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해,공군,종합

K55A1 자주포에 K9 자주포의 52구경장포 탑재시 추가발생 비용은?

바래미나 2015. 3. 9. 01:21

 K55A1 자주포에 K9 자주포의 52구경장포 탑재시 추가발생 비용은?

 

미국 United Defense사가 개발한 M109 155mm 자주포는 냉전시대 자유진영을 대표하는 베스트셀러 자주포로 자리잡아 30개국이 넘는 주요 국가 육군들의 주력 곡사화기로서 1963년부터 배치, 주요 개량형들이 오늘날에도 운용되고 있으며 2015년 3월 현재 대한민국이 최대 M109 자주포 운용국가로 있는 상황입니다.

 

초기형인 M109 기본형의 경우 짧은 M126 곡사포를 장착하여 짧은 사정거리를 지녔지만, A1형은 M126A1 곡사포, A2형부터 M185 곡사포, A5형부터 M284 곡사포를 장착하여 지속적으로 사정거리 연장을 추진해온 바 있습니다. 이와는 별도로 스위스의 RUAG 사는 36km의 사정거리를 가진 M109 자주포용 47구경장포를 개발, M109 KAWEST를 등장시켜 스위스 육군과 칠레 육군에 채용된 사례가 있습니다.

 

현재 미국 육군의 주력인 M109A6 Paladin의 경우 개수사업 당시에는 사정거리 40km를 달성해 줄 수 있는 52구경장포의 장착이 검토되었으나 당시 XM2001 Crusader 신형 자주포의 개발 및 도입을 장기적으로 염두에 두고 있었기 때문에 실현되지는 않았고, 동일한 화포체계가 한국 육군 K55 자주포의 사거리 연장안으로서도 제안된 바 있으나 역시 채용되지는 못하고 United Defense사가 2005년 BAE Systems사에 합병된 이후에 본 개량 Package는 사라진 바 있습니다.

(P.S. : 혹시 UD사의 M109 자주포 52구경장포 장착 시제차량 사진을 가지고 계신 분께서는 제공해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하지만 전 세계에서 운용중인 M109 자주포가 아직 대량이기 때문에 신형 자주포를 도입하지 않고도 M109 자주포의 사정거리를 연장한다는 개량 Package안은 타국에서도 개발되어서, 이스라엘 IMI사나 네덜란드 RDM Technology사 등에서 독일 Rheinmetall사와 각각 컨소시움을 구성해서 52구경장포 장착형 M109 자주포 개량안을 개발, 제안한 바 있습니다 (사진자료실 관련 발제글 참조 요망). 

 

개인적인 생각이건데, 상위에서 언급한 주요 화포제조 방산업체들이 M109 자주포 52구경장포 개수제안의 이유로 미는 이유가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다는 이유를 들고 있으나 완전히 다른 차체의 신형 자주포를 도입하는 것보다는 저렴할런지는 몰라도 비용 대 효과면에서 실제로 저렴할지에 대해서는 조금 의문이 듭니다. 기본적으로 기존에 운용중인 구형 자주포를 개수하는 만큼 늘어난 반동을 억제할 수 있는 충분한 대비와 아울러 신형 컴퓨터체계를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현재 와서는 그다지 저렴하지 않을수도 있다고 생각됩니다. 사실 United Defense사측에서 실험했을 당시 M109 자주포 자체가 52구경장포를 완벽히 운용하기에는 미흡하다는 시험결과를 얻었다는 이야기로 미루어 볼 때 단순한 화포체계 개량이 아닌 차체 전반의 개량까지도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만약 현재 K55A1 자주포에 K9 자주포의 52구경장 장착가능 여부와 가능시에 운용에 필요한 시스탬을 탑재한다면 추가로 발생할 비용이 과연 어느정도 수준으로 예상될런지 - 즉 52구경장포 장착형 K55A1의 가격이 어느 정도일지 회원 여러분들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참고로 본 발제글은 추가비용이 얼마나 발생할 것인가에 대해 알아보는 목적이지, K55 자주포에 52구경장포를 장착하는 것이 어떻겠냐라는 의미가 전혀 아니니 '대체 K9 자주포 놔두고 왜 K55 자주포에다가 뭣하러 52구경장포를 장착하느냐' 라는 논지의 댓글은 사양하겠습니다. 본인도 K9 자주포가 1,000여문 수준으로 대량으로 도입, 배치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K55A1 자주포의 52구경장포 장착개수에 예산을 투입하는 것은 반대하는 입장입니다.

 

출처: 한국 네티즌본부, 카페
ROKA K55A1s.jpg
출처: 한국 네티즌본부, 카페
ROKA K9s.jpg
출처: 한국 네티즌본부, 카페
Schweizer Armee M109 KAWEST.jpg
RDM Technology & Rheinmetall M109L52.jpg
출처: 한국 네티즌본부, 카페
IMI & Rheinmetall M109I7 CG.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