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명/종교음악

그레고리안 성가: 아베 마리아 - 산토 도밍고 베네딕트 수도회 (1956-7)

바래미나 2011. 8. 18. 03:28

그레고리안 성가: 아베 마리아 - 산토 도밍고 베네딕트 수도회 (1956-7)  

Gregorian Chant: Ave Maria

그레고리안 성가: 아베 마리아

Santo Domingo de Silos, Benedictine Monks

1. Salve Regina, antiphon in mode 5

 

     

Album Title: Ave Maria

   Composer: Gregorian Chant
   Ensemble: Benedictine Monks of Santo Domingo de Silos
   Period: Medieval
   Country: Europe
   Venue: Monastery of Silos
   Recording Date: 1956-57

Language: Latin
Mono/Stereo : Stereo
SPAR Code : n/a
Studio/Live: Studio
Audio CD (October 10, 1995)
Label: Jade Records

     

     

1. Salve Regina, antiphon in mode 5 (Liber Usualis No 279)  (2:04)
   Genre: Chant / Medieval Period
   Date Written: 10th Century

2. Ave plena gratiae (prose)  (4:42)
   Genre: Chant / Medieval Period

3. Ave Mater, sequence in mode 6  (2:40)
   Genre: Chant / Medieval Period / Sequence

4. Salve mira creatura, canticle  (2:15)
   Genre: Chant / Hymn / Medieval Period

5. Salve mater misercordiae, canticle  (2:42)
   Genre: Chant / Hymn / Medieval Period

6. Ave Maria, gratia plena, offertory in mode 8 for the 4th Sunday in Advent  (1:58)
   Genre: Ave Maria / Gregorian Chant / Medieval Period / Offertory

7. Tota pulchra es, alleluia in mode 1 (GR 630)  (2:57)
   Genre: Chant / Gregorian Chant / Medieval Period / Sacred Music

8. O quam glorifica, hymn in mode 2  (2:53)
   Genre: Chant / Gregorian Chant / Medieval Period

9. Gloriosa, communion in mode 8  (0:46)
   Genre: Chant / Communion / Medieval Period

10. Benedicta es tu, Virgo Maria, gradual in mode 5 (Liber Usualis No. 1317)  (2:29)
   Genre: Chant / Gradual / Medieval Period

     

     

그레고리오 성가 (Gregorian Chant)

그레고리오 성가(Gregorian chant)는 로마 가톨릭의 전통적인 단선율 전례성가의 한 축을 이루는 성가로, 로마 전례 양식 때 사용되는 무반주의 종교 음악이다. 그레고리안 성가라고도 부른다. 원래 9세기에서 10세기에 걸쳐 유럽 지역에 구전되던 음악들을 모아 채보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대교황 그레고리오가 직접 작곡한 것으로 알고 있는 사람이 많지만 카롤링거 왕조 시대 로마와 갈리아의 성가를 통합, 편찬한 것으로 보는 견해가 타당하다.

그레고리오 성가가 발전하면서 교회선법이 성립하여 그레고리오 성가는 8개의 선법으로 체계화되었다. 그레고리오 성가의 선율적 특징을 들자면, 인시피트(첫 머리글자)와 종지, 멜로디의 중심이 되는 낭송음을 사용한다는 것과 센토니제이션으로 불리는 기존의 멜로디를 전용하는 기법에 따라 발전한 음악 어법을 들 수 있다. 음계는 6음음계가 사용되어 현대의 온음계에 포함되는 소리와 현재의 변로에 해당하는 소리를 사용한다. 그레고리오 성가의 악보는 전통적으로 네우마라는 독특한 기보법을 기본으로 삼고 있다.[1] 또 그레고리오 성가는 다성음악의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역사적으로 성당에서는 성인 남성이나 소년 성가대가, 수도회에서는 수사나 수녀들이 불러 왔다. 그레고리오 성가는 서방 교회의 각 지역 고유의 성가를 정리해 로마 가톨릭의 공식적인 성가로서 로마 전례 양식의 미사나 수도원의 성무일과의 고유한 노래로 채택되었다. 그러나 1960년대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로는 현지어를 사용하는 전례가 용인된 데다가 그레고리오 성가를 반드시 불러야 할 의무도 없기 때문에, 전례음악으로서의 그레고리오 성가는 점차 각국 언어의 성가에 밀려나고 있는 추세다. 한편 로마 교황청에서는 여전히 그레고리오 성가가 전례에 가장 합당한 음악 형태라는 견해이다.

20세기 이후에는 음악학의 대상으로 그레고리오 성가를 연구한다.

글출처: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