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명/3C의 기본 개념

[스크랩] 횡단샷의 이해 2

바래미나 2008. 11. 17. 02:18

그림 A

 

 

 

위 그림에서 주의 할것은 수구와 1적구가 가까이 있기에 키스를 빼는 방법은 수구가 1적구

보다 먼저 지나가야 합니다

가끔 급한 마음에 수구를 빠르게 보내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이는 잘못 생각하신 겁니다

수구가 빨라지면 쿠션에서의 반발도 강해져 수구가 2쿠션 지점이후 진행이 자연스럽지

못할 수 있습니다

즉 수구 본연의 회전력이 살아나지 못하고 반발의 의한 반사각으로만 진행하여 2목적구

까지 도달하지 못하는 상황이 나올 수 있습니다

즉 부드럽게 약간의 스피드만 실어서 보냅니다

다음은 당점입니다

수구가 2쿠션 지점에서 3쿠션 지점으로 떨어지는 각을 형성하는 요인은 1쿠션 지점에서

2쿠션지점으로 진행하는 입사각이 주된 요인이지만 수구의 스피드와 당점도 3쿠션지점

으로의 방향을 설정하는 요인이 됩니다

즉 수구의 입사각에 대한 일정한 반사각에 대해 수구의 스피드로 인한 반발 분리각이

작용을 하고 그림속의 B 의 동선인 중하단 당점으로 수구를 보내면 하단당점은 수구의

회전력 보다는 방향성의 특성이 더 강합니다

따라서 수구는 당점에 의한 분리각에 크게 영향을 받지 못하고 그림속의 검정색 점선의

동선처럼 밋밋한 반사각을 가지게 됩니다 당연히 수구의 회전력도 많지 않겠죠 ^^

반면에 중단당점은 수구의 회전력을 최대한 살리는 당점이다 보니 회전력에 의한 수구의

무게 증가(?)로 인해 수구진행상 아래방향인 위쪽의 단축쪽으로 급격하게 떨어져서 훨씬

깊은 반사각을 만들어 냅니다

 

그림에서 2적구가 단축쪽으로 많이 내려가 있다면 중하단의 당점이 맞습니다 ^^

 

그림 B

 

 

 

그림 B 의 포지션에서 1적구를 얇은 두께에 빗겨치기로 빠르게 보내다 보면 전혀 예상하지 않았던 적구끼리의 키스가 발생하는 것을 보게 됩니다

이는 1적구를 얇게 구사하다 보니 수구에 비틀림으로 작용하고 이는 1적구의 두게에 맞을때 수구가 1적구를 감고 돌듯이 찍어치는 효과가 되어 1적구를 예상보다 훨씬 더 장축쪽으로

가게 됩니다

즉 1적구를 단축쪽으로 일자로 보내어서 올라오게 하기 위해선 생각보다 두꺼운 두께로

수구를 비틀림없이 샷을 해야 합니다 (그림에선 1/3 ~ 절반 정도 입니다 )

그림에서도 설명을 했듯이 두께가 두꺼운 만큼 수구가 2쿠션에서 3쿠션 지점으로 진행할때 올라오는 1적구와의 키스를 생각할 수 있지만 그림의 포지션에서는 키스를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만일 수구와 1적구의 거리가 조금만 더 멀어도 키스의 위험은 굉장히 높아집니다

하지만 수구와 1적구의 거리가 가까워 1적구의 속도를 느리게 조절하면서 수구를 빠르게

보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수구의 속도가 너무 빠르면 그림 A 에서 설명했듯이 수구의 회전력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3쿠션 지점이후 2적구로의 진행이 자연스럽지 못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포지션상 수구와 1적구의 키스의 위험이 전혀 없는것이 아닙니다

하지만 여기서 키스타임을 도저히 뺄 수 없을것 같은 상황이라면 그림속의 1적구의 동선처럼

1적구를 두껍게 구사하여 1적구가 바깥쪽으로 진행시키셔야 키스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위 두그림속의 포지션에서 핵심은 수구가 2쿠션 이후 자연스럼 반사각을 가지고 회전력이

살아있어서 3쿠션이후 역회전으로 살아갈 수 있어야 합니다

애초에 수구에 회전을 실을때 충분한 회전력을 실어주는것도 중요하고 2쿠션 지점이후

수구의 반사각을 결정하는 몇가지 요인들을 고려하여 스트록을 해야합니다

그렇다고 수구를 바르게 구사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부드럽게 그렇다고 너무 느리지 않게 구사하시면 1적구의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키스의

위험은 없습니다

상위의 설명과 초이스가 가능한 이유는 수구와 1적구의 거리가 가까워서 유리한 초이스가

됩니다

거리가 멀면 다른 초이스가 되어야 합니다 ^^

출처 : 켄달의 당구와바다낚시
글쓴이 : 켄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