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onhangeul.tistory.com/m/post/getImage/?f=49405e72dc5caAF.jpg&size=400)
1. 과학과의 찰떡궁합, 훈민정음
이제 한글(훈민정음)의 과학성은 세계의 전문가들이 두루 입증하는 세상이 되었다. 유엔의 유네스코에서 문맹 퇴치에 이바지한 사람들에게 주는 상 이름을 ‘세종대왕상(The King Sejong Prize)’라고 명명한 것은 아주 상징적인 예이다.
‘문맹률 0%’에 가까운 국민이라는 놀라운 사실이 한글의 과학성에서 비롯된 것임을 그들도 알기 때문이다. 문제는 그런 과학성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이다. 그러나 가장 간단한 방법이 있다. 과학의 꽃 컴퓨터에 가장 잘 어울리는 문자임을 입증하면 된다.
컴퓨터 과학자인 변정용 교수는 아래와 같이 설명한 바 있다.
“컴퓨터야말로 한글과 궁합이 매우 잘 맞는 도구라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지금 만능의 기계로 생각하는 컴퓨터는 단 두개의 숫자 ‘0’과 ‘1’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되풀이하는 것인데 이 세상을 순식간에 정보화시대로 만들지 않습니까? 서양음악의 경우도 ‘도레미파솔라시도’ 일곱 개의 음만을 가지고 모짜르트의 고전음악에서부터 우리 청소년들이 좋아하는 서태지의 랩음악까지 무궁무진하게 만들어 냅니다.
한글의 경우도 똑같습니다. 28글자의 유한수의 기호와 몇 가지의 규칙만으로 천지자연의 무한한 소리를 만들어 표현하는 방식이 바로 한글의 특성이지요. 그런 점에서 한글은 다른 어떤 글자보다 과학적이며 현대 첨단과학의 산물인 컴퓨터의 원리에 매우 잘 부합하는 문자입니다.
한글이 로마자보다 컴퓨터에 더 적합한 이유는 또 있습니다. 자판에 글자를 배열할 때 타자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오른손과 왼손을 번갈아 사용하고 집게손가락과 가운데 손가락을 좀 더 자주 사용할 수 있게 배열해야 되는데, 로마자의 경우 소리마디의 구성에서 자음과 모음이 어울리는 규칙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배열이 매우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서 현행 쿼티키보드에서 R, E, A, D를 칠 때 왼손만으로 쳐야 합니다. 그런데 한글은 한 소리마디 구성에서 자음-모음, 또는 자음-모음-자음의 두 가지로 일정합니다.”1)
이보다 더 잘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한글이 핸드폰에 가장 잘 어울리는 문자임을 입증하면 된다. 핸드폰이야말로 컴퓨터 원리의 최고 집적물이기 때문이다. 컴퓨터가 과학의 꽃이라면 핸드폰은 컴퓨터의 꽃인 셈이다. 핸드폰의 자판은 컴퓨터의 자판보다 글자쇠가 더 적기 때문에 한글의 과학성이 더욱 빛을 발한다는 것이다.
현재 휴대전화 자판은 회사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표 1>에서 보듯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은 나름대로의 장단점이 뚜렷하지만 저마다 회사의 이익이 걸려 있어 표준화는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두 방식 모두 가획과 배합의 한글의 과학 원리를 반영하고 있다. 자음과 모음의 과학적 원리를 어느 쪽이 더 많이 반영하느냐의 차이일 뿐이다. 자음위주의 배치방식은 모음 최소 배치를 통해 모음자 만드는 원리를 최대한 반영하고, 모음위주의 배치방식은 자음 최소 배치를 통해 자음 만드는 원리를 최대한 활용하고 있다.
![](http://onhangeul.tistory.com/m/post/getImage/?f=cfile4.uf%40172853284A19E2AB29C60A.jpg&size=400)
중요한 것은 어떠한 방식이든 간에 영자 자판과 비교할 때 그 운용체계가 훨씬 합리적이라는 사실이다. 이는 ‘널 사랑해’와 ‘I love you’만 비교해 봐도 금방 드러난다. 자모음의 자소 자체는 한글은 10자지만, 영어는 8자로 두 자가 적다. 그러나 실제 자판을 누르는 횟수는 한글은 18번, 영문은 커서를 옆으로 옮기는 것을 제외하고도 26번이다.
또한 한글은 굳이 띄어쓰기를 하지 않고도 무슨 뜻인지 거의 알 수 있지만 영문은 띄어쓰기를 하지 않으면 정확한 의미를 알기가 어렵다. 가령, ‘널사랑해’와 ‘ Iloveyou’를 보면 알 수 있다. 또 한글과 달리 영문은 대소문자가 나누어져 있어 메뉴버튼을 눌러서 대소문자를 변환시켜주어야 하기 때문에 매번 메뉴버튼을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2. ‘과학 한글’의 실체
2-1. 문자 생성의 과학성
일반적으로 과학이라고 하면 자연과 대립적인 말로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과학을 기술이나 물질문명 차원에서 얘기할 땐 자연과 대립적인 개념이지만, 알고 보면 과학 그 자체는 자연과 하나가 된다. ‘자연과학’이란 말이 있듯이 자연 속의 보편법칙을 찾아내 설명하는 것이 과학이기 때문이다.
근대과학을 열고 완성한 갈릴레이나 뉴우튼 역시 자연 속의 보편법칙을 제대로 찾아내 설명해냈기 때문이다. 그리고 세종은 인간의 소리에서 보편법칙을 제대로 찾아내 문자화시켰다. 이는 자음자와 모음자의 상형방식에서 드러난다.
![](http://onhangeul.tistory.com/m/post/getImage/?f=cfile4.uf%40152853284A19E2AB2ABDA5.jpg&size=400)
![](http://onhangeul.tistory.com/m/post/getImage/?f=cfile5.uf%40162853284A19E2AB2BB4EB.jpg&size=400)
자음을 순우리말로 ‘닿소리’라고 하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모음과는 달리 발음하는 과정이 특정 발음기관, 발음부위와 연관되어 있다. 반면에 모음은 순우리말로 ‘홀소리’라고 하는데 자음자와 달리 특정 발음기관과 관련이 없다.
세종은 이런 점을 정확히 파악하여 자음자의 원형문자 다섯 자를 발음기관과 발음작용을 상형해 만들었고, 모음자의 원형문자 세 자를 하늘과 땅과 사람의 추상적인 모습으로 상형했다. 그래서 한글은 창제과정이 분명한 가장 인공적인 문자이면서도 가장 자연스러운 문자가 되었다. 가장 자연스러운 문자를 만들고 보니 가장 과학적인 문자가 된 셈이었다.
소리문자의 대표격인 서양의 알파벳이 소리의 자연 이치를 직접 반영하지 않은 데 반해 한글은 직접 반영한 소리문자인 셈이다. 나머지 문자도 이러한 원형문자에서 배합 확장해 나가는 방식을 썼기 때문에 기본 문자 모두가 소리문자로서의 체계를 갖추게 된 것이다.
여기서 이체자라는 것은 가획의 원리를 전혀 적용하지 않았다는 것이 아니라 같은 계열의 문자들과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이른바 꼭지이응은 생긴 것은 목소리 글자들과 같은 계열이지만 소리로서는 기역과 같은 계열이다. 소리 성질에 따라 어금닛소리는 목소리에서 이어져 나는 곳이므로 목소리 동그라미에 꼭지를 가획하여 만들었다.
소리 나는 과정을 반영하다 보니 박쥐(이것과 저것을 함께 포함하는)같은 기호가 되었다. 반설음과 반치음도 가획의 원리를 벗어난 것은 아니지만 가획의 의미가 없고 소리성질의특이성 때문에 특별한 명칭과 더불어 이체자라 한 것이다. 곧 다른 가획자는 획을 더함으로써 거센소리가 되고 원형문자와 논리적 관계에 놓이게 되지만 이들 반설음과 반치음은 그렇게 논리정연한 자리매김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운용(응용)문자는 <표 5>에서 보듯 합체방식에 의해 가로로 합체하는 병서와 세로로 합체하는 연서글자를 만들어 냈다. 여기서 각자병서의 ㅇㅇ,ㄴㄴ는 글자 설명에는 나오지 않지만 실제 문헌에서 쓰인 글자이다.
이 두 자를 빼면 자음자는 모두 37자, 두 자를 합치면 39자가 된다. 실제 우리말 표기에 쓰이지 않은 글자도 있지만 ‘원형문자’에서 ‘기본문자’로 ‘기본문자’에서 ‘응용문자’로 확대해가는 과정이 논리정연하다.
모음자의 경우는 원형문자 세 자를 1차 배합하여 초출자 4자를, 2차 배합에서 4자를 만들어, 기본자 11자가 되었다. 초출자, 재출자에 쓰인 아래아(·)는 다른 글자(-, 1)와 대등하게 합쳐진 것이 아니라 글자 생성의 기준역할을 한 셈이다. 운용글자 18자에 쓰인 아래아(·)는 대등한 자격으로 합쳐진 글자이다.
2-2. 문자 도형의 과학성
한글의 두 번째 과학적인 특성은 도형의 과학성에서 찾아볼 수 있다. 마치 수학의 연산기호처럼 간단한 도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도형의 기본이 점과 선과 원이라면, 한글은 이런 기본도형으로 이루어졌다. 직선과 사선을 적절하게 활용하면서 가로와 세로, 긴 선과 짧은 선을 적절하게 배치하여 그야말로 도형문자, 그래픽 문자를 만들어냈다.
특히 자음자와 모음자를 막론하고 도형의 보편성을 확보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자연스럽게 대칭구조가 되었다. 기본 자모음자 28자 가운데, 대칭원리가 적용되지 않은 글자는 ‘ㅋ’자가 유일하다. 자음자를 대칭방식별로 분류해보면 다음과 같다.
‘ㄱ ㄴ’ 의 경우 두 글자 대각선 대칭이다. 모음의 경우는 글자 각각으로 보면 상하, 좌우 대칭이지만 기본 글자를 모두 모아 보면 사방 대칭이 된다. 모음자의 경우, 한 글자 내부 대칭은 물론 기본자 11자가 짜임새(시스템) 대칭을 이루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