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A
놀공 더블쿠션 휭단샷은 키스의 위험이 상당히 보입니다 ^^
얇게 빠르게 샷을 해서 놀공이 올라오기 전에 수구가 장축을 횡단하면 굳이 어려울 것까지 없지만
여기선 비껴치기 장단을 초이스 합니다 ^^
이러한 포지션에서 수구의 2쿠션 지점에 대한 근거를 논하려면 짧은각에서 노잉글리쉬 시스템을
이해해야 합니다
수구가 1쿠션 지점에서 2쿠션 지점으로 향할때 수구의 성향은 방향에 대한 반사 각으로 분리되어
진행합니다
만일 중단의 회전이 주어진다고 하더라도 2쿠션 이후의 수구의 진행은 역회전이 살아 있는 상태가
아니고 단지 직진성만 강조된 듯한 느낌으로 진행합니다
그렇게 되면 중상단 혹은 상단 당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구의 쿠션에서의 분리각은 퍼지지 않고
밋밋하게 진행하게 될 것입니다
이 의미는 스트록 시 타격이 들어가는 샷이 아니라는 뜻입니다
즉 타격이 실리게 되면 수구의 당점이 중상단일 경우는 2쿠션 지점까지도 수구가 무회전으로
편안하게 풀리지 못하고 직진성향이 어느정도 강조된 상태로 뻣뻣하게 진행 할 것입니다
그리고 중단 회전일 경우는 3쿠션 지점까지도 직진성향이 강조된 상태가 아닌 어느정도 역회전의
성향을 띄고 진행할 것입니다
그림 B
위 그림에서 큐가 그려진 것은 스트록의 세기를 표현하기 위한 것입니다
여기서의 샷은 팔로쓰루가 필요한 타격이 들어가는 샷이 아니라 큐의 속도가 변함없이 수구를
관통하고 그속도 그대로 의도한 큐선의 위치인 공한개 정도의 길이까지 진행하는 샷이 필요합니다.
즉 팔로쓰루가 필요없는 즉 할 수 없는 스트록입니다
주의 하실점은 타격이 없다는 느낌을 오해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수구를 문지르는 느낌이
아닙니다 필요한 샷은 하지만 임팩트 순간 큐의 속도가 빨라지지 않고 그렇게 멀지 않은 거리동안
큐가 계속 진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샷동작중에 "딱" 때리는 느낌만 없다면 비슷한 샷입니다 ^^
2적구인 놀공의 위치가 그렇게 높이 있는 상황이 아니므로 수구를 중상단 혹은 상단으로 수구를
제한하지 않고 편안하게 보내면 그림에서 파란색 수구진행 동선 처럼 2적구를 넘어 가는 상황도
나올 수 있습니다
빨간색 별이 그려진 또하나의 흰공은 진행 중인 수구를 그린 것입니다
수구의 당점이 그림의 A 의 중상단 당점이고 부드럽게 샷을 했다면 수구 C 의 상태는 중상단
당점은 2쿠션 지점으로의 기울기를 만들고 수구의 회전성향은 소멸했으므로 편안한 무회전
상태로 입사에 대한 반사각으로 분리되어 진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수구의 당점이 그림의 B 처럼 중단 반팁 혹은 1팁 정도라면 수구는 역회전 상태는
아니지만 분리각도 예민한 상태로 다소 뻣뻣하게 진행하여 중상단 당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완만하게 진행 할 것입니다
Tip !!
포지션에 따라 타격이 들어가는 샷을 구사하기도 하지만 샷의 타격으로 수구의 입사각을
조절하지 마시고 가능하면 타격감이 없는 일정한 샷으로 1적구의 두께와 수구의 당점으로
수구의 진행경로를 결정하십시요
그리고 타격이 없는 샷으로 가끔 수구가 2적구까지 못가는 상황이 나오는데 이는 자신도
모르게 1적구의 두께를 너무 두껍게 맞추거나 얇게 맞추더라도 임팩트 순간 타격이 들어가
끌린으로 작용하여 수구의 1차 분리각을 밋밋하게 만들기 때문에 벌어지는 현상입니다
위의 포지션은 1적구와 장축의 거리가 멀다면 1쿠션 지점을 보고 치는 샷이지만 그림처럼
1적구와 장축이 가깝다면 2쿠션 지점을 보고 샷을 하는 포지션입니다
2적구와 3, 4 쿠션의 지점은 의식마시고 정확한 당점과 두께 그리고 샷으로 2쿠션 지점을
보시고 정확하게 보내는데 집중하시면 크게 무리가 없는 포지션입니다
그리고 수구의 당점의 차이에 따른 수구의 진행 경로 즉 4쿠션 지점이후의 경로를 기억하세요
'그룹명 > 당구 운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버스 포지션 6 (수구와 1적구의 거리가 멀때) (0) | 2009.11.19 |
---|---|
리버스포지션 5 (수구와 1 적구의 거리가 멀지 않을때) (0) | 2009.11.19 |
리버스 포지션 4 (0) | 2009.11.19 |
키스백을 이용한 구멍치기 (0) | 2009.11.19 |
앞 돌리기 대회전 2 (0) | 2009.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