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A
위 그림의 포지션을 접하면 당신의 초이스는 어떤 선택을 .... ?
참 ㅜㅜ 남감합니다 ^^
횡단샷을 이용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보이지만 쉽지 않아 보입니다
그림 B
앞서 "포지션별 재해석"에서 우리는 리버스 포지션에 대한 설명을 했습니다
그설명의 연장선이라고 보시면 무난합니다
위의 포지션에서 수구를 1쿠션 지점에서 2쿠션 지점인 "2P A / 2P B" 로 커브로 보낼 수
있는 요인은 당점도 샷도 그 어떤 것도 아닌 바로 수구의 임팩트 시 정해진 방향으로의
관성으로 가고자 하는 전진력을 이용한 것입니다
이포지션에서 이 전진력을 살리는 방법으로 스트록으로 조절을 하는 것이 아니라
1적구의 두께를 얇게 구사함으로써 초기의 샷에 의해 잠깐 억제 되었던 수구의 전진력이
1쿠션 지점의 반발 이후 다시 살아나면서 수구가 곡구를 그리면서 휘어져 2쿠션 지점으로
진행하게 되는 것입니다
2쿠션 지점이 "A" 이면 수구는 4쿠션 이후 2적구를 맞게 될 것이고 만약 2쿠션 지점에 "B"
이면 수구는 단축을 맞지 않고 직접 진행을 할 것입니다
하지만 수구의 2쿠션 지점이 "B"지점보다 먼저 휜다면 득점에 실패 할 것입니다
그리고 여기선 1적구와 단축의 거리가 약간 멀어서 당점을 중단당점 만으로도 가능하지만
수구가 너무 일찍 2쿠션 지점으로 휜다면 당점을 하단쪽으로 조금씩 이동을 시켜 보세요
단 약간 하단성향으로 당점이 이동한다고 샷을 끌어 치시면 절대 안됩니다
당점만 약간 변화를 준것이지 스트록까지 바꾸시면 안됩니다
그림 C ( 1적구의 위치가 단축에서 보다 가까울 때 )
위 그림의 포지션은 그림 B 에서 1적구의 위치만 단축으로 가까이 이동시켰습니다
이럴때는 당점만 중단에서 약간 아래쪽으로 내려 줍니다
너무 당점이 내려가도 안됩니다
그리고 끌어치셔도 안되구요..... ^^
또한 타격이 들어가도 안됩니다
하지만 처음에 연습을 하실때 잘 되지 않는다면 약간의 타격감을 실어 보세요
그러면 조금 나아 지지만 일시적인 현상입니다
타격이 들어가면 수구를 정확하게 1쿠션 지점에 놓기가 어렵습니다 이건 절대적입니다
그러니 약간의 타격을 실어서 샷의 느낌을 알게 되시면 타격이 없는 샷으로 다시 연습을
하시면 쉽게 익숙해지실 겁니다
이제 위의 포지션이 절대 난구가 아닙니다 ^^
그리고 위 포지션에서 1적구가 그림의 위쪽 단축과 더 멀어진다면 다른 초이스를
하셔야 합니다
물론 똑같은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지만 너무나 어려운 샷을 필요로 하며 확률적으로
그다지 권할만 한 초이스가 아닙니다 ^^
'그룹명 > 당구 난구 연구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마이너스 횡단샷(?) (0) | 2008.11.17 |
---|---|
[스크랩] 마이너스 횡단샷(?) (0) | 2008.11.17 |
[스크랩] 리버스 포지션의 확장 2 (0) | 2008.11.17 |
[스크랩] 뒤돌려치기의 이해 (0) | 2008.11.17 |
[스크랩] 장축 더블레일 (0) | 2008.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