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해군, 차기 항모에 레이저포 설치 추진
미국 해군이 적의 미사일 공격에 대항해 차기 항공모함에 레이저포 설치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미 온라인 군사 전문매체 밀리터리닷컴은 항공전 담당 마이클 매너지르 국장(소장) 등 관계자들의 말을 빌려 차기 항공모함 가운데 초도함인 제럴드 포드(CVN-78)를 시작으로 포드급 항모에 레이저포(LaWS)를 설치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18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제럴드 포드 함의 자체 발전용량은 기존의 니미츠 급 항모보다 3배나 강력한 1만 3천800볼트입니다.이는 항공기 이륙을 지원하는 최첨단 전자기 사출장치(EMALS)는 물론이고, 레이저포와 최고 음속의 7배의 속도로 탄환 발사가 가능한 '전기포'(electric gun, 레일건)까지 충분히 운용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관계자들은 설명합니다.
미 해군이 항모에 레이저포 설치에 적극적으로 나선 것은 '항모 킬러'라는 별명이 붙은 중국의 '둥펑-21' 등 대함미사일(ASBM)이 미국의 적대국들에게 확산될 우려 때문입니다.
효용성이나 경제적 문제도 영향을 끼쳤습니다.통상 미국의 항모전단은 촘촘한 대공/요격 미사일 방어망을 운영합니다.
그러나 ASBM은 함대공 미사일이나 요격미사일보다 제조 비용이 싼 편인 데다 항모전단에 배속된 전투 함정들이 대공, 요격미사일을 많이 싣는 데서 비롯된 공간 부족으로 공격용 화기 적재에 어려움을 겪는 게 다반사입니다.
이런 문제를 보완하는 것이 레이저포입니다.미 해군은 지난해 말 세계 최초로 레이저포를 수륙양용 수송함인 폰스(LPD-15)에 장착해 아라비아해 걸프만에 실전 배치했습니다.
앞서 미 해군은 폰스 수송함에 30㎾급 레이저포를 장착해 3개월 동안 타격실험을 진행한 끝에 높은 타격 정밀도와 빠른 타격 속도를 확인하는 등 성공을 거뒀습니다.
기존의 대공, 요격미사일과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싼 비용도 고려됐습니다.레이저포를 한번 발사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은 59센트(650원)에 불과합니다.
이는 한 발당 가격이 19억 원가량인 대표적인 함대공 미사일 SM-2과는 아예 비교조차 되지 않습니다.
한편, 미 해군은 제럴드 포드 함을 연내에 진수하는 것을 시작으로 오는 2025년까지 존 F 케네디 함(CVN-79)과 엔터프라이즈 함(CVN-80) 등 세 척의 포드급 항모를 차례로 배치할 예정입니다.
레이저포는 아직은 고성능 폭탄보다 파괴력이 떨어지지만, 미 해군은 출력을 150㎾까지 높여 오는 2020년대 초에는 각종 전함으로 장착을 늘려나갈 계획입니다.
|
.
'육,해,공군,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밀현장취재] 단독! 대만군의 항일승전 70주년 열병식 현장 (0) | 2015.07.11 |
---|---|
[비밀현장취재] 단독! 대만군의 항일승전 70주년 열병식 현장 (0) | 2015.07.06 |
2015년 6월 현재 미합중국군 포병전력 5대 구성장비 (0) | 2015.06.29 |
연평해전보고 많이 울었습니다 (0) | 2015.06.29 |
[해군 제공] 제2연평해전 13주년 PKG 해상기동훈련 (0) | 2015.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