 보라! 폭풍이 온다. 대한민국이여!
이리와 사자 떼가 강과 산을 넘는다. 내 사랑하는 형과 아우는 서백리아 먼 길에 유랑을 떠난다. 운명이라 이 슬픔을 모른 체 하려는가? 아니다. 운명이 아니다. 아니 운명이라도 좋다. 우리는 운명보다는 강하다. 강하다.
이 원수의 운명을 파괴하라. 내 친구여! 그 억센 팔 다리. 그 붉은 단군의 피와 혼, 싸울 곳에 주저 말고 죽을 곳에 죽어서 숨지려는 조국의 생명을 불러 일으켜라. 조국을 위해선 이 몸이 숨길 무덤도 내 시체를 담을 작은 관도 사양하노라. 오래지 않아 거친 바람이 내 몸을 쓸어가고 저 땅의 벌레들이 내 몸을 즐겨 뜯어가도 나는 즐거이 이들과 함께 벗이 되어 행복해질 조국을 기다리며 이 골짜기 내 나라 땅에 한 줌 흙이 되기 소원이노라.
산 옆 외따른 골짜기에 혼자 누운 국군을 본다. 아무 말, 아무 움직임 없이 하늘을 향해 눈을 감은 국군을 본다. 누른 유니폼 햇빛에 반짝이는 어깨의 표식 그대는 자랑스런 대한민국의 소위였고나. 가슴에선 아직 더운 피가 뿜어 나온다. 장미 냄새보다 더 짙은 피의 향기여! 엎드려 그 젊은 주검을 통곡하며 나는 듣노라! 그대가 주고 간 마지막 말을.
* 해설 6·25 때 광주 산곡에서 총상을 입고 죽어가는 어느 국군 소위를 발견하고 조국과 민족을 위해 목숨을 초개처럼 버린 그의 애국 · 애족심을 노래한 계몽시이다.
2. 적군묘지 앞에서 / 구상
오호, 여기 줄지어 누워 있는 넋들은 눈도 감지 못하였겠구나.
어제까지 너희의 목숨을 겨눠 방아쇠를 당기던 우리의 그 손으로
썩어 문드러진 살덩이와 뼈를 추려 그래도 양지바른 두메를 골라 고이 파묻어 떼마저 입혔거니,
죽음은 이렇듯 미움보다도, 사랑보다도 더 너그러운 것이로다.
이곳서 나와 너희의 넋들이 돌아가야 할 고향 땅은 삼십 리(里)면
가로막히고, 무주공산(無主空山)의 적막만이 천만 근 나의 가슴을 억누르는데,
살아서는 너희가 나와 미움으로 맺혔건만,
이제는 오히려 너희의 풀지 못한 원한이 나의 바램 속에 깃들여 있도다.
손에 닿을 듯한 봄 하늘에 구름은 무심히도 북(北)으로 흘러 가고,
어디서 울려오는 포성(砲聲) 몇 발, 나는 그만 이 은원(恩怨)의 무덤 앞에 목놓아 버린다.
* 해설 이 시는 6·25의 체험을 노래한 시집 '초토의 시'(1956)라는 연작시 15편 중, 여덟 번째 작품으로 동족상잔의 비극으로 생겨난 '적군 묘지' 앞에서 이데올로기라는 허상 속에 감추어진 인간의 권력욕으로 인한 그들의 죽음을 애도하는 한편, 기독교적 윤리관에 바탕을 둔 사랑과 화해의 정신으로 민족 동질성의 회복과 평화통일에 대해 염원하고 있다.
3. 나도 푯말이되어 너랑같이 살고 싶다. / 조정현
나도 푯말이되어 너랑같이 살고싶다. 별 총총 밤이드면 노래하고 춤도추략 철따라 멧새랑같이 골속골속 울어도보고
오월의 창공보다 새파란 눈동자. 고함은 청천벽력 적군을 꿉질렀다. 방울쇠 손가락에 건채 돌격하던 그 용자.
네가 내가 되어 이렇게 와야 할걸 내가 네가 되어 이렇게 서야 할걸 강물이 흐른다손 이것이 왠말인가?
향꽃고 삼귀의 꽃드리니 묵념이요. 바라밀경 오이며 나즉이 정례하고 원왕생 축원 올리며 다시 합장하느니
* 해설 무명용사들의 무덤앞에서 그들의 전투장면을 연상하며 민족과 나라를 위해 산화한 용사들을 기리는 마음을 불교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노래한 시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