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81년 7월, 훈련비행중인 제5요격비행대대의 F-106A 델타 다트. 1980년대 중반에 가서 운용기체가 급속히 줄어든다. F-4 팬텀과 F-15 이글 전투기, F-16의 배치로 노후 전투기로 분류되었다. 출처: 한국 네티즌본부
센추리 전투기들의 시작
1950년대 미공군의 초음속 전투기 개발, 배치 사업을 센추리 전투기 시리즈라고 부른다. 센추리 전투기 시리즈는 한국전의 항공전 경험과 미공군 요구사항으로 6종류의 기체가 만들어져 채택된다. 전투폭격기인 F-100 슈퍼 세이버, F-105 선더치프 그리고 소련제 장거리 폭격기를 제압하는 요격기로 F-101 부두, F-102 델타 대거, F-106 델타 다트가 만들어졌다. 마지막으로 한국전에서 소련제 MiG-15 전투기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F-104 경량 전투기가 있다.
센추리 시리즈 6개 기체중에서 5개 기체는 1960년대 베트남전에 투입되어 실전기록이 남아 있는 참전 기체들인데 F-106 델타 다트는 예외였다. F-106 델타 다트는 미국 본토 방어용으로 소련제 장거리 폭격기만을 상대하는 요격기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F-106은 궁극의 요격기(Ultimate Interceptor)로 불리울 정도로 등장 당시의 최첨단 자동 요격시스템을 탑재한 고성능 기체였다.
자동 요격시스템은 고도 1만피트까지 상승한 F-106 델타 다트 요격기의 레이더 중심의 화력제어시스템 항법기능이 자동으로 전환되어 고도상승과 속도를 조절, 통제해 준다. 이어서 적 폭격기를 추적, 요격하기 위한 전술상황 화면이 가동된다. 전술상황 화면은 지상의 반자동 요격 센터에서 보내오는 소련 폭격기의 방위, 고도, 속도 등의 정보를 표시해 주며 또한 자동조종장치를 가동하면 격추공격 위치로 유도해 준다. 이런 고성능 요격기가 미국 본토를 벗어나 3년이라는 장기간을 머문 장소가 바로 한국의 오산 공군기지였다.
- ▲ 1969년 11월 15일부터 1970년 5월 1일까지 오산에 주둔한 95요격기 대대의 F-106A 델타 다트. <출처: Rollan Yocum Collection>
푸에블로 피납 사건으로 한국에 배치된 F-106 델타 다트 요격기
F-106 델타 다트 요격기의 한국 배치는 1968년 2월 18일부터 1970년 5월 12일까지였다. 1963년 6월 파리 에어쇼에서 공개하기 위한 해외비행 이후 처음인데 그 이유는 1968년 1월 28일 발생한 미해군 정보수집함 푸에블로 사건 때문에 한국으로 급히 파견된 것이다. 당시 미공군은 베트남전을 포함한 해외작전에 주로 전술전투사령부(TAC) 전투기를 투입했기에 방공전투사령부(ADC) 소속 F-106 델타 다트 요격기 투입은 예상 밖이었다. 물론 1967년 초반에 유사시 해외작전을 위한 공중급유시스템 및 초음속비행용 보조연료탱크 장착을 준비해 왔다.
1967~1968년 사이의 미공군 주력 전투기는 F-4C/D 팬텀 이었으나 베트남전과 서유럽 주둔 미공군에서 전투비행대대를 빼내기가 여의치 않아 F-106 델타 다트를 배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F-106 델타 다트는 최고속도 음속의 2배까지 가능하고 삼각날개인 델타익 설계로 기동성 위주의 공중전에도 우수하다는 판단이 배경에 있었다.
- ▲ F-106 델타 다트는 미국의 삼각익 날개를 가진 마지막 전투기 이다. 프랑스에서는 미라주 2000 전투기에 이르기까지 삼각익 날개를 선호했다. <출처: 미공군>
한국 오산기지에 배치된 요격기 규모는 6대로 많지는 않았으나 고성능 요격시스템과 공대공 미사일을 탑재하여 북한 공군의 IL-28 경폭격기를 요격하기에 충분했다. 북한 공군이 보유한 초음속 전투기인 MiG-19와 MiG-21에 대응하기에 적절한 요격기였다. 주한 미공군이 군산에 F-4C 팬텀 1개대대를 별도로 배치하였으나 유사시 북한공군의 공습에 F-106 델타 다트 6대가 즉각 출격하고 후속으로 투입하는 태세 였다. 그러나 이것도 휴전선 근처의 상황에서나 가능한 대응 이었다.
1969년 4월 15일 주일 미해군 항공대 소속의 EC-121M 정보수집기가 동해 공해상에서 북한공군 MiG-21 전투기에 격추되는 돌발상황이 발생한다. 상황발생 직후 공중 초계 비행중이던 2대의 F-106 델타 다트 요격기가 속도를 내 달려갔지만 7분이나 소요되면서 MiG-21 전투기들은 이미 사라진 뒤였다.
- ▲ 이륙중인 F-106 <출처: 미공군>
1968년 2월 18일부터 1970년 5월 12일까지 27개월 동안 순환배치된 부대는 318 / 48 / 71 / 94 / 95 요격전투비행대대의 기체로 번갈아 가며 6대씩 주둔했다. 오산 기지에 배치됐던 F-106 델타 다트 요격기의 무장은 AIM-4F 반자동 레이더 유도 슈퍼 팰컨과 AIM-4G 적외선 유도 슈퍼 팰컨을 각각 2발씩 탑재하였다. 두 종류의 AIM-4F/G 슈퍼 팰컨 공대공 미사일의 최고 사정거리는 11km 이다.
-
- ▲ 오산 기지에 비상대기중인 F-106A 델타 다트 요격기. AIM-4F/G 공대공 미사일 4발을 중앙동체 아래 무장 탑재대에 내장하여 운용했다. <출처: Rollan Yocum Collection>
근접 공중전에 대비한 M61A1 발칸 기관포는 중앙동체 아래부분 공대공 무장 탑재대에 장착할 수 있었으나 한국 배치 기간중에 개량사업이 진행되고 있어 한국에 배치된 F-106에는 기관포가 없었고 한국 배치 기간이 완료된 1970년말부터 M61A1 발칸 기관포 장착이 가능해져 이후 근접공중전에 나설 수 있었다. F-106 델타 다트 요격기에 발칸 기관포를 장착하게 된 배경은 역시 베트남전에서의 고정 기관포 없는 F-4 팬텀 초기형이 근접공중전에서 고전을 면치 못한 때문 이었다.
- ▲ 공대공 핵로켓 AIR-2A 지니를 발사하는 순간. 한국 오산 배치 기간에는 AIM-4F/G 슈퍼 팰컨 미사일을 주력으로 사용했다. <출처: 미공군>
역사 속으로 사라지다
한국 순환배치가 끝난 이후 캐나다 지역뿐만 아니라 나토 훈련에도 파견하였으며 아이슬란드에 전진배치하여 1970년대를 마무리 한다. F-106 델타 다트 요격기는 1979년 전술전투사령부와 방공전투사령부가 통합되면서 사실상 역할이 축소된다. F-4C/D/E 팬텀과 F-15A 이글 전투기가 주력 방공전투기로 자리를 메꾸면서 노후화 된 F-106 델타 다트의 중요성이 없어졌기 때문이다.
1959년과 1960년의 최고의 전성기에 15개 대대를 유지하던 규모가 1980년대 중반 8개대대로 감소되고 1988년 8월 1일, 최후의 F-106A 2대와 F-106B 1대가 미군 퇴역항공기 보관소(AMARC)로 보내진다. 미군 퇴역 항공기 보관소에 F-106 델타 다트가 옮겨지기 시작한 것은 1982년 1월 12일부터이며 1988년 8월 1일까지 약 200대에 이른다.
- ▲ 63대만 생산된 F-106B 델타 다트 복좌기. <출처: 미공군>
보관 기체 194대는 공중표적기로 개조되어 1991년부터 1998년 1월 28일 사이에 에글린 멕시코만과 화이트샌즈 미사일 사격장에서 QF-106A/B 라는 제식명칭에 미사일 실탄 발사 훈련용으로 하나둘씩 사라져 갔다. F-106A/B 총 생산대수는 340대이며 단좌기 277대, 복좌기 63대 이다. 최초 부대배치는 1959년 6월부터이며 마지막 3대의 퇴역은 1988년 8월 1일이다.
제원
전폭: 11.67m / 전장: 21.56m / 전고: 6.18m / 최대이륙중량: 18.97톤 / 최고속도 : 음속의 2배 / 항속거리: 2,910km (편도,보조연료탱크 사용시) / 실용상승한도: 17.37km / 무장: AIM-4F/G 슈퍼 팰컨 공대공 미사일 4발, AIR-2A 공대공 핵로켓 1발,M61A1 발칸포 1문(탄약 최대 650발)
글 안승범 / 1990년 군사전문지 <월간 평화>의 편집부 일원으로 시작하여 1998년 월간 컴뱃암즈지와 통합한 군사정보사 편집장으로, 2002년 2월까지 밀리터리 월드와 해군전력을 발간했습니다. 이후 월간 디펜스타임즈지의 발행인 겸 편집장을 맡고 있습니다.
'육,해,공군,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도미사일 잡는다"..美 신무기 '레일건' 공개 (0) | 2014.07.13 |
---|---|
USS Millinocket (JHSV 3) 함상에서 공개된 미 해군 레일건 시제품 (0) | 2014.07.13 |
BAE 시스템스, 미래 항공 기술 공개 (0) | 2014.07.13 |
디지털 환경에 최적화…미래 ‘지상전의 제왕’ (0) | 2014.07.12 |
BMP3 포탑과 결합한 ACV(AIFV터키ver.) (0) | 2014.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