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명/당구 운동

제각 돌리기의 재해석(시스탬 배제)

바래미나 2009. 11. 19. 16:15

그림 A

그림속의 포지션에서 2적구의 위치만 변경하면서 각포지션별로 제각돌리기의 다른 해석을 알아

보고자 합니다 ^^

 

그림 B

2 적구 "A" 의 경우 입니다

가장 쉬운 포지션에 해당하며 쉬운만큼 의외의 "에러"도 많이 나오는 포지션입니다 ^^

수구에 회전성향보다 방향의 특성을 살려서 보냅니다

가끔 1적구의 두께를 얇게 잡고 수구를 빠르게 반발시켜 반사각을 만드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결코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수구의 스피드가 빠른만큼 1적구의 두께 및 당점 혹은 전체적인 샷밸런스의 작은 변화에도

민감할 수 있어 수구의 2적구로의 안정적인 진로를 보장받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1적구의 두께는 자신이 최대한 구사할 수 있는 두꺼운 두깨를 겨냥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샷의 속도는 빠르지 않아야 합니다 1적구의 두께가 두껍다는 얘기는 수구를 빨리 보낼 수

없다는 얘기입니다 그런데도 억지로 빨리 보내고자 한다면 분명히 실수가 나옵니다

수구가 회전력보다 방향성으로 진행하는 동선을 예상하면서 1쿠션 지점을 향해 정확하게 부드럽게

수구를 보냅니다 

 

그림 C

그림 B 의 포지션에서 2적구가 장축쪽으로 가까이 붙어있는 포지션입니다

득점에 성공하기 위한 3쿠션범위가 작기 때문에 수구에 회전력을 최대한 살려서 3쿠션범위를

최대한 넓게 만드는 것이 최대 관건입니다

 

이포지션에서 하게되는 실수중에 가장 많이 하는 실수가 수구에 회전력을 살려준다는 의미를

수구를 끌어줘야 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중하단, 혹은 하단으로 끌어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

물론 끌면서 팔로쓰로를 제대로 해주시면 아주 확률이 없는 포지션도 아닙니다

하지만 이포지션의 핵심은 수구의 회전력을 최대한 살려서 득점가능 3쿠션 범위를 최대한

넓게 만드는 것이 핵심입니다 굳이 끌지 않으셔도 수구는 2적구까지 올마든지 보낼 수 있습니다

 

그림에서 설명하듯이 1적구의 두께를 최대한 두껍게 구사하는 이유는 수구를 천천히 진행시키려는

의도이며 수구의 당점에서 하단성향은 철저히 배제하여 수구의 끌림을 철저히 차단하고 수구가

1적구의 두께에 의해 밀려서 진행을 해야만 수구의 회전력을 최대한 살릴 수 있습니다

자칫 끌림으로 진행할 경우 그림속의 검은색 점선의 동선을 그리게 됩니다 ^^

 

샷은 부드럽게 팔로쓰로가 있지만 짧게 해야만 합니다 그리고 큐선의 길이는 공 한개이상의 길이

이며 트록의 끝에 큐를 잡는것이 아닙니다 자칫 큐를 잡으면 끌림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큐를 잡지 말고 팔로쓰로를 짧게 한다고 이해하셔야 합니다

혹시나 "짧다"의 의미를 그만큼 "빠르게"라고 이해하시면 안됩니다 말그대로 "짧게"일 뿐입니다 ^^

절대 큐스피드를 빠르게 보내지 마세요 ^^

 

그림 D

 

그림 C는 그림 A 의 사례중에 2적구 "B" 의 포지션입니다

사실 2적구의 위치는 일반적인 제각돌리기 포지션에서 비교하면 그렇게 높게 형성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1적구가 오른쪽 단축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높이 있어 예를 들었습니다

위 그림은 그림 C 에서 설명한것과 반대의 상황입니다

1적구를 두껍게 구사하는것은 동일하지만 스트록 시 수구의 밀림을 유도하면 안됩니다

전적으로 수구의 끌림만을 이용하셔야 합니다

즉 수구의 방향성의 특성을 많이 살려서 수구를 보내야 하며 수구에 회전력을 살리면 득점이

어려운 포지션이 됩니다

수구에 회전력의 특성이 강하게 살면 그림속의 검은색 점선의 동선을 그립니다 ^^

 

이 포지션에서는 큐스피드를 약간 빠르게 보내세요 ^^

끌림으로 인한 수구의 방향성을 강조하기 때문에 큐스피드가 어느정도는 빨라야 합니다 ^^

 

그리고 참고로 1쿠션의 값을 가만히 보면 F&H 시스템을 기준으로 수치값이 맞지 않습니다

수구의 입사각이 제각각일진데 그에 따른 수치값의 보정값을 생각하면 정말로 끔직합니다

가뜩이나 보정값공식이 많은 F&H 시스템을 번번이 적용하는 것도 무리가 있으며 시스템을

공부하는 이유도 시스템을 위한 공부가 아닌 자신만의 "감각"을 만들기 위함임을 우리는

잊지 말아야 합니다

그런 생각의 기준에서 제각돌리기의 각 쿠션값을 공식화 하지는 않았습니다

넓은 테이블을 기준으로 절반 혹은 1/3 밖에 안되는 공간속의 쿠션값이니 어렵다고 생각

마시고 감각으로 해결합시다 ^^

참고로 "볼시스템"도 각 수치값을 존재 하지 않습니다 ^^