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 수립․추진
◇범정부적 실내공기질 관리 중장기('09~'13) 실천계획 마련 - 관리대상 확대 및 기준합리화 등 6대 핵심과제를 포함 41개 추진과제 선정 및 세부계획 마련
◇계획 추진의 실효성 제고 및 관리역량 강화를 위해 1,143억원 투자 |
□ 환경부는 국민이 공감할 수 있는 실내공기질 조성을 통한 국민 건강보호를 위하여 범정부 차원의 실내공기질 관리 중장기('09~'13) 실천계획인 「2차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 이번 계획은「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04~'08)에 이어 환경성질환 증가 및 기후변화문제 대응 등 그간 변화된 국내․외 여건에 적극대응하고자 마련하였고, 기획재정부,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가족부, 국토해양부, 노동부 등 관련부처와 협의를 거쳐 수립하였다.
□ 「1차 기본계획」('04~'08)의 추진에 따른 지난 5년간의 성과를 분석해 보면,
○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폼알데하이드 기준강화(120→100㎍/㎥, '08.2), 신축공동주택 실내공기질 권고기준 마련('05.12) 등실내공기질 기준 설정 및 관리기반을 마련하였고, 친환경건축자재의 보급을 촉진하였으며 다중이용시설 및 공동주택의 환기설비 설치를 의무화하였다.
|
<1차 계획의 주요 성과> |
|
|
| |
◈ 공기질 측정․공고제도 시행으로 신축공동주택 공기질 대폭 개선 - '05년 대비 '07년 자일렌 74%, 폼알데하이드 69%, 톨루엔 60% 감소 ◈ 건축자재 오염물질 방출기준 도입·적용으로 친환경 건축자재 보급 확대 - 환경마크 인증 건축자재: '04년 275종→'07년 645종 |
□「2차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은 지난 5년간의 성과와 정책여건을반영하고, 향후 실내공기질 정책 전반에 대한 실행계획을 제시하는 중․장기 계획으로서 정책 방향은 다음과 같이 설정․추진할 계획이다.
①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실내공기질 관리
② 사전예방적인 실내공기질 관리
③ 국민건강을 고려한 수용체 중심의 실내공기질 관리
④ 저탄소 녹색성장 및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공기질관리
□ 「2차 기본계획」은6대 중점과제를 중심으로 41개 세부과제를 집중적으로 추진해나갈 예정으로서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①다중이용시설 관리대상 확대 및 기준 합리화
- 영화관 등 대규모 시설은 법적 관리대상에 포함시키고
- 개별VOC, 곰팡이 등에 대한 실내공기질 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② 목질판상제품 오염물질 방출관리
- 가구․건축자재의 원자재로, 실내 폼알데하이드의 주요방출원인인 합판․파티클보드와 같은 목질판상제품에 대한 관리체계를 도입하고
③ 환기설비 관리체계 구축
- 적정한 실내공기질 확보를 위해 환기설비 운영․관리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계획이다.
④ 저탄소형 실내공기질 관리방법 개발․보급
- 실내공기질 관리방안별 에너지사용량/CO2 발생량 분석을 통해 저탄소형실내공기질 관리방안을 개발․보급하고,
⑤ 건강영향이 큰 물질 관리
- 석면, 라돈, 미생물, 흡연과 같이 인체에 암을 유발하는 등 건강영향이 큰 물질에 대한 관리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며,
⑥ 실내공기질 관련 환경성질환 관리
- 실내공기 오염과 환경성질환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교육․예방 프로그램 운영 등 환경성질환 관리체계를 수립할 계획이다.
□ 소요예산은 2차 기본계획 기간('09~'13)동안 총 1,143억원을 투자할 계획으로
○ 공기질 관리 선진화 분야에 800.3억원, 건강영향이 큰 물질관리 분야에 119.3억원, 건강영향 사전관리 분야에 140억원 등을 투자할 예정이다.
사업 구분 |
연도별 투자 소요액(억원) | ||||||
총계 |
'09 |
'10 |
'11 |
'12 |
'13 | ||
실내공기질 관리체계․ 역량 발전 |
공기질 관리 선진화 |
800.3 |
174.3 |
281 |
280 |
35 |
30 |
오염원 관리 확대 |
46.8 |
7.8 |
9 |
12 |
10 |
8 | |
환기․공기정화설비 관리체계 구축 |
17.5 |
0.5 |
5 |
5 |
7 |
0 | |
건축물 전생애 관리 |
10.5 |
0.5 |
4 |
4 |
2 |
0 | |
건강영향이 큰 물질 관리 |
119.3 |
19.3 |
30.5 |
26.5 |
22.5 |
20.5 | |
건강영향 사전관리 |
140 |
24 |
28 |
30.5 |
30.5 |
27 | |
실내공기질 관리제도․기술기반 강화 |
8.1 |
1.4 |
1.8 |
2.3 |
1.8 |
0.8 | |
총 계 |
1142.5 |
227.8 |
359.3 |
360.3 |
108.8 |
86.3 |
□ 금번 기본계획이 차질없이 추진되면, 건축자재의 개선, 환기시설의 효율화 등으로 실내공기질이 한층 개선되어 환경성질환의 증가추세가 감소되고, 쾌적한 실내공간이 조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붙임 : 2차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요약)
개요
◇ 실내공기질 관리정책의 비전 및 목표를 제시한 「2차 실내공기질 관리기본계획」('09~'13)을 전문가․산업계․관계부처 협의․조율을 거쳐 수립 - 6대 핵심과제를 포함 41개 추진과제 선정 및 세부계획 마련 ◇ 계획 추진의 실효성 제고 및 관리 역량 강화를 위해 1,143억원 투자 |
1. 계획 성격
□ 실내공기질 정책 전반에 대한 실천계획을 제시하는 중․장기 계획
□ 국토해양부, 노동부,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가족부 등 유관부처의 개별 실내공기질 관리정책을 조율한 범정부 통합계획
2. 그간 추진현황
□ 실내공기질 전문가포럼 구성('08.3~7월)
관계 전문가의 폭넓은 의견수렴(4개 분야 총 16회 포럼 운영)을 통해 중점 추진과제 발굴및 기본계획 초안 마련
□ 산업계 의견수렴('08.11.17) 및 관계부처 협의('08.10~12월)
산업계 대상으로 기본계획(안) 설명회 개최 및 6개 유관부처 협의 완료
3. 1차 기본계획 성과평가
□ 1차 기본계획 성과
국민 건강을 위한 실내공기질 기준 설정 및 관리기반 마련
-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폼알데하이드 기준강화(120→100㎍/㎥),신축공동주택 실내공기질 권고기준 마련(폼알데하이드, 톨루엔 등 6종)
- 오염물질 다량방출 건축자재 방출기준 마련 및 사용제한(2300개 시험, 227개 사용제한)으로 친환경건축자재 보급 촉진
- 환기설비 설치 의무화(다중이용시설, 공동주택) 및 환기기준 도입
|
<1차 계획의 주요 성과> |
|
|
| |
◈ 공기질 측정․공고제도 시행으로 신축공동주택 공기질 대폭 개선 - '05년 대비 '07년 자일렌 74%, 폼알데하이드 69%, 톨루엔 60% 감소 ◈ 건축자재 오염물질 방출기준 도입·적용으로 친환경 건축자재 보급 확대 - 환경마크 인증 건축자재: '04년 275종→'07년 645종 |
과학적인 정책 추진을 위한 기초현황 파악 및 자료 구축
- 미적용․소규모 다중이용시설 실태조사, 신축공동주택 오염물질 시계열조사, 생활용품 오염물질 방출시험 실시 등
□ 1차 계획 개선점
기초조사·기준설정 등 제도기반 조성에 치중한 바, 민간의 참여와 시장 창출을 위한 수요자 중심대책 발굴 및 강화 필요
건축자재뿐만 아니라 생활용품(가구류․사무기기 등)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 관리 등 사전예방적인 관리대책 확대
석면 등 위험물질 관리 등 수용체 중심의 건강영향 대책 추진
녹색성장·기후변화 등 시대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대책 강화
Ⅱ. 2차 기본계획 주요내용
1. 정책 및 세부 목표
정책목표 |
|
국민공감 실내공기질 조성을 통한 국민건강 보호 | |||
|
|
| |||
세부 목표 |
구 분 |
'07~'08년 |
'13년 | ||
다중이용시설 |
지하역사 미세먼지 농도 보육시설 미세먼지 농도 |
94~82㎍/㎥ 87~62㎍/㎥ |
80㎍/㎥이하 70㎍/㎥이하 | ||
신축공동주택 |
폼알데하이드 농도 톨루엔 농도 |
88㎍/㎥ 396㎍/㎥ |
80㎍/㎥이하 260㎍/㎥이하 | ||
실내공기 오염원 |
오염물질 방출시험 자재수 환경마크 인증기준에 오염물질 방출기준 도입 |
2,300개
21개
|
4,000개
28개
|
2. 주요 방향
□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실내공기질 관리
영유아․어린이 이용시설 관리 강화, 맞춤형 관리지침 개발 정책추진
□ 사전예방적인 실내공기질 관리
건축물 설계·시공부터 청정기술을 적용, 오염물질을 저방출 건축자재․생활용품 사용 확대 등
□ 국민건강을 고려한 수용체중심의 실내공기질 관리
석면․라돈 등 고위험물질의 체계적인 관리, 천식․아토피와 같은 환경성질환 예방을 위한 실내공기 관리방안 마련
□ 저탄소 녹색성장 및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공기질 관리
저탄소형 실내공기질 관리방안 개발․보급, 에너지절약형 환기설비 개발,실내공기질 컨설팅업 등 저탄소 녹색성장 및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대책 추진
3. 6대 중점 추진과제
관리대상 확대 및 기준 합리화 |
영화관 등 대규모 시설은 법적 관리대상에 포함(법 개정) 개별VOC, 곰팡이 등에 대한 실내공기질 기준 마련 |
목질판상제품 관리 |
가구․건축자재의 원자재으로, 실내 폼알데하이드의 주요방출원인인 합판․파티클보드와 같은 목질판상제품 관리 |
환기설비 관리 |
적정한 실내공기질 확보를 위해 환기설비 운영․관리 가이드라인 마련 |
건축물 관리 |
실내공기질 관리방안별 에너지사용량/CO2 발생량 분석을 통해 저탄소형실내공기질 관리방안 개발․보급 |
건강영향이 큰 물질 관리 |
석면, 라돈, 미생물, 흡연과 같이 인체에 암을 유발하는 등건강영향이 큰 물질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
환경성질환 관리 |
실내공기 오염과 환경성질환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교육․예방 프로그램 운영 등 환경성질환 관리 강화 |
※ 주요 추진과제(41개) 세부내용 : 참조 2
4. 소요예산
□ 2차 기본계획 기간('09~'13)동안 40개 세부과제 이행에 1,142.5억원 투자
'09년은 공기질 관리 선진화 분야에 174.3억원을 투자하는 등 227.8억원을 집행할 계획
'10~'11년동안 719.6억원, '12~'13년까지 195.1억원 투자 예정
사업 구분 |
연도별 투자 소요액(억원) | ||||||
총계 |
'09 |
'10 |
'11 |
'12 |
'13 | ||
실내공기질 관리체계․ 역량 발전 |
공기질 관리 선진화 |
800.3 |
174.3 |
281 |
280 |
35 |
30 |
오염원 관리 확대 |
46.8 |
7.8 |
9 |
12 |
10 |
8 | |
환기․공기정화설비 관리체계 구축 |
17.5 |
0.5 |
5 |
5 |
7 |
0 | |
건축물 전생애 관리 |
10.5 |
0.5 |
4 |
4 |
2 |
0 | |
건강영향이 큰 물질 관리 |
119.3 |
19.3 |
30.5 |
26.5 |
22.5 |
20.5 | |
건강영향 사전관리 |
140 |
24 |
28 |
30.5 |
30.5 |
27 | |
실내공기질 관리제도․기술기반 강화 |
8.1 |
1.4 |
1.8 |
2.3 |
1.8 |
0.8 | |
총 계 |
1142.5 |
227.8 |
359.3 |
360.3 |
108.8 |
86.3 |
2차 기본계획 추진과제(41개) |
공기질관리 선진화(7개 과제)
개별VOC, 곰팡이 실내공기질 기준 마련 등 실내공기질 기준합리화 및 영화관 등
관리대상 시설 확대
헌집증후군 예방을 위한 주택 공기질 가이드라인 제정
보육시설․어린이 이용시설을 대상으로 실내공기질 진단․개선사업추진 등 다양한 실내공기질 개선 프
로그램 운영
지하역사 공기질 개선을 미세먼지․석면․라돈 저감대책 추진
대중교통수단 공기질 모니터링 및 신규차량 공기질 기준 마련
오염원관리 확대(5개 과제)
오염물질을 과다 방출하는 합판, 파티클보드, 섬유판(MDF)과 같은목질 판상제품
제조·수입·사용 금지 추진
실내공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성 건축자재 평가기준 마련
가구·사무기기 등 생활용품과 방향제·살충제 관리 추진
오염원의 실내공기질 영향 평가․예측기법 개발
환기 및 공기정화설비관리 고도화(3개 과제)
환기설비 가동 및 유지관리 가이드라인 마련 및 환기기준 합리화
음이온식 청정기 오존기준 마련 등 공기청정기 관리
전생애 건축물 관리(3개 과제)
실내공기질 관리방안별 에너지사용량/CO2 발생량 분석을 통한저탄소형 실내공기질 관리방법 개
발․보급
건축물 설계·시공·유지관리 단계별 실내공기질 관리방안 마련
- 설비·자재검수 시체크리스트 개발, 건축물 개·보수 매뉴얼 개발 등
실내공기질 평가항목 확대 등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개선
인체영향이 큰 오염물질 관리강화(4개 과제)
석면사용 건축물 안전관리 체계 구축, 석면 피해자 보상 및 지원대책 강구 등 석면 안전관리 및 건강피해 구제
전국 라돈지도 작성 및 측정서비스 인프라 구축, 고위험 건물 관리방안 보급 등 라돈 안전관리
실태조사, 관리기준 강화 등 미생물 관리체계 구축
실내흡연으로 인한 피해조사 및 주요 시설 흡연 금지 확대
건강영향 사전관리(4개 과제)
실내공기 오염과 환경성 질환과의 상관관계 규명 및 예방 프로그램 마련
프탈레이트, 브롬화난연제 등 실내사용 유해화학물질 유해성 평가
실내공기질의 종합적․복합적 평가수단 확보를 위한 다양한 지표개발
기초자료 확보 및 평기기법 개발 등 건강영향 평가기반 구축
실내공기질 관리기반 강화(6개분야 15개 과제)
시설 설치신고 규정 신설, 측정망 설치·지원 근거 마련 등 실내공기질 관련법령 개선
주요시설 측정결과 DB화 및 공정시험기준 개선, 측정대행업체 교육·평가제도 도입 등을 통한 실내공기질 측정의 정확성과 신뢰성 확보
실내공기질 진단·개선 서비스업 육성, 실내공기질 분야 녹색기술 개발 지원 등 녹색성장을 위한 대책 마련
정부·지자체 등 이해관계자간 역할분담 및 협력체계 구축
실내공기질 자격증제도 도입, 맞춤형 교육기반 구축을 통한 등 전문인력양성 추진
실내환경정보센터(홈페이지) 운영 개선 등 대국민 교육·홍보 강화
환경전략실 생활환경과
02-2110-6813
'그룹명 > 편백정유(히노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오 팜 - β <그린 PC 131> 사용 방법 (0) | 2013.07.12 |
---|---|
국내 외 해외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기준 비교|새집증후군 법규 및 도서 (0) | 2013.04.01 |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 시행규칙 (0) | 2013.04.01 |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 시행령 (0) | 2013.04.01 |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새집증후군 법규 및 도서 (0) | 2013.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