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명/조선[朝鮮]과 대한[大韓]제국

모두가 바로 알아야 할 태극기 도형

바래미나 2011. 11. 21. 23:10

깃발(flag)과 태극(Tegu) http://blog.daum.net/han0114/17049826 

동학(東學) http://blog.daum.net/han0114/17045951

대한제국과 러시아 로마노프 왕조문장으로 본 동질?

http://blog.daum.net/han0114/17050384

대한제국과 오스만제국 http://blog.daum.net/han0114/17050389

 ********************************

우리 모두가 바로 알아야 할 태극기 도형  

 

 

유래

 

원래 대륙조선이 사용하던 국기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과거 삽화에 등장하는 것을 보면 명백하게 알 수 있는데 그 대륙조선제국기가 청조기로 둔갑되는 바람에 사실여부를 놓고 많은 이견들이 없지 않다. 지금우리가 알고 있는 청조기가 바로 대륙조선이 사용하던 국기로서 원형에 가깝다고 추측된다.

 

                            Royal emblem of chosun(Joseon)=Imperial Dragon Flag (China)

 


용의 깃발은 중국(china)의 상징이다.

그래서 반도사에서는 변방국들은 감히 용 문양을 함부로 사용치 못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용 문양의 근원은 대륙조선의 상징이어야 맞다.

태극기는 대륙조선말기에 대륙조선(china) 용(Dragon Flag)을 상징하던 제국기와 구분하기 위해 외교용(김홍집정권)으로 만들어진 또 다른 국기일 가능성이 많다. 일제가 1895년 을미사변을 일으켜 명성황후(明成皇后)를 살해 한 후 집권하게 한 정권이 바로 김홍집내각정권이다. 그 이전에는 용을 상징한 제국기가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朝鮮通信使来朝図(조선통신사래조도)

 

[운요호사건-삽화에 나타난 조선 깃발과 일본 깃발]


1882년(고종 19년) 제물포 조약의 사후 처리로 수신사 박영효 일행이 일본에 파견되어 갈 때 그들이 편승한 일본 기선 메이지마루(明治丸) 선상(船上)에서 고안하여 사용하였다고 알려져 왔다.

 

물론 1882년이라면 대륙조선 즉 근대조선이 망한 시점인데 미국을 대표한 서양제국 자료에는  1881년을 끝으로 하고 있다. 그렇다면 박영효일행은 조선이 망한 후 대한제국의 깃발을 사용한 것이라고 판단된다. 다시말해 태극기는 대륙조선의 국기가 아니었음을 알게 한다.

대륙조선의 국기는 바로 청나라 국기라고 하는 용상징 깃발이었을 것이다.

 

국기 문제가 논의된 때는 이보다 앞서 강화도 조약 체결 당시 강화도 회담에서이며, 또한 박영효 이전에 조미수호통상조약에서도 쓰였다. 게다가 이미 군주를 상징하는 어기로서 “태극 팔괘도”가 규장각에 있었음이 밝혀졌다.


국왕을 상징하는 어기가 아닌 나라를 상징하는 국기를 만들게 된 계기는 《조선책략》에 “조선이 독립국이면 국기를 가져야 한다”라는 글과 함께 4개의 발을 가진 용 모양을 제시해 놓은 데에서 비롯된다. 고종이 임금을 뜻하는 붉은 바탕에 관원을 뜻하는 푸른색과 백성을 뜻하는 흰색을 화합시킨 동그라미를 그려 넣게 하여 군민일체를 나타내려 하였으나[2] 일본 제국의 국기와 비슷하다고 하여, 김홍집은 “반홍반청의 태극무늬로 하고 그 둘레에 조선 8도를 뜻하는 팔괘를 그리면 일본 국기와 구분이 될 것”이라 하여 이후, 1883년 3월 6일 (고종 20년 음력 1월 27일) ‘조선국기’가 국기로 제정되었다.


1948년 정부 수립 후 ‘대한민국 국기에 관한 규정’이 만들어져 태극기의 제작, 게양[3], 취급의 지침이 되고 있다. 2007년 1월 대한민국국기법이 제정되어 국기의 게양·관리법이 나왔고 2007년 7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도안상징


태극기는 《주역》계사상전(繫辭上傳)에서 나와 있는 태극→양의(兩儀)→사상(四象)→팔괘(八卦)라는 우주 생성론을 나타내는 태극도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조선의 태극 팔괘도는 복희 선천 팔괘(伏羲先天八卦)가 아닌 문왕 후천 팔괘(文王後天八卦)이다.


원이 나타나는 태극은 만물을 생성시키는 근원을 의미하며 도교에서는 태소(太素), 탄드라밀지에서는 카르마무드라라고 하며 사고의 개입이 없는 순수하고 완전한 행위를 의미하는 무아전위(無我全爲)의 우주일체가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상징한다.


원 안의 모양은 음양 양의를 나타나고 4괘는 팔괘(八卦)를 대표하는 사정괘(四正卦)를 나타내는 것과 동시에 그 하효(下爻)와 중효(中爻)로 태양(太陽)·소음(少陰)·소양(少陽)·태음(太陰)이라는 사상(四象)도 나타낸다.


사괘

 


사괘는 본래 팔괘 중에서 넷을 선택한 것인데, 팔괘는 중국에서 삼황으로 떠받들고 있는 태호 복희가 만든 것이다.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복희는 동이족으로 서술되고 있으며, 그가 팔괘를 처음 만든 사람이라고 밝힌 것은 《주역》 계사전이 최초이다. 다만 조선에 복희 선천 팔괘가 아닌 그것을 고쳐서 만든 문왕 후천 팔괘를 따르는 까닭은 복희가 팔괘를 만든 까닭이 우주 생성 원리를 설명하려 함인 반면 문왕은 우주 생성 원리를 인간의 치세 원리에 반영(“선천 변위 후천도”에서 이르는 〈“자연조화의 체”를 “인사의 용”에 적용〉한다는 사상)하려고 만들었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 주장에서는 팔괘에서 “넷을 제하여” 만들었다고 하였으나, 근래에는 “선천 변위 후천도”에서 선천 팔괘와 후천 팔괘의 관계를 밝히어 팔괘 가운데 “넷을 선택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

Eight Kwae[팔괘]


I just opened by chance my Crampton's Complete Guide to Flags, 1990 [cra90f], just on the page where Korea is and noticed a sentence that did not sound familiar.


So, it says: South Korea has kept the flag of the former Kingdom of Korea, although it has been modified. ... and the trigrams (kwae) are reduced from eight to four."


So, what was the flag of the Kingdom of Korea with 8 kwaes?

When did the change occur?

Željko Heimer, 13 January 1999


Earliest representation

 

 

                                                              

 

                                                               [goindwal]

 

                              1887 China Squadron Gensan Corea Corean Mandarin

 

위 사진에서 어떤 것을 느끼는가?

양반과 하인 관계를 가장 적나라하게 표현한 그림이다.

또 하나는 곰방대를 문 것이라든지 두루마기, 갓등은 전통적인 조선양반들의 모습이다.

그러나 흰 모자는 인도, 부르나이인들이 쓰는 모자라고 보이며 주위 건물 색상 또한 골드색으로 처리 되어 남아시아 인도와 동남아 풍경을 풍기고 있다.

검은 옷에 우편물을 전달하는 하인은 붉은 모자를 쓴 인도북부, 동남아인이라는 느낌이 강하다.

이 그림과 우표을 프랑스에서 제작하거나 그린 것이라고 보이는데 coree (조선)의 풍습을 잘 나타내고 있는 표현으로 보인다.

그리고 아래 우표 도안은 동학 도교 문양을 가운데 넣어 만든 것으로서 아래 문양과 같다.

                                              Flag of the king of Joseon

                           flag image by Antonio Martins-Tuvalkin, 24 September 2003

                           국기 복판 원형 문양은 바로 동학 도교문양이다.


Stamp - 19th Century

 

                            stamp images contributed by Diedrik Nelson, 20 May 2006


Stamp  Detail

 

대륙조선의 상징은 용이었던 반면 대한제국 상징은 바로 독수리와 태극 팔괘이었다.

 

 

 

*********************************************************************************

This is perhaps the oldest representation of the South Korean flag.  Patrick Kirol, 11 March 2000

                                                               Korea, 1893

 

                                          Royal Korean Consulate in Hamburg 1893

 

                                                               Pre-1905



1910-1883


Korea used a similar flag to present flag. The t'aeguk is longer than current one and colour was reverse: blue over red. The black four trigrams are placed in differently: There were two broken and one unbroken lines in upper left/ three unbroken lines in upper right/three broken lines in bottom left/one broken and two unbroken lines in bottom right.


1876-1854


An old Japanese flag book published in 1876/1854 shows square yellow flag with red rugged border as a Korean King's standard. The flag bears a green dragon having red tongue and gray clouds.

Nozomi Kariyasu, 21 March 1999

*******************************

The early history of the Korean national flag seems to have remained rather obscure, according to a paper by Elizabeth Pyon published on-line in the Korea Herlad, 18 December 2001.


The paper reports recent findings on the invention of the first Korean national flag, which seem to disagree with the traditional explanations. The research was done by Dr. Kim Sang-Sup, a "reformist" researcher specialized in the Yi-ching. Dr. Kim based his conclusions on several historical official documents of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national Korean flag was used for the first time by a Korean diplomatic mission sent to Japan in 1882. This was the first diplomatic mission ever sent by Korea. King Gojong ordered the Chief of the delegation, Prince Pak Yeong-Hyo, to hoist the Korean national flag on the vessel used by the mission. These are historical facts. Moreover, it is often said that King Gojon himself designed the flag in the beginning of the 1880s. He wanted to express his resistance to foreign influence and his willing to preserve the independence of his Kingdom.


Unfortunately, this theory is not backed up by any serious evidence. The historical records studied by Dr. Kim give a completely different history.


In 1875, a Japanese fleet sailed too close to the Ganghwa Island and had an altercation with the Korean army. The Koreans shot the Japanese flag. This was used as a pretext by the Japanese army for a retaliation campaign. Before this event, there was little interest in Korea for a national symbol. King Gojong asked his suzereign, the Emperor of China, for advice on the question of the flag. Chinese experts suggested a flag similar to the Chinese flag of the time, a dragon with five claws on a yellow background. The Korean court, however, rejected the proposal of a dragon with four claws on a blue background, which was considered "too sophisticated".


In April 1882, an official Korean-Chinese meeting was held to discuss the question of the Korean flag. The "teaguk" emblem was proposed for the first time during this meeting. Official documents of the Korean Royal court state that the Chinese delegate Ma Chien-Chung promoted the use of the Yin-Yang spiral in red and blue and eight combinations of the Yi-ching, and imposed his views to the Korean delegate Kim Hong-Jip. Ma Chien-chung explained the symbolism of his proposal. The eight Yi-ching diagrams matched the eight Korean provinces, and red was the colour of the King whereas blue was the colour of ordinary people. Korea eventually adopted its flag under Chinese pressure and used it for its first diplomatic mission as said above.


The first version of the "taeguk" was very close to the original Yi-Ching diagram, which includes eight subdiagrams. The deletion of four of these subdiagrams is reported in the diary of Prince Pak Yeong-Hyo. The Prince showed the original flag design to James, the British captain of the vessel used for the mission. James found the design too complicated and proposed to delete four of the eight Yi-Ching diagrams.

Ivan Sache, 15 August 2002[국기역사]

 

                                          Japanese Lightship flag used in Korea

 

                                               Customs vessels used in Korea

 

                                                 Beacon Control vessels in Korea

 

요즘 트위터 더보기

'그룹명 > 조선[朝鮮]과 대한[大韓]제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7개 국어에 능통했던 신숙주  (0) 2011.12.14
조선왕조 기네스북   (0) 2011.12.14
마지막 황실, 대한제국`  (0) 2011.10.21
희귀 역사 자료 1  (0) 2011.10.21
희귀 역사자료 모음2   (0) 2011.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