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A
위 그림의 포지션은 실전에서 자주 나오지만 은근히 쉽지않은 포지션입니다 ^^
여러가지 다양한 초이스가 가능하지만 이장에서는 장축 더블레일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합니다
자신의 스트록이 상당히 부드러워져 있다면 아래 그림의 초이스가 가장 현실적입니다 ^^
그림 B
위 포지션은 1적구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즉 수구가 1적구와 접촉 시 타격감이 실리게 되면 1적구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길어져 수구 혹은
2적구와의 키스가 발생합니다
그리고 수구의 타격감은 수구와 1적구의 1차 분리 이후 키스의 위험도 있습니다
수구는 수구에 당점으로 인해 발생하는 회전력으로 2적구까지 진행함을 믿고 샷을 해야지
혹시나 큐를 이용해 타격의 힘으로 수구를 2적구까지 보내려고 한다면 키스를 발생시켜 득점에
실패합니다 ^^
이포지션은 다음에 다시 한번 다루겠습니다 ^^
그림 C
수구가 1적구와 자연스런 분리각을 만들고 장축을 따라 자연스럽게 2적구로 향하는 득점경로를
그리신다면 수구를 보낼때 절대 타격감이 들어가면 안됩니다
수구에 타격감이 실리면 조절이 잘안되는 부분들은 1쿠션 지점의 위치, 1적구의 두께, 수구의
회전력 등 많은 부분들이 의도하는 대로 조절하기가 어렵습니다 ^^
약하게 발생하는 스쿼트현상을 고려하시어 1적구의 두께를 결정하고 1적구를 생각보다 두껍게
맞혀야 합니다
왜냐면 2적구의 위치가 장축에서 많이 떨어져 있지 않아 당점을 중단당점으로 가져가면 자칫
수구의 회전력이 과해서 2적구를 넘쳐 진행하여 득점에 실패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입니다
그림의 수구당점은 거의 상단 당점으로 회전력으로 따진다면 2적구까지 진행을 하지 못할 수 도
있는 약한 회전력입니다 즉 방향의 특성이 더욱 강합니다
대신에 약한 회전력의 보완으로 1적구와 두껍게 맞고 수구를 진행시켜 두꺼운 두께로 인해
수구의 본연의 방향의 특성이 즉시 발휘되지 않고 1쿠션 지점에서 2쿠션 지점으로 향할때는
억제 시켰다가 2쿠션 지점에서 3쿠션지점으로 향할때 방향의 특성이 나타나 2적구로의
득점경로에 수구를 올려놓게 합니다
이포지션의 핵심 포인트 !!
1, 1적구의 두께를 생각보다 두껍게 가져갑니다
2, 약한 스쿼트현상을 고려할 것
3, 스트록 시 타격감이 절대 들어가면 안됩니다
4, 샷을 때리고 멈추지 말고 공한개정도의 큐선의 길이만큼 샷을 할것
5, 2 적구의 위치가 장축에서 멀리 떨어져 있지 않다면 중상단 당점으로 해결할 것
그림 D ( 커브현상 이용 포지션 )
커브현상을 이용하여 구사해야 할 경우도 있습니다
수구와 1적구의 거리가 멀거나 혹은 2적구의 위치가 장축에서 많이 떨어져 수구에 많은 회전력이
있어야 득점에 용이 할때 입니다
위 포지션도 마찬가지 입니다
수구가 1적구를 맞고서 수구의 역회전이 살아 있어야 할 경우의 수구의 샷은 절대 때리면 수구의
회전력을 살리기 어렵습니다
수구의 입사각이 다르다면 예외겠지만 위 그림의 포지션의 수구와 1적구의 입사각을 이룬다면
1적구의 두께를 두껍게 가져가고 스트록 시 타격감이 없게 하면 1적구의 두꺼운 두께로 인해
수구가 단축에 먼저 맞을것을 우려하지만 타격감만 없다면 왠만큼 두껍지 않고서는 수구가
단축에 먼저 맞는 상황은 연출도기 어렵습니다 ^^
'그룹명 > 당구 난구 연구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마이너스 횡단샷(?) (0) | 2008.11.17 |
---|---|
[스크랩] 마이너스 횡단샷(?) (0) | 2008.11.17 |
[스크랩] 리버스 포지션의 확장 2 (0) | 2008.11.17 |
[스크랩] 리버스 포지션의 확장 (0) | 2008.11.17 |
[스크랩] 뒤돌려치기의 이해 (0) | 2008.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