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은 소유물이 아니라 순간순간의 있음이다. 영원한 것이 어디 있는가. 모두가 한때일 뿐, 그러나 그 한때를 최선을 다해 최대한으로 살 수 있어야 한다. 삶은 놀라운 신비요,아름다움이다.
-[버리고 떠나기] 에서-
내 소망은 단순하게 사는 일이다. 그리고 평범하게 사는 일이다. 느낌과 의지대로 자연스럽게 살고 싶다. 그 누구도 내 삶을 대신해서 살아줄 수 없기 때문에 나는 나답게 살고 싶다.
-[오두막 편지] 에서-
빈마음, 그것을 무심이라고 한다. 빈마음이 곧 우리들의 본 마음이다. 무엇인가 채워져 있으면 본 마음이 아니다. 텅 비우고 있어야 거기 울림이 있다. 울림이 있어야 삶이 신선하고 활기 있는 것이다.
-[물소리 바람소리] 에서-
사람은 본질적으로 홀로일 수 밖에 없는 존재다. 홀로 사는 사람들은 진흙에 더럽혀지지 않는 연꽃처럼 살려고 한다. 홀로 있다는 것은 물들지 않고 순진무구하고 자유롭고 전체적이고 부서지지 않음을 뜻한다.
-[홀로 사는 즐거움] 에서-
우리 곁에서 꽃이 피어난다는 것은 얼마나 놀라운 생명의 신비인가. 곱고 향기로운 우주가 문을 열고 있는 것이다. 잠잠하던 숲에서 새들이 맑은 목청으로 노래하는 것은 우리들 삶에 물기를 보태주는 가락이다.
-[산방한담] 에서-
행복은 결코 많고 큰 데만 있는 것이 아니다. 작은 것을 가지고도 고마워하고 만족할 줄 안다면 그는 행복한 사람이다. 여백과 공간의 아름다움은 단순함과 간소함에 있다.
-[홀로 사는 즐거움] 에서-
가슴은 존재의 핵심이고 중심이다. 가슴 없이는 아무것도 존재할 수 없다. 생명의 신비인 사람도,다정한 눈빛도, 정겨운 음성도 가슴에서 싹이 튼다. 가슴은 이렇듯 생명의 중심이다.
-[오두막 편지] 에서-
나는 누구인가 스스로 물으라. 자신의 속얼굴이 드러나 보일 때까지 묻고 묻고 물어야 한다. 건성으로 묻지말고 목소리 속의 목소리로 귀 속의 귀에 대고 간절하게 물어야 한다. 해답은 그 물음 속에 있다.
-[산에는 꽃이 피네] 에서-
무소유란 아무것도 갖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라 불필요한 것을 갖지 않는다는 뜻이다. 우리가 선택한 맑은 가난은 부보다 훨씬 값지고 고귀한 것이다.
-[산에는 꽃이 피네] 에서-
우리가 지금 이 순간 전 존재를 기울여 누군가를 사랑하고 있다면 이 다음에는 더욱 많은 이웃들을 사랑할 수 있다. 다음 순간은 지금 이 순간에서 태어나기 때문이다. 지금이 바로 그때이지 시절이 달로 있는 것이 아니다.
-[봄 여름 가을 겨울] 에서-
버리고 비우는 일은 결코 소극적인 삶이 아니라 지혜로운 삶의 선택이다. 버리고 비우지 않고는 새것이 들어설 수 없다. 공간이나 여백은 그저 비어있는 것이 아니라 그 공간과 여백이 본질과 실상을 떠받쳐주고 있다.
-[버리고 떠나기] 에서-
법정스님 기독교 관련 어록
법정 스님께서 입적하셨네요.
법정스님께서 입적하시기 전날 밤 "모든 분께 깊이 감사하며 내가 금생에 저지른 허물은 생사를 넘어 참회할 것이다",
"내 것이라는 게 있다면 모두 맑고 향기로운 사회 구현 활동에 사용해 달라"
라는 말씀은 제 가슴에 깊이 남습니다. 정말 스님께서는 무소유를 몸소 실천하신 분으로 저에게는 다가옵니다.
무소유 ...
처음엔 이말이 무슨 뜻인지 몰랐는데...
아무 것도 없다는게 인간에게 무슨 의미일까?...
지금은 조금씩 깨닫고 있는 느낌이 듭니다.
속세에 살면서 고통스럽지만 계속 소유할 수 밖에 없는...
숙명처럼 그래야 하는...
사회의 불의에 대해서 의연히 말씀하시고 행동하신
제2,제3의 법정스님과 같은 분들이 계속해서
나오기를 기대해 봅니다.
많은 가르침을 주신 분께 감사드립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2010년 3월 11일
영혼이 맑은 우리들카페 회원일동 / 올림
=================================================
산문집 '무소유'로 널리 알려진 법정(法頂)스님이
11일 오후 1시51분께 서울 성북동 길상사에서 입적했습니다.
법정스님은 2009년 선종한 고 김수환 추기경과도 오래도록 교유하며
종교간의 벽 허물기에도 힘써 오셨지요.
고 김수환 추기경에 이어 종교계 큰 어른들이
잇따라 우리 곁을 떠나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습니다.
종교에 따라 죽음을 일컫는 말도 달라지는데,
각 종교별로 죽음을 일컫는 말들을 살펴봅니다.
▶ 불교 열반(涅槃) : 일체의 번뇌ㆍ고뇌가 소멸된 완전한 편안의 상태,
부처의 죽음을 이르는 말 적멸(寂滅) : 세계를 영원히 벗어난다는 의미 입적(入寂) : 모든 압박에서 벗어나 평온한 상태로 들어간다,
승려(비구, 비구니)의 죽음을 이르는 말 이밖에 귀적(歸寂), 입멸(入滅) 등도 사용
[참고] 다비식(茶毗式)이란? : 불교 장례의식 중 시체를 화장하여 그 유골을 거두는 의식 사리(舍利)란? : 부처나 고승의 유골
▶천주교 선종(善終) : 임종(臨終) 시 성사(聖事)를 받아 대죄가 없는 상태에서 죽는 것,
착하게 살고 복되게 생을 마친다라는 뜻을 가진 선생복종(善生福終)에서 유래
▶개신교 소천(召天) : 하나님의 부름을 받는 다는 뜻
▶ 천도교 환원(還元) : 본래의 자리로 돌아갔다
▶ 통일교 승화(昇華) : 다른 세계에서 새롭게 태어난다
[참고]
▶임금의 죽음 붕어(崩御) : 황제나 황후의 죽음을 높여 이르는 말 훙거(薨逝) : 왕, 왕비 또는 황태자, 황태자비의 죽음을 높여 이르는 말 승하(昇遐) : 멀리 올라가다, 군주의 죽음을 높여 이르는 말
▶죽음을 뜻하는 여러 단어 타계(他界) : 인간계를 떠나 다른 세계로 간다는 뜻 별세(別世) : 일반적으로 높여 부르는 말 영면(永眠) : 영원히 잠든다는 뜻 서거(逝去) : 자신보다 높은 사람(예: 대통령, 국무총리)의 죽음을 높여 이르는 말 임종(臨終) : 자신의 가족 등의 죽음을 높여 이르는 말로 '작고(作故)'라고도 불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