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명/당구 운동

리버스 포지션-2-

바래미나 2009. 11. 17. 16:36

 

 

그림A

 

  

리버스 포지션입니다 고수님들이 저 포지션을 만난다면 좋아 하시겠지만

많은 동호인들은 고민을 할 것입니다

어떤공을 1적구 삼아 구사해야 하는지 초이스에서도 고민이 되기도 합니다

리버스 포지션중에 가장 쉬운 포지션입니다

수구의 위치가 A 위치에서 오른쪽 장축으로 이동한다면 그림과 같이

역회전 리버스 초이스를 하시면 안됩니다 그때는 제회전 더블쿠션을 시도하시던가

아니면 빨간색공을 1적구 삼아 앞돌리기 대회전 등 다른 초이스를 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1적구의 위치가 왼쪽 장축에 붙어 있거나 공두개 넓이 이상 장축에서

떨어져 있어도 역회전 리버스를 초이스 하시면 안됩니다

키스의 위험이 많고 실제 키스를 빼기가 만만찮은 포지션이 됩니다

그림에서 1적구의 위치가 P 지점까지 올라와도 역회전 리버스를 구사할 수

있지만 수구와 1적구와 가까이 있어도 어려운 초이스가 됩니다

 

스트록 해법 !!

1) 수구의 당점은 1적구를 얇게(1적구의 진행동선 참고) 쳐서 반대편 장축으로

    일직선을 그리듯이 진행할 수 있는 당점 즉 중단 2팁반 혹은 중하단 2팁 입니다

2) 1적구의 두께는 아주 얇습니다 두껍게 구사하시면 수구의 직진성향이 강하게 나타나

    2적구까지 가기전에 단축으로 떨어집니다

3) 스트록은 타격감이 없이 역회전을 살려서 수구를 보내는 정도로 충분하지만 스트록이

    익숙하지 않으면 약하게 타격감을 실어주는 정도로 부드럽게 구사하세요

    명심할것은 익숙해지는대로 타격감없이 수구를 스트록하는 방식으로 연습을 계속

    하셔야 합니다 이포지션에서 수구에 타격감이 실리면 수구를 빨리 단축으로 떨어뜨리는

    역활을 하게 됩니다 분명히 말씀드리지만 타격감없이 무드러운 스트록으로 충분합니다

4) 인위적으로 끌려고 하지 마시고 수구의 역회전 성향이 살아 있는한 수구는 장축으로 떨어

    지지 않습니다 그러니 얇은 두께에 역회전을 충분히 살려서 부드럽게 수구를 보내보세요

 

정말로 쉽게 성공할 겁니다 쉬워요 !! ^^

TIP !!!

1적구와 수구의 위치에 따라 당점이 중단과 중하단으로 변하지만 이포지션에서 수구에

있어서는 안될 성향은 큐의 스트록으로 인한 힘이 배제된채 수구 자체 회전의 힘으로만

1적구를 맞아야 합니다 그러니 수구와 1적구가 가까우면 스트록이 굉장히 부드러워야 하기

때문에 어렵습니다

 

TIP !!!

그리고 수구의 위치가 오른쪽 장축으로 치우치면 1적구의 두께를 얇게 칠 수 없어 어렵습니다

그리고 1적구의 위치가 왼쪽 장축에서 공2개 정도로 벌어지면 1적구를 맞고 1쿠션의 위치로

수구가 가는 동안의 공백으로 수구가 1쿠션을 맞으면서 생기는 역회전의 반발 분리각을

만들 수 없어 수구가 반대편 장축으로 일직선으로 이동할 수 없어 너무 일찍 단축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그리고 수구의 2쿠션으로의 진행속도가 떨어져 1적구와의 키스를 뺄 수가 없습니다

 

역회전 리버스 포지션에서 1적구와 장축 혹은 단축의 거리가 멀게되면 수구의 회전으로 인한

1쿠션에서의 반발각을 만들기 어려워 어려운 초이스가 됩니다

모든 리버스 포지션에서 제일 중요한것은 수구가 1쿠션에 맞는 순간입니다

어떨때는 수구가 밀려야 되고 어떨때는 밀리지 않아야 되고 등 포지션마다 다르기 때문에

리버스 포지션의 성공여부는 1쿠션에 맞을때 결정됩니다 ^^

 

어쨌던 위의 포지션은 반드시 마스터하셔야 할 포지션입니다 기본입니다

여러 포지션에 응용이 많이 됩니다

 

응용 예 !!

  

 

많은 동호인들은 빨간색공을 1적구로 초이스를 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하지만 위의 그림대로 초이스를 하셔서 구사하시면 어이 없을정도로

쉽게 성공하실 수 있습니다 ^^


'그룹명 > 당구 운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쿠션 뱅크샷 당점-1-  (0) 2009.11.17
더블레일 포지션-1-  (0) 2009.11.17
더블쿠션의 당점 변화에 따른 수구동선  (0) 2009.11.17
바같 돌리기의 실수  (0) 2009.11.17
제각 돌리기의 이해  (0) 2009.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