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A
수구가 두가지로 설정이 되었지만 어떤 수구로 포지션이 되더라도 "난구"입니다 ㅜㅜ
이런식의 포지션은 "디펜스"가 된 공으로 이런 포지션을 풀지 못한다면 계속해서
"디펜스"가 이루어 지고 게임에 지고 말 것입니다 ^^
지금 부터 풀어 봅시다 ^^
그림 B ( "리버스"로 풀어 보는 확장입니다 )
"포지션별 재해석"에서 설명한 "리버스 단장"으로 풀기가 난해합니다
1적구가 단축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 단축에 떨어진 수구의 역회전이 살아 나기가
너무 어렵게 보입니다
그리고 역회전 리버스는 2적구가 단축에 가까이 있어 확률이 많이 떨어집니다
그래서 수구의 회전을 주지 않고 단지 수구의 전진력의 조절로 수구를 잘게 쪼개듯이
아래로 내려 보낸다면 가능하지 않을까요 ?
샷은 타격이 들어가서도 그렇다고 끌어서도 안되지만 그로인해 수구의 떨어짐이 크게
될 것을 염려한다면 수구의 당점을 중단 무회전에서 약간 아래쪽으로 내려줍니다
제가 끌어치지 말라고 해서 너무 수구를 보내기만 하면 안됩니다
끌지 말라고 표현 하는것은 의도적으로 끌지 말라는 뜻입니다
대신에 큐를 가볍게 잡는 듯한 느낌은 가질 수 있어야 합니다
어떤 의미에선 이것도 약하지만 끌어 치는 샷입니다 가볍게............ ^^
수구가 자연스럽게 아래로 잘게 쪼개지면서 진행한다면 정상적으로 샷을 하신 겁니다
몇번 연습을 해보시면 어느 정도 감각을 찾지 않을까 생각 됩니다 ^^
그리고 위그림의 수구 B 는 수구의 1적구로 입사각이 깊어 졌습니다
이럴때는 다른 조절을 하지 마시고 수구의 당점을 약간 더 아래쪽으로 내려주면
보정이 충분합니다
그리고 샷은 동일 하지만 깊어진 입사각으로 인해 샷을 할때 불안감을 느낀다면
결과는 좋지 않습니다
자신감있게 구사하시고 그래도 부담이 되어 잘 안된다면 약간의 타격감을 실어 보세요
단지 성공할때 까지만 하시고 성공하시면 다시 타격감없이 연습을 하세요
사실 타격감이 있고 없고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습니다
너무 의식하지 마시고 그렇다고 너무 무시하지 마시고 감각을 찾으세요 ^^
그림 C ( 수구와 1적구의 거리가 멀리 있을 때 )
수구의 당점 조절로 "리버스 단장"을 구사하셔도 무방하지만 성공확률은 너무나 떨어집니다
차라리 다른 초이스를 하실 것을 권합니다
그림의 검은색 점선의 수구동선을 그릴 수 있게 구사하시길 권합니다
'그룹명 > 당구 난구 연구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마이너스 횡단샷(?) (0) | 2008.11.17 |
---|---|
[스크랩] 마이너스 횡단샷(?) (0) | 2008.11.17 |
[스크랩] 리버스 포지션의 확장 (0) | 2008.11.17 |
[스크랩] 뒤돌려치기의 이해 (0) | 2008.11.17 |
[스크랩] 장축 더블레일 (0) | 2008.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