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명/종교음악

※ 그레고리안 성가

바래미나 2011. 8. 18. 01:56


※ 그레고리안 성가


로마 성가의 성립에는 로마 교황 그레고리우스 1세(590-604년 재위)의 공헌이 컷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그런 이유로 평성가는 '그레고리안 성가'라고 불려지고 있는데, 사실 그레고리안 성가라고 불리는 곡들은
더욱 복잡하게 오랜 시일에 걸쳐서 형성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비록 그레고리오가 많은 음악적 업적을 이루었다고 정평이 나 있으나 그것의 진위성은 심하게 의심되고 있으며,
심지어 최근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오늘날 몇 형태의 그레고리오 성가는 6세기 말인 그레고리우스 교황의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것은 결코 아니며, 또한 로마에서 집성된 것도 아니며, 아무리 빠르더라도 8세기나 9세기 경에
알프스의 북쪽 지방에서 완성된 것이라고 한다.
결국 그레고리안 성가라고 이름지어진 것들은 9세기에 이르러서야 정리되었다고 말할 수 있겠다.
그리고 사실 정확한 명칭을 붙이고자 한다면, '평성가'라고 있는 그대로 부르는 것이 낫다. 그레고리안 성가의 특징은
굽이치는 아름다운 억양법에 의해 분절되는 흐름에 의한 독특한 아름다움에 있다.



그레고리안 챈트 혹은 그레고리오 성가라고 불 리는 이 성가(聖歌의 그 유구한 역사적 배경을 짧게 설명하자면,
복잡한 화음구성이나 여 러 성부(聲部)를 두지않는 단선율로 인해 플레인 챈트(Plain Chant)로 불리운다.
결코 단 순히 설명할 수 없는 그레고리안 챈트의 유구한 전통은 다양한 기독교의 성가들 중에서도 특히 중세와
르네상스를 통해 종교음악의 다성음악(Polyphony)의 발전의 주요한 축의 하 나이었다는 점에서 가장 중요한
양식의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  


그레고리안 챈트는 성 그레고리로 대 교황 (Papa Gregorio Magno, 540~604)에 의해서 카톨릭 교회 최초의
공식 전례 성가(Cantus Liturgia)로 인준되면서 현존하는 수많은 서양 음악 중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있다. 그레고리안 챈트라는 이름을 얻게 된 것은 지역별로 다양하게 나누어지고 분파 되었던
당시의 성가를 재정립하면서 하나의 성가집 <Antiphonale Missarum>로 묶게 되었는데 이를 두고
그레고리안 챈트로 부르게 된 것이다.

◀ 그레고리안 성가를 부르고 있는 수사들

그레고리안 성가가 정립된 9세기 경에는 또한 다성음악의 체계화가 시작되었다. 이 초기 다성음악은 다음 장에서
이야기 될 것이다. 당시에는 교회에서 악기의 사용을 금하고 여성의 노래 참여를 금했다.
그것은 이교도적인 영향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노력과 세속과 구별하려는 노력이었다고 보여진다.
이러한 관습은 그 후에도 계속 되어지며 그로 인해 기악의 경우 인간의 목소리와 가장 유사한 오르간이 가톨릭의
전례악기로 남게 되었고 성악에선 카운터테너, 카스트라토, 보이소프라노들을 활성화 시키는 결과가 되었다..

※ 평성가 Plainchant


-그레고리안 성가는 순수히 선율적인 단선음악으로서 보통 평성가(plainsong)라고 한다. 말 그대로 하면
평범한 노래, 간단한 쉽게 이해되는 명확한 노래라고 볼 수 있다. 라틴어 원어로는 cantus planus 칸투스
플라누스 이다. 기독교 예배전례음악에서 사용하던 자유리듬의 단성 종교의식 성가를 가리킨다.





* 그레고리안 찬트를 들을 때에 우리가 받는 느낌은 다른 고전음악을 들을 때와는 확실히 다르다.
선율은 아무런 반주나 화성 없이 불분명한 가사로 이어지다 어느 순간 갑자기 끝난다. 기묘하게 흐르는
선율의 굴곡과 완전히 감정이 배제된 남자들의 양감 없는 목소리, 오래된 성당을 연상시키는 종교적인 분위기,
이런 인상들이 합쳐져 듣는 이에게 절로 신비로운 느낌을 갖게 하지만 천 오백년 전의 유럽에서는 오늘날의
민요가락처럼 친숙하게 불리워지던 선율이 바로 이 그레고리안 찬트였다.

그레고리안 찬트는 라틴어 가사를 무반주로 남성이 부르는 가톨릭교회의 예배음악으로서 교황 그레고리우스
1세(A. D 590-604 재위)에 의해 정리되었다. 그레고리안 찬트란 명칭은 그를 기리는 이름이다. 7세기 초에
그때까지 유럽지역에 구전되던 음악들을 모아 채보한 것이므로 (이 시기의 체보기법은 물론 오늘날의
오선기법과는 다르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음악인 셈이다.

그레고리안 찬트를 알기 위해서는 우선 가톨릭교회의 예배 형식을 알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그레고리안 찬트 자체가 곧 예배의 텍스트이기 때문이다.
가톨릭교회의 예배는 우리가 오늘날 흔히 보는 개신교회의 예배처럼 설교(말)가
중심이 되는 것이 아니라 선율이 있는 가락 중심으로 진행된다. 일요일에 성당에 가 보면 사제의 강론을 제외한
미사의 거의 모든 부분이 회중(또는 성가대가 대신한다)과 독창자의 노래로 이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엄밀히 말하면 노래라기보다는 가락이 있는 낭송에 가까운데 이 형태가 바로 그레고리안 찬트와 거의
유사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출처:유정의 향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