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도미사일 잡는다"..美 신무기 '레일건' 공개
[앵커]
북한이 최근 발사한 스커드 미사일 등을 무력화시킬 수 있는 최첨단 무기를 미 해군이 공개했습니다.
전자기력을 이용해 소리보다 7배 이상 빠른 탄환을 발사할 수 있는 이른바 '레일건'인데, 2016년부터 함정에 장착해 운용할 예정입니다.
LA에서 정재훈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기자]
전기의 힘을 사용한 발사체가 엄청난 속도로 날아가 수십 km 밖에 있는 표적에 명중합니다.
미 해군이 공개한 최첨단 무기 이른바 '레일건'입니다.
화약이 아닌 전자기력을 이용해 미사일 등의 발사체를 발사할 수 있는 무기로, 미군이 지난 10년 간 2억 5천만 달러, 약 2천 5백억 원을 투입해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고정된 목표물 뿐아니라 북한의 장거리 탄도미사일 등 빠르게 움직이는 목표물을 격추시킬 수 있습니다.
음속보다 7배 이상 빠른 시속 8천 킬로미터의 속도로 약 200km까지 날아갈 수 있습니다.
[인터뷰:매튜 클런더, 미 해군연구소장]
"탄도 미사일과 최신형 크루즈 미사일, 빠른 속도의 항공기 등을 격추시킬 수 있습니다. 매우 안전하고 효과적입니다."
발사 시 큰 소리가 나지만 발사체가 소리보다 빨리 도달하기 때문에 표적 당사자들은 레일건의 소리를 들을 수 없습니다.
레일건의 또다른 장점은 경제성.
한 발에 약 2천 5백 만 원 정도의 비용이 들어 한 발에 수억 원에서 수십억 원까지 하는 기존 미사일보다 훨씬 저렴합니다.
[인터뷰:매튜 클런더, 미 해군연구소장]
"결국 적들은 우리를 향해 여러가지를 쏘겠지만 우리는 모두 무력화시킬 수 있습니다."
미군은 레일건을 오는 2016년부터 함정에 장착해 시험 운용에 들어가며 2018년부터는 실전 배치할 예정입니다.
LA에서 YTN 정재훈입니다.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북한이 최근 발사한 스커드 미사일 등을 무력화시킬 수 있는 최첨단 무기를 미 해군이 공개했습니다.
전자기력을 이용해 소리보다 7배 이상 빠른 탄환을 발사할 수 있는 이른바 '레일건'인데, 2016년부터 함정에 장착해 운용할 예정입니다.
LA에서 정재훈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기자]
전기의 힘을 사용한 발사체가 엄청난 속도로 날아가 수십 km 밖에 있는 표적에 명중합니다.
미 해군이 공개한 최첨단 무기 이른바 '레일건'입니다.
화약이 아닌 전자기력을 이용해 미사일 등의 발사체를 발사할 수 있는 무기로, 미군이 지난 10년 간 2억 5천만 달러, 약 2천 5백억 원을 투입해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고정된 목표물 뿐아니라 북한의 장거리 탄도미사일 등 빠르게 움직이는 목표물을 격추시킬 수 있습니다.
음속보다 7배 이상 빠른 시속 8천 킬로미터의 속도로 약 200km까지 날아갈 수 있습니다.
[인터뷰:매튜 클런더, 미 해군연구소장]
"탄도 미사일과 최신형 크루즈 미사일, 빠른 속도의 항공기 등을 격추시킬 수 있습니다. 매우 안전하고 효과적입니다."
발사 시 큰 소리가 나지만 발사체가 소리보다 빨리 도달하기 때문에 표적 당사자들은 레일건의 소리를 들을 수 없습니다.
레일건의 또다른 장점은 경제성.
한 발에 약 2천 5백 만 원 정도의 비용이 들어 한 발에 수억 원에서 수십억 원까지 하는 기존 미사일보다 훨씬 저렴합니다.
[인터뷰:매튜 클런더, 미 해군연구소장]
"결국 적들은 우리를 향해 여러가지를 쏘겠지만 우리는 모두 무력화시킬 수 있습니다."
미군은 레일건을 오는 2016년부터 함정에 장착해 시험 운용에 들어가며 2018년부터는 실전 배치할 예정입니다.
LA에서 YTN 정재훈입니다.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육,해,공군,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륙함 진입시험중인 미국 UHAC 초중량수송상륙정 기술실증형 (0) | 2014.07.19 |
---|---|
USS Millinocket (JHSV 3) 함상에서 공개된 미 해군 레일건 시제품 (0) | 2014.07.19 |
USS Millinocket (JHSV 3) 함상에서 공개된 미 해군 레일건 시제품 (0) | 2014.07.13 |
미군의 마지막 델타 전투기 F-106다트. (0) | 2014.07.13 |
BAE 시스템스, 미래 항공 기술 공개 (0) | 2014.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